항목
-
초·중등교육법 初·中等敎育法개설 1997년 12월 13일 공포된 「교육기본법」 제9조에 의거하여 초·중등교육에 관한 사항을 정할 목적으로 법률 제5438호로 제정되었다. 내용 총 5장 68조로 구성되어 있다. 제1장 총칙에서는 학교의 종류 등을 규정하고 있다. 이 법에 의하면 우리나라의 학교는 초등학교와 공민학교, 중학교와 고등공민학교, 고등...
- 시대 :
- 현대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교육/교육
-
초 秒내용 시간 단위로서의 초는 1분(分)의 60분의 1, 또는 1평균 태양일(太陽日)의 86,400분의 1에 해당하며, 시간 단위로서는 최소의 단위이다. 이보다 더 짧은 시간은 10분의 1초, 100분의 1초 등으로 표시하는데, 과학의 발달로 몇만분의 1초 또는 그보다 더 작은 시간의 측정도 가능하다. 일상생활에 사용되고 있는 시계...
- 유형 :
- 개념
- 분야 :
- 과학/과학기술
-
여수시초 麗水詩抄내용 A6판. 152면. 1940년 박문서관(博文書館)에서 간행하였다. 작자의 첫 시집으로, 시집 말미에 저자가 만주 신경(新京)에서 쓴 후기로서 <초후(抄後)에>가 있다. 이 시집에는 총 47편의 시작품이 그 주제 및 소재에 따라 7부로 나뉘어 편성되어 있다. 제1부 근작(近作)에 <실제 失題>·<선죽교 善竹橋>·<길손...
- 시대 :
- 근대
- 저작자 :
- 박팔양(朴八陽)
- 창작/발표시기 :
- 1940년(간행)
- 성격 :
- 시집
- 유형 :
- 문헌
- 간행/발행 :
- 박문서관
- 분야 :
- 문학/현대문학
-
검은낭아초 검은꽃낭아초, purple marshlocks개요 산과 들 습기가 많은 곳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줄기는 높이 30-60cm이며 밑부분이 옆으로 기면서 가지가 갈라지고 마디에서 뿌리가 난다. 줄기 윗부분에 털이 난다. 잎은 어긋나며 작은 잎 3-7장으로 된 깃꼴겹잎이다. 잎 앞면은 녹색이고, 뒷면은 흰빛이 돌며 누운 털이 있다. 꽃은 6-8월에 피며, 취산...
- 분류 :
- 현화식물문 > 목련강 > 장미목 > 장미과 > 양지꽃속
- 서식지 :
- 산과 들의 습기 많은 곳
- 학명 :
- Potentilla palustris (L.) Scop.
- 국내분포 :
- 북부지방
- 해외분포 :
- 러시아(사할린, 시베리아), 일본, 중국(동북부), 유럽, 북미
-
유가사지론약찬 유가약찬(瑜伽略纂), 瑜伽師地論略纂저자 및 편자 규기(窺基, 632~682)는 당의 장안(長安) 출신으로 속성은 위지(尉知)이고, 자는 홍도(洪道)이다. 17세에 출가하여 현장의 제자가 되었다. 23세에 자은사(慈恩寺)로 옮겨 현장에게서 범어와 불교 경론을 배웠다. 25세 이후에 역경 사업에 참여하였다. 659년에 현장이 유식학의 논서들을 한역할 때, 규기는...
- 시대 :
- 고려 후기
- 유형 :
- 문헌/고서
- 분야 :
- 언론·출판/출판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무신옥안초 戊申獄案抄내용 1책. 필사본. 표제는 ‘영조시옥안(英祖時獄案)’으로 되어 있다. 서문·발문·목차가 없고 편자와 편찬연대가 밝혀져 있지 않다. 내용의 첫 부분에는 1728년 3월 21일부터 6월까지에 걸쳐 일어난 무신란의 주모자의 한 사람인 이웅보(李熊輔)가 거창현감에게 보낸 격문이 실려 있고, 이어서 평안병사가 역적...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미상
- 창작/발표시기 :
- 1728년(영조 4)∼1755년(영조 31)
- 성격 :
- 역사서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1책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소장/전승 :
- 규장각 도서
-
초내용 ≪재물보 才物譜≫에서는 ‘생사로 제직된 얇은 견직물(綃生絲薄繪)’이라 정의하고, 중국문헌인 ≪설문 說文≫·≪옥편 玉篇≫·≪광운 廣韻≫ 등에서는 초를 생견사직물(綃生絲也)이라고 하였다. 그러나 임대춘(林大春)은 ≪광아 廣雅≫를 인용하여 초를 견(絹)과 같은 것이라고 하였고, ≪일체경음의 一切經音義...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생활/의생활
-
노루귀 장이세신(獐耳細辛), hepatica개요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의 숲 속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중국, 러시아 우수리 지역에도 자란다. 식물체는 높이 8-20cm, 전체에 희고 긴 털이 많이 난다. 잎은 뿌리에서 나며 3-6장이다. 잎몸은 3갈래로 갈라진 삼각형이며, 밑은 심장형, 끝은 둔하다. 잎 앞면에 보통 얼룩무늬가 없지만 있는 경우도 있다. 꽃은 3...
- 분류 :
- 현화식물문 > 목련강 > 미나리아재비목 > 미나리아재비과 > 노루귀속
- 서식지 :
- 산의 숲 아래
- 학명 :
- Hepatica asiatica Nakai
- 국내분포 :
-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
- 해외분포 :
- 중국, 러시아 우수리 지역
-
큰물사갓사초분포지역 한반도(북부), 중국, 러시아, 몽골, 유럽, 북미 형태 여러해살이풀이다. 크기 높이 40~100cm이다. 잎 잎은 선형(너비 4~8mm)이고 편펴아며 길이는 거의 줄기만하고 질은 좀 굳고 두꺼우며 녹색을 띠고 가운데 맥은 약간 홈이 졌으며 잎가장자리는 거칠고 밑에는 긴 엽초가 있다. 엽신과 엽초의 잎맥사이에는...
- 분류 :
- 사초목 > 사초과 > 사초속
- 꽃색 :
- 녹색, 갈색, 붉은색
- 학명 :
- Carex rostrata Stokes
- 개화기 :
- 6월, 7월
-
20세기 전반의 미국문학연극에 나타난 실험정신 19세기에는 연극이 주요한 문학 장르는 아니었으나 종전의 상업무대에 반기를 든 새 연극만큼 실험적인 문학형식도 없었다. 20세기초에 유럽을 찾은 미국인들은 유럽 연극이 활발한 데 놀랐다. 그들은 귀국하자마자 상업적인 틀에서 벗어난 자유로운 소극장운동에 의한 연극실험에 착수했다...
-
초와일고 草窩逸稿내용 2권 1책. 석인본. 1965년 9대손 찬주(贊周)가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박난서(朴蘭緖)의 서문이, 권말에 찬주의 발문이 있다. 연세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권1에 부(賦) 4편, 시 40수, 서(書) 2편, 축문 1편, 잠(箴) 4편, 명(銘) 2편, 책(策) 1편, 의(疑) 2편, 논(論) 1편, 표(表) 3편, 권2에 부록으로 유묵 1편...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박안도
- 창작/발표시기 :
- 1965년
- 성격 :
- 시문집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2권 1책
- 간행/발행 :
- 박찬주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소장/전승 :
- 연세대학교 도서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