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조선공산당재건동맹
    조선공산당재건동맹은 1929년 10월에 북경에서 안광천의 주도로 만들어진 조선공산당의 재건을 위한 조직이다. 중앙부 의원으로 김원봉, 박건웅, 박문호, 이영준, 이현경, 박차정이 참여하였고, 안광천이 위원장을 맞았다. 중앙부 직속으로 레닌주의사와 레닌주의정치학교를 두었고, 세 개의 지부를 두었는데, 조선지부...
    도서 위키백과
  • 조선공산당 ML파 조선공산당 ML파
    공산주의운동의 일파이다. 서울파의 일부와 고려공청만주총국의 일부 인사들, 이르쿠츠크파 및 일월회 성원들이 1926년 4월 서울에서 결성되었다. 1926년 조선공산당 형성 이후 화요파가 대세를 잡자 그에 대응하여 만들어진 분파이다. 이후 조선공산주의운동은 엠엘파, 화요파, 서상파의 3파전이 시작되었다. 주요 인물...
    도서 위키백과
  • 조선공산당 중앙위원회 Central Committee of th..
    조선공산당 중앙위원회는 1945년 9월 14일에 만들어졌으며, 남조선로동당과 남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가 창설될 때까지 회기되었다. 정치국, 사무국, 조직국 등 선출된 기관에 일상 업무를 위임했다. sfnsfn 또한 '중앙위 전원회의'라 불리는 회의를 소집해 주요 정책을 논의했다. 해당 회의는 비회원도 참석할 수 있었다...
    도서 위키백과
  • 김천호 (조선공산당)
    인물 정보 김천호(金天浩, 1918년 ~ 1947년)는 조선공산당의 당원이자 공산주의자이다. 1947년에 신영균, 조희창, 홍만길, 휘발유, 김관철 등에게 집단 린치를 당해 중상을 입고 병원에 입원하였으나 끝내 회복하지 못하고 29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야인시대》 토막글
    도서 위키백과
  • 북조선공산당 North Korean Branch Bureau, 北朝鲜共产党
    북조선공산당(北朝鮮共產黨)은 조선공산당의 38도선 이북 지역 지도자들과 당원들이 결성한 소련 군정 시대의 공산당으로, 독립운동가 김용범의 지도 아래 조선공산당의 조직적 재건, 친일파 청산, 토지 개혁, 사회주의 국가 수립 등을 과제로 삼았다. 덕분에 북조선공산당은 소비에트 민정청 당국의 강력한 신뢰를 받아...
    도서 위키백과
  • 조선로동당 Workers' Party of Korea, 朝鮮労働党
    않는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학계는 조선로동당의 기원을 김일성이 세웠다는 타도제국주의동맹에서 찾는다. 그 밖에도 타도제국주의동맹 외에 조선공산당의 북조선분국을 뿌리로 하는 계열도 있다. 이 계열이 조선로동당의 실질적 기원이 되었다. 1945년 9월 11일 국내파 공산주의자들이 서울에 조선공산당을 재건...
    도서 위키백과
  • 재건파공산당 再建派共産黨
    비판하고, 조선공산당은 통일·단결을 통해 재건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박헌영을 비롯하여 김형선·김삼룡·이관술·이현상·이주하·권오직·이순금·김태준 등은 8월 20일 조선공산당 재건준비위원회를 결성했는데 이를 재건파공산당이라고 한다. 재건파공산당은 박헌영이 작성한 '현 정세와 우리의 임무'(8월...
  • 간도공산당사건 間島共産黨事件
    제1차 사건은 1927년 10월에 조선공산당 만주총국이 당시 서울에서 진행중이던 조선공산당 공판에 대한 공개를 요구하는 시위운동을 계획했다가 검거된 사건이다. 만주총국의 책임비서대리 겸 조직부장 최원택(崔元澤)과 선전부장 김지종(金知宗), 동만도(東滿道)의 안기성(安基成)·이주화(李周和) 등 27명이 공판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한국사 , 현대
  • 장안파공산당 長安派共産黨
    서중석 등이 서울 종로 장안 빌딩에 모여 결성했다. 한편 같은 날 ML(마르크스-레닌)계의 최익한·이우적·하필원 등도 별도로 서울 동대문에 모여 조선공산당 서울시당부를 결성했다가 곧 장안파와 합당했다. 창당대회에서 책임비서에 이영, 제2비서에 이승엽, 서기에 하월원이 각각 임명되었다. 8월 17일 이후 지방...
  • 고려공산당 高麗共産黨
    강령과 코민테른 제2차 총회 보고안이 채택되었다. '이르쿠츠크파 고려공산당'의 강령은 전문과 3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강령의 전문에서는 공산당이 "조선의 노동자·고농·근로농민의 당"으로서 "일본의 권력, 일반적으로는 외국 및 토착자본의 권력으로부터의 조선의 해방과, 서양의 프롤레타리아트들과 협력...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일제강점기
  • 간도 5·30폭동 제4차 간도공산당사건, 間島五三十暴動
    기념하여 류사오치[劉少奇]를 책임자로 한 중국공산당 만주성위원회는 대대적인 무장폭동을 계획했다. 폭동계획은 일국일당의 원칙하에 조선공산당 만주총국을 해체하고 중국공산당에 가입하여 연변특별당부를 조직했던 간도의 박윤서(朴允瑞)·김근(金槿) 등 조선인 공산주의자들의 주도하에 실행됐다. 폭동은 5월 29...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한국사 , 현대
  • 고려공산당 高麗共産黨
    전사자 및 행방불명자를 내고 생존자 864명이 전원 붙잡히는 참사가 발생하였다. 이를 세칭 자유시사변이라고 한다. 의의와 평가 두 고려공산당의 분쟁의 배후에는 조선혁명의 성격과 운동론에 대한 뿌리 깊은 이견이 전제되어 있었다. 이르쿠츠크파 고려공산당은 일본제국주의의 식민 통치 체제로부터 조선을 해방시킴...
    시대 :
    근대
    유형 :
    단체
    분야 :
    역사/근대사
이전페이지 없음 1 2 현재페이지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8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