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국제 유가 국제 유가가 시끌시끌
    지역에서 생산되며 미국 내에서만 거래되고 국제시장으로는 반출되지 않아. 하지만 거래량이 많고 뉴욕상업거래소에 상장되어 있으며 품질이 좋아 국제 유가를 이끄는 가격지표로 쓰여. 북해산 브렌트유는 영국의 북해지역에서 생산되는 원유. 유럽이나 아프리카에서 주로 써. 하루 생산량이 많지는 않지만 이 지역에서...
  • 유가증권 有價證券
    내용 유가증권은 신용경제가 발달함에 따라 재산상의 권리변동을 원활하게 처리하기 위해 생긴 것이다. 넓은 뜻의 유가증권은 일정한 재산에 관한 권리를 담고 있는 증서로서 재산권을 유동화하여 유통되는 것인데, 크게 상품증권(商品證券, 物財證券·財貨證券이라고도 함)·신용증권(信用證券, 通貨證券 또는 貨幣證券...
    시대 :
    현대
    성격 :
    증서
    유형 :
    제도
    분야 :
    경제·산업/경제
  •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한 일본의 자부심, 유가와 히데키 湯川秀樹
    유가와 히데키는 1949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한 이론물리학자로, 소립자물리학 발달에 크게 기여했다. 1907년 도쿄의 아사누노에서 태어난 그는 유학 경험 없이 일본에서 성장하여 공부해 동아시아 최초로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고, 이로 인해 일본의 자부심으로 대변되는 인물이기도 하다. 유가와의 아버지는...
    출생 :
    1907년
    사망 :
    1981년
    국적 :
    일본
  • 유가사지론약찬 유가약찬(瑜伽略纂), 瑜伽師地論略纂
    다양한 경론에 대한 주석서를 작성하였다. 서지사항 이 책은 송광사 화엄전 53불화도(불조전(佛祖殿) 구장)의 복장낭에서 나온 낱장 1장의 단간(斷簡)이며, 『유가사지론약찬』 제7권의 제24장에 해당한다. 목판본이며 1장의 크기는 40.0×55.8㎝이다. 판식은 사주단변, 무계, 1판의 행자수는 32행 24자, 판수제는...
    시대 :
    고려 후기
    유형 :
    문헌/고서
    분야 :
    언론·출판/출판
  • 유가와 마나부 교수 湯川学
    직업은 테이토 대학의 물리학과 준교수. 쿠사나기 페이 형사가 도저히 단서를 찾을 수 없거나 논리적으로 이해하기 힘든 사건을 만나면 동창인 유가와 교수를 찾아가면서 탐정 역할을 하게 된다. 유가와는 과학자다. 이공계 출신은 문과와 사고방식이 다르다는 선입견이 있는데 유가와 역시 이공계 특유의 철저하게 논리...
    도서 탐정사전 | 태그 소설
  • 동화사 유가사(瑜伽寺), 桐華寺
    간자를 얻었다고 한다. 「대웅전 중창 상량문」에서는 처음 동화사의 명칭이 유가사라고 하였다. ‘유가사’라는 사찰명은 법상종(法相宗)의 교리서인 『유가사지론(瑜伽師地論)』에서 나온 것이고, 진표는 우리나라에 법상종을 개창한 조사로 여겨진다. 그러므로 신라시대 이래 동화사는 법상종의 사찰이었음을 짐작할...
    시대 :
    고대/삼국
    유형 :
    유적/건물
    분야 :
    종교·철학/불교
  • 대승유가만수실리왕경서 천발경 서문, 大乘瑜伽曼殊室利王經序
    저자 『천발경』 서문(序文)이란 『대승유가금강성해만수실리천비천발대교왕경(大乘瑜伽金剛性海曼殊室利千臂千鉢大教王經)』의 앞 부분에 통일신라의 승려 혜초가 『천발경』의 번역 과정과 경전의 요지를 덧붙여 적은 글을 가리킨다. 혜초는 『왕오천축국전(往五天竺國傳)』의 저자로도 잘 알려져 있다. 이 서문은...
    시대 :
    고대
    유형 :
    문헌/고서
    분야 :
    종교·철학/불교
  • 초조본 유가사지론 권32 유가론, 初雕本 瑜伽師地論 卷三十二
    개설 이 책은 고려 현종(1011∼1031) 때 거란의 침입을 부처님의 도움으로 물리치고자 유가행파(瑜伽行派)의 기본 경전 중 하나인『유가사지론』을 목판에 새겨 찍고서 두루마리로 제본한 것이다.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찍어낸 대장경인 초조대장경(初雕大藏經) 가운데 하나로, 당나라 현장(玄奘, 602∼664)이 646...
    시대 :
    고려
    유형 :
    문헌/고서
    분야 :
    종교·철학/불교
  • 재조본 유가사지론 권20 유가론 권20(瑜伽論 巻二十), 再雕本 瑜伽師地論 ..
    後印本)으로 추정된다. 20권은 특히 자토석독구결(字吐釋讀口訣)이 기입되어 있어 유식사상사 및 국어사 연구에서도 매우 귀중한 자료이다. 구성과 내용 『유가사지론』은 미륵보살설로 유통되며, 100권으로 648년 현장이 번역하였다. 『유가론(瑜伽論)』으로 약칭하고, 중국에서 법상유식학파의 소의 경론으로 중시...
    시대 :
    고려 후기
    유형 :
    문헌/고서
    분야 :
    종교·철학/불교
  • 유가사지론석독구결 瑜伽師地論釋讀口訣
    서지적 사항 인도의 무착(無著)이 미륵보살의 설법을 듣고 지었다는 『유가사지론(瑜伽師地論)』을 당(唐)의 현장(玄奘)이 648년에 한문으로 번역한 100권 가운데 제20권에 해당한다. 권말에 ‘병오세고려국대장도감봉칙조조(丙午歲高麗國大藏都監奉勅雕造)’라는 간기가 있어 1246년 제작한 고려 재조대장경의 목판으로...
    시대 :
    고려전기
    창작/발표시기 :
    1246년
    성격 :
    불교경전, 구결서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권자본 1축
    분야 :
    언어/언어·문자
    소장/전승 :
    남풍현
  • 초조본 유가사지론 권15 유가론, 初雕本 瑜伽師地論 卷十五
    무착(無着)이 지었다고 전한다. 당나라 현장(玄奘, 602∼664)이 646∼648년에 100권으로 한역하였다. 서지사항 이 책은 대장도감(大藏都監)에서 간행한 『유가사지론』100권 중 권15에 해당하는 1권 1책이다. 쪽물을 들인 종이인 감지(紺紙) 표지에 아교에 금가루를 갠 금니(金泥)로 책이름과 권차(卷次), 천자문으로...
    시대 :
    고려
    유형 :
    문헌/고서
    분야 :
    종교·철학/불교
  • 재조본 유가사지론 권55 유가론, 再雕本瑜伽師地論卷五十五
    없어지자, 불교를 근간으로 한 민족적 염원을 모아 몽골을 물리치기 위해 대장도감(大藏都監)에서 간행한 재조대장경(再雕大藏經) 판본 가운데 하나이다. 『유가사지론』은 유가행파(瑜伽行派)의 기본적인 논저로, 인도의 미륵(彌勒)이 설한 것을 당나라 현장(玄奘, 602∼664)이 한역(漢譯)하였다. 서지적 사항 이 책은...
    시대 :
    고려
    저작자 :
    현장(玄奘)(한역)
    문화재 지정 :
    보물 제972호
    창작/발표시기 :
    1247년
    성격 :
    논서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1권 1책
    간행/발행 :
    대장도감(大藏都監)
    분야 :
    종교·철학/불교
    소장/전승 :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용산동6가) 국립중앙박물관
이전페이지 없음 1 2 현재페이지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63건

유가
유가(儒家)
유가의절
유가 행렬
유가만세교
유가만세교
유가의절
국제유가
유가증권(security)
유가외절 / 공수
유가의절 / 궤
유가의절 / 읍
유가의절 / 배
유가와 히데키
유가의절 / 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