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Johann Friedrich Herbart 요한 프리드리히 헤르바르트, ヨハン・フリード..
    Johann Friedrich Herbart (4 May 1776 – 14 August 1841) was a German philosopher, psychologist and founder of pedagogy as an academic discipline.Herbart is now remembered amongst the post-Kantian philosophers mostly as making the greatest contrast to Hegel; this in particular in relation to...
  • 고대 그리스의 형식을 독일로 이식시킨 천재, 프리드리히 횔덜린 Johann Ch..
    아니라 고대 그리스 운문 형식을 독일어에 이식시켰다고 평가받고 있다. 반평생을 정신질환자로 보낸 불우하고 광기에 찬 천재로도 유명하다. 요한 크리스티안 프리드리히 횔덜린은 1770년 3월 20일 독일 슈바벤 지방 네카 강변에 있는 라우펜 암 네카에서 태어났다. 아버지 하인리히 프리드리히 횔덜린은 수도원 관리인...
    출생 :
    1770년 03월 20일
    사망 :
    1843년 06월 07일
    국적 :
    독일
    대표작 :
    《히페리온》, 〈엠페도클레스의 죽음〉 등
  • 고전주의 운동을 부흥시키다, 프리드리히 실러 Johann Christoph Fr..
    같은 희곡 작품들은 오늘날까지도 독일 연극의 기본 레퍼토리 중 하나이며, 그의 미학 이론은 당대 독일 내외에서 고전주의 운동을 부흥시켰다. 요한 크리스토프 프리드리히 폰 실러는 1759년 11월 10일 독일 뷔르템베르크 마르바흐에서 태어났다. 아버지 요한 카스파르 실러는 군인이자 외과의사였는데, 아들 실러의...
    출생 :
    1759년 11월 10일
    사망 :
    1805년 05월 09일
    국적 :
    독일
    대표작 :
    〈군도〉, 〈돈 카를로스〉, 〈빌헬름 텔〉 등
  • 요한 하인리히 페스탈로치 Johann Heinrich Pestalozzi
    행위와 실제적인 정서적 반응의 경험 등을 결합해야 하며, 점진적으로 나타나는 아동의 발달단계에 보조를 맞추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의 사상은 요한 프리드리히 헤르바르트, 마리아 몬테소리, 존 듀이, 그리고 최근의 장 피아제와 언어경험접근의 주창자인 R. V. 알렌과 같은 조류이다(교육학). 페스탈로치의 교육...
    출생 :
    1746. 1. 12, 취리히
    사망 :
    1827. 2. 17, 스위스 브루게
    국적 :
    스위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역사인물 , 교육
  • 네 대의 하프시코드를 위한 협주곡 요한 세바스티안 바흐, Concerto for 4 harpsichords in a minor, BWV 1065
    차남인 칼 필립 엠마누엘 그리고 제자인 요한 루트비히 크렙스 등이 함께 연주한 것으로 알려지며, 바흐의 자필 악보는 남아 있지 않지만 사위인 요한 프리드리히 아그리콜라의 필사보를 비롯해 여러 종류의 필사보가 남아 있다. 네 대의 하프시코드가 만들어내는 화음 바이올린을 독주 악기로 내세운 비발디의 곡을...
    시대 :
    바로크
    분류 :
    고음악 > 바로크, 기악음악 > 협주곡
    제작시기 :
    1729년~1737년
    작곡가 :
    요한 세바스티안 바흐(Johann Sebastian Bach, 1685~1750)
    출판 :
    1848년
    편성 :
    독주 쳄발로 4, 바이올린 2, 비올라, 바소 콘티누오
  • 프리드리히 2세 신성로마 제국 황제
    키프로스 섬이었다. 제3차 십자군 시절에 잉글랜드의 사자왕 리처드 1세가 비잔틴 왕실 출신의 해적 왕을 몰아내면서 성립된 키프로스 왕국은 '이벨린의 요한(John of Ibelin)'이 통치하고 있었는데, 그는 예루살렘 왕국의 실력자이기도 했다. 이것으로 프리드리히의 원정 목적도 드러났다. 그는 성지 회복보다 예루살렘...
    출생 :
    1194년
    사망 :
    1250년
    국적 :
    신성로마 제국
    대표작 :
    《새와 함께 사냥하는 기술(De Arte Venandi cum Avibus)》
  • 되르펠트 Friedrich Wilhelm Dörpfeld
    요한 프리드리히 헤르바르트의 사상을 초등학교에 적용했고 전통적 학교과목의 사회적 측면을 강조했다. 뫼르스 교사양성학교를 졸업한 후 바르멘에 있는 한 학교의 교사가 되어 30년 동안 재직하면서, 교장을 지내기도 했다. 빌헬름 되르펠트의 아버지이다. 그는 헤르바르트 학파의 교육자였지만 헤르바르트보다 교육의...
    출생 :
    1824. 3. 8, 프로이센(지금의 독일) 라인 베르멜스키르센
    사망 :
    1893. 10. 27, 독일 론스도르프(지금의 부퍼탈)
    국적 :
    독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교육
  • 음악의 헌정 요한 세바스티안 바흐, Musikalisches Opfer, BWV1079
    ‘왕의 주제’를 위한 푸가 1747년 5월 7일, 요한 세바스티안 바흐는 베를린 프로이센 궁정에 도착했다. 궁정 음악가로 일하는 둘째 아들, 카를 필립 엠마누엘 바흐를 만나기 위해서였다. 당시 프로이센 궁정의 군주는 프리드리히 2세로, 뛰어난 음악 애호가이자 연주자로 유명했다. 집무실 옆에 플루트 연습실을 마련...
    시대 :
    바로크
    분류 :
    고음악 > 바로크, 기악음악 > 기타
    제작시기 :
    1747년
    작곡가 :
    요한 세바스티안 바흐(Johann Sebastian Bach, 1685~1750)
    출판 :
    1747년
    헌정 :
    프로이센 왕 프리드리히 2세
    편성 :
    제1부: 제1곡, 제2곡 쳄발로 제2부: 트라베르소, 바이올린, 바소 콘티누오 제3부: 제1곡 쳄발로 / 제2곡 바이올린 2, 바소 콘티누오 / 제3곡 트라베르소, 쳄발로 / 제4곡 바이올린 쳄발로 / 제5곡 바이올린, 쳄발로 / 제6곡 트라베르소, 바이올린, 바소 콘티누오 / 제7곡 바이올린, 쳄발로
  • 화필을 든 신비주의자, 카스파르 다비드 프리드리히 Caspar David Fri..
    요한 크리스토퍼가 구하려다 익사했으며, 17세 때는 누이 마리아가 병으로 죽었다. 이후 그는 우울증에 시달렸고, 자살을 기도하기도 한다. 16세 때 그는 고향의...고전주의 양식의 조각품들과 네덜란드의 풍경화에 고무되었으며, 시인 프리드리히 고틀리프 클롭슈토크의 자연에 대한 신비주의적 시각에 매료되었다고...
    출생 :
    1774년 09월 05일
    사망 :
    1840년 05월 07일
    국적 :
    독일
    대표작 :
    〈안개 바다 위의 방랑자〉, 〈산속의 십자가〉, 〈리젠게비르게 풍경〉, 〈인생의 단계들〉 등
  • 요한 22세 요한네스 22세, Johannes XXII
    정죄했다. 또한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권을 놓고서 바이에른의 루트비히(황제 루트비히 4세)와 오스트리아의 프리드리히가 벌이던 분쟁에도 개입했다. 1322년 루트비히가 프리드리히를 물리쳤으나 요한은 자신이 교황으로서 이 분쟁을 해결하기 전까지는 황제권을 행사하지 못하도록 금지령을 내렸다. 이에 대해...
    출생 :
    ?, 프랑스 카오르
    사망 :
    1334. 12. 4, 아비뇽
    국적 :
    바티칸시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인
  • 부활 게오르그 프리드리히 헨델, La resurrezione HWV 47
    아리아를 통해서는 등장인물의 성격을 묘사하거나 분위기를 그리고 있다. 또한 이 작품은 화려한 무대 장치를 선보인다. 루시퍼, 마리아 막달레나, 천사, 성 요한, 성 마리 클레오파스가 등장하며, 초연 시 마리아 막달레나 역할은 소프라노 마르게리타 두라스탄티(Margherita Durastanti, 1700~1734년 활동)가 맡았다...
    시대 :
    바로크
    분류 :
    고음악 > 바로크, 성악음악 > 오라토리오
    제작시기 :
    1706년~1710년경
    작곡가 :
    게오르그 프리드리히 헨델(Georg Friedrich Händel, 1685~1759)
    초연 :
    1708년 부활 주일, 로마
    등장인물 :
    • 천사(소프라노) • 루시퍼(베이스) • 마리아 막달레나(소프라노) • 성 요한(테너) • 성 마리아 클레오파스 (알토)
    배경 :
    성 금요일~부활 주일
    대본(리브레토) :
    카를로 시지그몬도 카페체
    편성 :
    현악기 39, 베이스 비올1, 트럼펫 2, 트롬본 1, 오보에 4
  • 바흐와 쌍벽을 이룬 바로크 음악의 거장, 게오르그 프리드리히 헨델 Georg F..
    캐럴라인의 아이들에게 하프시코드를 가르치는 대가로 200파운드를 더 주었다. 바로 이 무렵 헨델과 경쟁 관계에 있는 링컨즈―인―필즈 극장 음악감독 요한 크리스토프 페푸쉬가 영어 오페라 세 편을 무대에 올려 큰 성공을 거두었다. 이것으로 영어 오페라가 이탈리아 오페라를 누르고 잠시 승리를 거두는 듯 했다...
    출생 :
    1685년 02월 23일
    사망 :
    1759년 04월 14일
    대표작 :
    오라토리오 〈메시아〉, 오페라 〈리날도〉, 〈율리우스 카이사르〉, 〈크레타의 아리아드네〉 등
이전페이지 없음 1 2 현재페이지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3건

요한 프리드리히 킨트
〈루터와 요한 프리드리히〉
아돌프 프리드리히 요한 부테난트(Adolf Friedrich Johann Butenandt)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