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인연 因緣, causes and conditions씨앗이 싹을 틔울 때 그 씨앗을 인(因)으로, 그리고 햇빛·물·땅·온도 등의 조건을 연(緣)으로 본다. 이 때 인을 친인(親因)·내인(內因) 등으로, 연은 소연(疎緣)·외연(外緣) 등으로도 부른다. 이와 같은 설명은 『아함경(阿含經, Āgama)』과 『아비달마구사론(阿毘達磨俱舍論, Abhidharmakośa śāstra) 등 초기...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마천령산맥 摩天嶺山脈북반부는 이 산맥 이름이 뜻하는 바와 같이, 우리 나라에서 가장 높은 산들이 모여 있다. 즉, 백두산·대정봉(大正峯)·대연지봉(大臙脂峯, 2,360m)·소연지봉(小臙脂峯)·선오산(鮮奧山)·간백산(間白山)·소백산(小白山, 2,174m)·남포태산(南胞胎山, 2,495m)·북포태산(北胞胎山, 2,289m)·관두봉(冠頭峯, 2,136m...
- 성격 :
- 산맥
- 유형 :
- 지명
- 소재지 :
- 함경남도, 함경북도양강도
- 분야 :
- 지리/자연지리
-
생일 생신, 生日생일날을 개인적 축하일로 삼는 풍습이 전국적으로 오랜 옛날부터 전해져 내려왔다. 자녀의 생일은 부모가, 어른은 당사자나 성장한 자손이 축하하는 소연(小宴)을 베푼다. 마음이 너그러운 집에서는 하인 또는 머슴까지도 생일상을 차려준다. 생일날 당사자나 그 가족들이 새옷으로 갈아입거나 생업을 쉬는 일은 없고...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생활/주생활
-
연지봉소나무 蓮枝峰―내용 북한 천연기념물 제352호. 백두산의 대연지봉과 소연지봉 사이에서 자라고 있다. 연지봉소나무가 자라고 있는 근처에는 고산지대의 풀이 자라고 소연지봉지대에는 자작나무, 이깔나무 등과 더불어 낙엽수가 자라고 있다. 봇나무도 자란다고 하였는데 봇나무는 자작나무이다. 주변토양은 백두산에서 분출되어 쌓인...
- 문화재 지정 :
- 북한 천연기념물 제352호
- 서식지 :
- 양강도 삼지연시 신무성노동자구
- 성격 :
- 식물, 나무, 소나무
- 유형 :
- 동식물
- 분야 :
- 과학/식물
-
지험기 사경지험기(四經持驗記), 持驗記記)』는 임자도에서 얻은 문헌 중에서 영험과 관련된 부분을 발췌하여 단행본으로 엮은 것으로 보인다. 백암 성총(栢庵性聰, 1631~1700)은 징관의 『화엄경수소연의초』, 『기신론소필삭기회편』, 『정토보서』와 본 영험전 등을 판각하였다. 『화엄경수소연의초』와 『기신론소필삭기회편』은 강경(講經)을 위한 것...
- 시대 :
- 조선
- 유형 :
- 문헌/고서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
대연지봉 大臙脂峯데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 형성 및 변천 신생대 제4기에 백두화산체가 생겨난 다음 이루어진 기생화산으로 상대적 높이는 120m 정도이다. 백두산·소연지봉·북포태산·남포태산 등과 함께 백두화산대를 구성한다. 현황 대연지봉과 소연지봉 사이의 기슭의 해발 2.110m에는 1980년 1월에 천연기념물 제352호로 지정...
- 성격 :
- 산
- 유형 :
- 지명
- 면적 :
- 높이 2,358m
- 소재지 :
- 양강도 삼지연시 신무성 노동자구
- 분야 :
- 지리/자연지리
-
어가 御駕한다. 왕의 승용기구로는 중국에서는 수레류가 많았으나 우리 나라에서는 사용되지 않았고, 주로 가마류와 말이 많이 사용되었다. 그 종류에는 대연(大輦)·소연(小輦)·소여(小輿)·어마(御馬) 등이 있었다. 대연은 두 개의 긴 들채 한 가운데 4개의 기둥을 세우고 지붕과 차양을 설치한 내부에는 의자를 고정하여 왕이...
- 시대 :
- 조선
- 성격 :
- 운송기구
- 유형 :
- 제도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1920년대를 대표하는 한국 문학가, 김명순 남자들 세상인 문단에 발을 들이다봄 네거리에 서서」, 『조선일보』에 소설 「돌아다 볼 때」 · 「탄실이와 주영이」 등을 발표한다. 김명순, 「돌아다 볼 때」, 『조선일보』 연재(1924) 소연의 그 얼굴은 해쓱하게 변했다. 그는 입술까지 남빛으로 변했다. 은순은 가만히 앉았다가, 차를 따르려 탁자 앞으로 가서 그 앞에 걸린 거울 속을 들여다...
- 출생 :
- 1896년
- 사망 :
- 1951년
-
연례 燕禮신하들의 절대 복종을 강요하는 행사로 궁내에서 자주 치러졌다. 참가 범위는 연회의 규모에 따라 다르다. 그 규모는 세 가지로 대연(大宴)·중연(中宴)·소연(小宴)이 있다. 대연은 국가의 큰 경사가 있을 때 이루어지는 행사로 문무의 제신과 종친(宗親)·비빈(妃嬪)이 한 자리에 모여서 나라의 경사를 축하하는 큰...
- 성격 :
- 국가의례, 잔치의식
- 유형 :
- 의식행사
- 장소 :
- 궁내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귀여운 여인 (2003년 드라마)않고 꿈을 향해 달려가는 두 여자의 사회적 편견과 장벽을 뛰어 넘는 사랑과 성공 이야기. 최종학력 고졸에 무일푼. 가진 것이라고는 젊음과 미모뿐인 소연과 흔하디 흔한 박사학위 외에는 아무것도 가진 것이 없는 승은. 결혼을 통한 신분상승을 꿈꾸던 소연과 교수사회 진입을 통한 사회적 성공을 꿈꾸는 승은은 각각...도서 위키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