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대방광불화엄경소 대소주경, 大方廣佛華嚴經疏고려전기 승려 의천의 주도로 송나라에서 수입한 『대화엄경』 ‘대소주경(大疏注經)’ 120권의 경판 가운데 41첩을 인쇄한 불교경전이다. 의천이 은 3,000냥을 주고 송나라에 주문하자 1087년 3월에 송나라 상인 서전(徐戩) 등 20명이 2,900여 판을 가지고 왔는데, 바로 그 인본이다. 계명대학교 소장으로 2011년 보물...
- 시대 :
- 고려 전기
- 유형 :
- 문헌/고서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
대방광불화엄경소 주화엄경소(注華嚴經疎), 大方廣佛華..『대방광불화엄경소(大方廣佛華嚴經疏)』는 11세기에 송나라 승려 정원(淨源)이 80권본 『화엄경』의 본문을 나누고 그에 해당하는 징관(澄觀)의 주석서 『대방광불화엄경소(大方廣佛華嚴經疏)』를 함께 수록해 편집한 목판을, 고려 승려 의천이 가져와 14세기경 인쇄한 불교 논서이다. 이후 이 목판은 일본으로 건너간 ...
- 시대 :
- 고려
- 유형 :
- 문헌/고서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
대방광불화엄경소 화엄경(華嚴經), 大方廣佛華嚴經疏고려후기 에 간행한 『화엄경』을 풀이한 주석서. 불교서. 개설 이 책은 대승 경전의 하나인 실차난타(實叉難陀) 번역의 80권 『화엄경』주본(周本)을 저본으로 하여, 당나라 징관(澄觀, 738∼839)이 뜻을 알기 쉽게 풀이하고 송나라 정원(淨源, 1011∼1088)이 해석을 덧붙인 교장(敎藏)의 하나이다. 편찬/발간 경위 ...
- 시대 :
- 고려전기
- 저작자 :
- 징관 주해, 정원 주소
- 문화재 지정 :
- 보물 제1707호
- 창작/발표시기 :
- 고려시대
- 성격 :
- 주석서, 불교서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41권 41첩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 소장/전승 :
- 대구광역시 달서구 달구벌대로 1095 계명대학교
-
대방광불화엄경소 권42 주화엄경소(注華嚴經疎), 大..개설 『대방광불화엄경소(大方廣佛華嚴經疏)』 권42는 보물 제891호이다. 이 문헌은 송나라 화엄학승인 정원(淨源, 1011~1088)이 80권본 『화엄경』의 본문을 나누고, 본문 아래에 80권본 『화엄경』에 대한 징관(澄觀, 738~839)의 주석서 『대방광불화엄경소(大方廣佛華嚴經疏)』의 해당 부분을 실은 총 120권의 주석서...
- 시대 :
- 고려
- 유형 :
- 문헌/고서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
대방광불화엄경소 권41 주화엄경소(注華嚴經疎), 大..개설 『대방광불화엄경소(大方廣佛華嚴經疏)』 권41은 1988년 지정된 보물로, 송나라 화엄학승인 정원(淨源, 1011~1088)이 80권본 『화엄경』 본문을 나누고 그 아래에 80권본 『화엄경』에 대한 징관(澄觀, 738~839)의 주석서(『대방광불화엄경소』)의 해당 부분을 실은 총 120권의 주석서 중 제41권이다. 참고로 80...
- 시대 :
- 고려
- 유형 :
- 문헌/고서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
대방광불화엄경소 권28~30, 권100~102 주화..송나라 화엄학승인 정원(淨源, 1011~1088)이 80권본 『화엄경』 본문을 나누고 그 아래에 80권본 『화엄경』에 대한 징관(澄觀, 738~839)의 주석서인 『대방광불화엄경소(大方廣佛華嚴經疏)』의 해당 부분을 실은 총 120권의 주석서 중 제28~30권, 제100~102권에 해당한다. 참고로 80권본 『화엄경』은 주본(周本...
- 시대 :
- 고려
- 유형 :
- 문헌/고서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
하동 청계사 대방광불화엄경소 청계사 화엄경소(淸溪寺..서지사항 하동 청계사 『대방광불화엄경소』는 1556년에서 1564년 사이에 간행된 귀진사 개판본 38책과 1635년 송광사에서 중각한 2책(권1~2, 권10~12)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총 수량은 119권 40책이다. 표지 서명은 ‘화엄경(華嚴經)’, 권수제(卷首題)는 ‘대방광불화엄경소(大方廣佛華嚴經䟽)’, 판심제는 ‘華嚴...
- 시대 :
- 조선 후기
- 유형 :
- 문헌/고서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대방광불화엄경소 권84, 100, 117 주화엄경소..개설 『대방광불화엄경소(大方廣佛華嚴經疏)』 권84, 100, 117은 보물 제1106호이다. 이 문헌은 송나라 화엄학승인 정원(淨源, 1011~1088)이 80권본 『화엄경(華嚴經)』의 본문을 나누고, 본문 아래에 80권본 『화엄경』에 대한 징관(澄觀, 738~839)의 주석서 『대방광불화엄경소(大方廣佛華嚴經疏)』의 해당 부분을...
- 시대 :
- 고려
- 유형 :
- 문헌/고서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
대방광불화엄경소 권68 주화엄경소(注華嚴經疎), 大..개설 『대방광불화엄경소(大方廣佛華嚴經疏)』 권68은 보물 제1013호이다. 이 문헌은 송나라 화엄학승인 정원(淨源, 1011~1088)이 80권본 『화엄경(華嚴經)』의 본문을 나누고, 본문 아래에 80권본 『화엄경』에 대한 징관(澄觀, 738~839)의 주석서 『대방광불화엄경소(大方廣佛華嚴經疏)』의 해당 부분을 실은 것으로...
- 유형 :
- 문헌/고서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
대방광불화엄경소 권30 주화엄경소(注華嚴經疎), 大..개설 『대방광불화엄경소(大方廣佛華嚴經疏)』 권30은 보물 제1124호이다. 이 문헌은 송나라 화엄학승인 정원(淨源, 1011~1088)이 80권본 『화엄경(華嚴經)』의 본문을 나누고, 본문 아래에 80권본 『화엄경』에 대한 징관(澄觀, 738~839)의 주석서 『대방광불화엄경소(大方廣佛華嚴經疏)』의 해당 부분을 실은 것으로...
- 시대 :
- 고려
- 유형 :
- 문헌/고서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
대방광불화엄경소 권21, 24 大方廣佛華嚴經疏 卷二..개설 『대방광불화엄경소(大方廣佛華嚴經疏)』 권21, 24는 송나라 화엄학승인 정원(淨源, 1011~1088)이 쓴 80권본 『화엄경(華嚴經)』의 본문을 나누고, 그 아래에 80권본 『화엄경』에 대한 징관(澄觀, 738~839)의 주석서 『대방광불화엄경소(大方廣佛華嚴經疏)』의 해당 부분을 실은 총 120권의 주석서 중 제 21...
- 유형 :
- 문헌/고서
- 분야 :
- 종교·철학/불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