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이본으로 본 한문 소설 베스트 10, 창선감의록 彰(倡)善感義錄을 잊었으니 ‘망팔(忘八)’이다. 여기서 ‘팔(八)’은 삼강(三綱)에 오륜(五倫)을 더한 것이니, 인간의 기본 윤리인 ‘삼강과 오륜’이 없다는 뜻이다. 우리가 종종 쓰는 ‘망할’은 이 망팔이 변한 것이라 한다. 앞 구절과 뒤 구절을 합치면 ‘무치망팔(無恥忘八)’이니, 해석할 것도 없이 ‘부끄러움을 모르고 삼강...
-
권선지로가 공부자궐리가, 勸善指路歌퇴계선생인택가(退溪先生仁宅歌)』에 실려 있다. 「등루가」는 1930년 정인환(鄭寅煥)과 윤영구(尹寧求)가 이이의 「자경별곡(自警別曲)」을 모방해 「삼강오륜자경별곡(三綱五倫自警別曲)」을 지어 석판으로 간행한 일이 있는데, 그 서문에 「부퇴계선생등루가(附退溪先生登樓歌)」라고 이 노래를 실어 놓은 것이...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미상
- 창작/발표시기 :
- 조선시대
- 성격 :
- 가사
- 유형 :
- 작품
- 분야 :
- 문학/고전시가
-
-
불우헌집 不憂軒集굳게 다지자고 하였다. 세 편의 소 가운데 「태학청주요승행호소( 太學請誅妖僧行乎疏)」는 불교를 배척한 상소이다. 불교의 무부무군(無父無君)한 교리와 삼강오륜(三綱五倫)을 파괴하는 부도덕성을 지적하면서 국가의 재정에도 커다란 피해가 있으므로 하루빨리 뿌리뽑아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다음으로 「치사후진...
- 시대 :
- 조선
- 유형 :
- 문헌
- 분야 :
- 문학/고전시가
-
-
감계화 권계화(勸戒畵), 鑑戒畵하였다. 숙종 연간에 김진여(金振汝)가 그린 《성적도첩(聖蹟圖帖)》, 영조 연간의 《선가법첩(善可法帖)》이 그러하다. 한편 행실도는 유교의 기본 원리인 삼강오륜(三綱五倫)을 백성들에게 교화할 목적으로 제작한 것이다. 1434년(세종 16) 『삼강행실도』를 시작으로 『속삼강행실도』, 『이륜행실도』, 『오륜행실도...
- 시대 :
- 조선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예술·체육/회화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
김대비훈민전 金大妃訓民傳사회생활에 있어서 여성이 마땅히 따라야 할 덕목을 하나씩 나열하면서 김대비란 인물이 훈도하는 형식으로 되어 있다. 첫머리에 “요순우탕 나신 후로 오륜삼강 밝았으니 그 아니 천명일까……”라 하여, 오륜삼강(五倫三綱)이 하늘의 명임을 밝히는 것으로 시작한다. 이어서 사람들이 윤리를 저버리고 인륜을 천하게...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미상
- 성격 :
- 교훈서
- 유형 :
- 작품
- 분야 :
- 문학/고전산문
- 소장/전승 :
- 단국대학교 율곡기념도서관
-
1900년대 한국문학에 영향을 준 사건, 삼전론 三戰論처지(處地)에는 반드시 서로 가까워지는 기운의 응함이 있으리니 생각하고 생각하여 천지의 감동하는 정신을 어기지 말라. 대개 효제 충신(孝悌 忠信)과 삼강 오륜(三綱五倫)은 세계에서 부러워하는 바라. 그러므로 “인의예지(仁義禮智)는 선성(先聖)의 가르친 바라.”고 하였나니 우리 도의 종지(宗旨)와 삼전의 교리...
- 시기 :
- 1902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