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정화제 서망(西望), 鄭華齊
    1667년(현종 8)에 지평이 되었으며, 정언·장령·헌납·사서 등의 관직과 차왜(差倭) 귤성진(橘成陳)을 접대하기 위한 접위관(接慰官)을 지냈다. 1669년에는 복선군(福善君) 이구(李灸) 등과 함께 서장관으로 청을 다녀오기도 하였다. 그는 경제문제에 관심이 많아 진휼정책의 필요성과 효과적 수행, 전마(戰馬)의 방목...
    시대 :
    조선
    출생 :
    1618년(광해군 10)
    사망 :
    1674년(현종 15)
    경력 :
    사서
    유형 :
    인물
    직업 :
    문신
    성별 :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본관 :
    동래(東萊)
  • 유상운 유구(悠久), 柳尙運
    승정원주서로 기용되었다. 그 뒤 지평과 홍문관교리를 역임하고, 1680년 대사간으로 특진되었다. 같은 해 경신대출척 때 허견(許堅)의 추대로 역모에 가담한 복선군(福善君)을 탄핵해 당쟁을 노론 측에 유리하도록 이끌었다. 그 뒤 평안도관찰사에 제수되었고, 1683년 사은부사가 되어 청나라에 다녀왔다. 이어서 다시...
    시대 :
    조선
    유형 :
    인물/전통 인물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이진복 심여(心汝), 李鎭復
    그의 조부인 복평군 인의 관작(官爵)을 다시 복구시켰다. 복평군은 1680년 경신대출척 때 남인 허견(許堅) 등의 추대를 받아 역모를 한다는 무고를 받고, 복선군(福善君)·복창군(福昌君)과 함께 역모죄로 유배, 사사되었었다. 1763년 특명에 의해 설서(說書)로 발탁되고, 1766년 6품에 올라 정언에 임명되었으나 종실의...
    시대 :
    조선
    출생 :
    1744년(영조 20)
    사망 :
    미상
    경력 :
    장령, 부교리, 헌납, 돈녕부도정
    유형 :
    인물
    관련 사건 :
    경신대출척
    직업 :
    문신
    성별 :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본관 :
    전주(全州)
  • 인평대군의 우애를 기리다
    등극한 봉림대군과 매우 우애가 깊었다. 효종과 인평대군의 우애는 자식들에게까지 이어졌다. 그래서 현종 시절에는 인평대군의 아들들인 복창군 이정, 복선군 이남, 복평군 이연 등의 대궐 출입이 잦았고 우애 또한 변함없었다. 그러나 한 치 걸러 두 치가 인심인지 피보다 권력이 더 좋은 것인지, 남인이 실각하는...
    관련 장소 :
    낙산
  • 이연 복평군(福平君), 李㮒
    개설 할아버지는 인조이며, 아버지는 삼남 인평대군(麟坪大君)이다. 복평군(福平君)에 봉하여졌다. 생애 및 활동사항 1680년(숙종 6) 경신대출척 때 형 복선군(福善君)이 남인인 허견(許堅) 등의 추대로 역모를 하였다는 무고를 받게 되었는데, 고변서 중에 기록되어 있는 허새(許璽)·이덕주(李德周)·유성상(柳星相...
    시대 :
    조선
    출생 :
    미상
    사망 :
    1680년(숙종 6)
    유형 :
    인물
    직업 :
    왕족, 종실
    성별 :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보사공신 保社功臣
    무력 양성을 한다는 구실로 고변하였다. 즉, 1680년 4월에 서인인 김석주와 김익훈(金益勳) 등은 허적의 서자인 허견(許堅)이 종실인 복창군(福昌君)·복선군(福善君)·복평군(福平君)과 함께 역모한다고 고발하였다. 이에 따라 남인 세력은 몰락하고 서인이 다시 집권했는데, 이 사건을 ‘경신대출척’이라고 일컬었다...
    시대 :
    조선
    성격 :
    공신(功臣), 칭호, 공신제도
    유형 :
    제도
    시행일 :
    1680년(숙종 6)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이정 복창군, 李楨
    3남 인평대군(麟坪大君)이다. 복창군(福昌君)에 봉하여졌다. 생애 및 활동사항 진하 겸 사은정사로 청나라에 다녀왔으며, 1680년 경신대출척 때에는 남인 허견(許堅) 등의 추대를 받아 역모를 한다는 무고를 받고, 복선군(福善君)·복평군(福平君)의 두 아우와 함께 삼복(三福)이 역모죄로 유배, 사사되었다. 참고문헌
    시대 :
    조선
    출생 :
    미상
    사망 :
    1680년(숙종 6)
    유형 :
    인물
    직업 :
    왕족, 종실
    성별 :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단암만록 丹巖漫錄
    추려 기록한 것이다. 그 가운데 몇 가지를 들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당시 남인의 영수인 영의정 허적(許積)의 첩의 아들 견(堅)이 갖은 만행을 자행하며 종실 복선군(福善君)·복창군(福昌君) 등과 반역을 꾀하다가 서인측 김석주(金錫胄)의 고변으로 주살되고 남인이 실각했던 이른바 삼복사건(三福事件)이 기록...
    시대 :
    조선
    저작자 :
    민진원
    창작/발표시기 :
    1728년
    성격 :
    실기, 초록집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2책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소장/전승 :
    규장각 도서
  • 석 달 사이에 충신에서 역적이 된 윤휴
    위해 가끔 사용하던 방식이다. 그러나 1680년(경신년) 1월부터 정국은 조짐이 좋지 않았다. 허적의 아들 허견과 인평대군의 세 아들(복창군과 복평군, 복선군)이 역모를 기획했다고 하여, 흔히 삼복의 변이라 일컫는 사건이 발생한 것이다. 이 사건으로 임금의 모후 명성대비와 그의 오빠 김석주는 남인 정권에 왕위가...
    관련 장소 :
    동작나루
  • 현종비 명성왕후 봉왕비 옥책 顯宗妃 明聖王后 封王妃 玉冊
    왕대비가 되었고, 왕대비에 오른 뒤 조정의 일에 자주 간섭하여 남인들의 비난을 샀다. 그리고 인평대군[인조의 셋째 아들]의 세 아들 복창군(福昌君)과 복선군(福善君), 복평군(福平君)이 숙종의 왕권에 위협이 된다고 판단하여 그들이궁녀들과 불륜의 관계를 맺었다고 모함하여 죽이려 하였는데 이것이 바로 ‘홍수...
    분류 :
    유물 > 어책
    크기 :
    세로: 25.0cm, 길이: 130.2cm, 두께: 1.7cm, 폭: 20.2cm, 편폭(片幅): 4.0cm
    재질 :
    청옥(靑玉), 동(銅), 비단
  • 삼복의 옥
    출처 필요 삼복의 옥(三福-獄)은 조선 숙종때의 정승 허적(許積)의 서자 허견이 종실 복창군(福昌君), 복선군(福善君), 복평군(福平君)의 3형제와 역모를 꾸민다고 고변하면서 발생한 사건이다. 이 사건으로 허견과 허적이 사사되고, 허견과 직접 관련이 없는 윤휴가 사사당했으며, 허목 역시 죄인으로 몰려 파직, 문외...
    도서 위키백과
  • 복창군 福昌君
    대군의 아들이다. 인평대군과 효종의 우애가 돈독하였기 때문에 효종 또한 인평대군의 아들들을 총애하였고 사촌인 현종과는 매우 두텁게 지냈다. 두 동생인 복선군(福善君), 복평군(福平君)과 함께 삼복(三福)이라 불리며 왕실의 종친으로서 위세를 떨쳤다. 하지만 삼복 형제의 세력이 커질 것을 경계하던 숙종의...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1 2 현재페이지3 4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