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민들레 금잠초, Dandelion
    포공영이라고 하여 한방에서 해열, 발한제로 약용했으며 비타민 A와 같은 화학구조를 가지고 있어서 야맹증의 치료약으로도 이용되며 변비에도 효과가 있다. 민들레에는 이눌린, 팔미틴, 세로틴 등 특수성분이 함유되어 되어 있다. 어린 잎을 나물로 먹는다. 민들레의 어린 싹에는 비타민 B1, C가 많이 함유되어 있다...
    분류 :
    국화과
    서식지 :
    들이나 길가
    학명 :
    Taraxacum platycarpum
    분포지역 :
    한국, 중국, 일본
    번식 :
    종자
    생활사 :
    여러해살이풀
  • 민들레
    끝에 짧은 부리가 있고 가장자리에 연모가 있으며 윗부분이 뒤로 젖혀진다. 열매 수과는 홈과 돌기가 있고 부리는 4mm이며 관모는 갈색이 도는 백색이다. 줄기 줄기는 없고, 화경은 높이 7~30cm이다. 생육환경 원야 용도 어린잎은 식용한다. 특징 본종은 흰민들레에 비하여 꽃부리가 백색이고 총포가 길며 털이 적다...
    분류 :
    초롱꽃목 > 국화과 > 민들레속
    꽃색 :
    백색, 녹색
    학명 :
    Taraxacum mongolicum Hand.-Mazz.
    개화기 :
    5월, 6월, 4월
  • 서양금혼초 개민들레, Spotted catsear
    유럽 원산이며, 국내에는 1980년 대 초에 목초 종자와 혼합 유입되어 제주도 전역으로 확산되었으며, 1987년 서울 올림픽공원에서 채집되었다. 얼핏보기에 민들레와 같다고 하여 제주도에서는 개민들레라고 한다. 서양금혼초의 수용추출물에 함유되어 있는 타감물질(alleochemicals)이 화본과(예, italian ryegrass)와...
    분류 :
    현화식물문 > 목련강 > 국화목 > 국화과 > 금혼초속
    서식지 :
    목초지, 저지대 빈터
    학명 :
    Hypochaeris radicata L.
    국내분포 :
    서울, 전라북도, 부산, 제주도
    해외분포 :
    유럽(원산), 북미(귀화), 아시아(귀화)
  • 흰노랑민들레
    모여나기하고, 피침형, 끝은 뭉뚝하고, 밑은 좁아지며, 가장자리는 깊게 갈라지고, 양 면에 털이 있으며, 갈래는 5~6쌍,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꽃 민들레보다 개체수가 훨씬 적다. 연노란색이 피며, 민들레와 흰 민들레가 합쳐진 것처럼 보인다. 머리모양꽃차례는 꽃대 위에 1개씩 붙고, 총포는 엷은 녹색, 꽃이 필...
    분류 :
    초롱꽃목 > 국화과 > 민들레속
    꽃색 :
    노란색, 녹색
    학명 :
    Taraxacum coreanum var. flavescens Kitam.
  • 민들레 금잠초, Mongolian dandelion
    생물학적 특징 다년생 초본, 원줄기는 없음, 대생, 옆으로 퍼짐. 도피침형의 선형, 길이 6-15cm, 나비 1.2-5cm, 우상열편, 열편은 6-8쌍, 털이 존재, 거치가 존재, 꽃은 양성화, 4-5월에 개화, 황색, 두상화서, 짧은 화경에 1개의 화서가 달림, 백색 털이 밀생하나 없어짐 열매는 수과, 갈색, 긴타원형, 윗부분에 뾰족한...
    분류 :
    국화과(Compositae)
    서식지 :
    원야
    학명 :
    Taraxacum mongolicum H. MAZZ.
    본초명 :
    포공영(蒲公英)
    분포지역 :
    한국(전역), 일본
    근연식물 :
    흰민들레
  • 민들레동산 캠핑장
    민들레 동산 캠핑장은 165,000㎡의 넓은 면적에 자연경관을 활용하여 숲을 조성하고, 숲에서 다양한 체험활동을 할 수 있는 곳이다. 파쇄석 바닥 오토캠핑장 50면과 카라반 5대로 구성되어 있으며 넓은 부지에 메타세쿼이아가 높은 숲을 이룬다. 숲에서 피톤치드 향기를 마시며 삼림욕을 즐길 수 있고 작은 개울이 길게...
    위치 :
    전북특별자치도 완주군 화산면 하용마안길 35-152
  • 민들레거세미나방 Xestia ditrapezium (〔Denis et Schiffermüller〕)
    날개편길이 43mm 내외. 남한 전역에 분포하나 부속도서에서의 기록은 없다. 북한에서는 경성, 주을, 원산, 묘향산, 무산 인근 두망강변에서 기록이 있다. 국외에는 일본, 중국, 러시아 극동지역에서 유럽 남부, 이탈리아, 불가리아까지 넓게 분포하는 유라시아종이다. 성충은 6~8월에 나타난다. 이 나방의 이름은 유충의...
    분류 :
    나비목>밤나방상과>밤나방과
    크기 :
    날개편길이 43mm 내외
    학명 :
    Xestia ditrapezium (〔Denis et Schiffermüller〕)
    분포지역 :
    남한 전역, 북한(경성, 주을, 원산, 묘향산, 무산 인근 두망강변), 일본, 중국, 러시아 극동지역~유럽 남부, 이탈리아, 불가리아
  • 서양민들레
    약포공영, 약민들레, 미국민들레라고도 한다. 원래 유럽 원산의 귀화식물로 전국 각지의 산야지 낮은 지대 특집 근처의 밭둑 및 왕성한 번식률을 가진 풀로서 장소를 가리지 않고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높이는 25cm 안팎이다. 민들레와 크게 다른 점은 꽃받침이 밑으로 젖혀져 있다. 흰민들레나 민들레같은 재래종은 꽃...
    분류 :
    국화과
    서식지 :
    산야지
    학명 :
    Taraxacum officinale Weber
    분포지역 :
    유럽, 북아메리카, 한국, 일본, 중국
    번식 :
    종자
    생활사 :
    여러해살이풀
  • 민들레
    조선포공영, 백화포공영라고도 한다. 우리나라 남부지방, 중부지방, 북부지방의 산야지 대개는 낮은 지대의 집 근처 텃밭이나 길가, 언덕 등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높이는 30cm 안팎이다. 원줄기가 없고 모든 잎이 뿌리에서 나와 비스듬히 자란다. 잎은 도피침형이며 밑부분이 점차 좁아지고 양면에 털이 약간 있으며...
    분류 :
    국화과
    서식지 :
    낮은 지대의 집 근처 텃밭이나 길가, 언덕
    학명 :
    Taraxacum coreanum Nakai.
    분포지역 :
    한국, 중국, 일본
    번식 :
    종자
    생활사 :
    여러해살이
  • 보은 하얀민들레한옥마을
    하얀민들레한옥마을은 보은군에 위치하고 있다. 한옥마을 객실은 윗동과 아랫동으로 분리되는데, 윗동은 숙박실과 식사공간으로, 아랫동은 숙박실과 사랑채, 갤러리로 이루어져 있다. 직접 덖어낸 민들레차도 맛볼 수 있으며, 단체 손님의 경우 식사도 제공한다. 체험활동으로는 자수와 천연염색이 있다. 스카프, 식탁보...
    위치 :
    충청북도 보은군 회인면 부수길 111-2 (회인면)
  • 민들레김치
    식재료 민들레 200g, 붉은 고추 30g(2개), 생강 5g(1쪽), 고춧가루 1큰술, 찹쌀풀 2큰술, 감초물 2큰술, 들깨죽 1큰술, 소금 1큰술, 통깨 약간 조리방법 1. 민들레를 깨끗이 씻어서 소쿠리에 밭쳐 둔다. 2. 붉은 고추와 생강은 함께 갈아 놓는다. 3. 찹쌀풀, 감초물, 들깨죽, 고춧가루, 소금, 갈아 놓은 붉은 고추, 생강...
    분류 :
    부식류 > 김치류
    성격 :
    가열하지 않는 음식 > 소금이나 장류에 절이는 음식
  • 민들레 씨앗 위에 올라간 금속
    금속을 어느 정도까지 가볍게 만들 수 있을까? 최근 미국 휴스연구소(HRL) 토비아스 새들러 박사팀이 민들레 씨앗보다 가벼운 금속을 개발했다. 이 금속은 1㎤ 당 무게가 0.009g에 불과하다. 연구팀은 자외선에 굳는 액체 물질 위에 그물망을 올려놓고 자외선을 쬐어 격자 구조의 중합체를 만들어냈다. 여기에 니켈-인...
    도서 과학향기 | 태그 과학 일반
이전페이지 없음 1 2 현재페이지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관련항목

멀티미디어2건

민들레류
민들레 꽃(Taraxacum)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