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연려실기술 燃藜室記述
    자, 문형(文衡)을 장악한 자, 특별한 공이 있는 자 등 여러 부류로 나누어 서술하되 객관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인 인물평을 한꺼번에 싣도록 했다. 이것이 원집(原集)이다. 또한 따로 역대 관직을 위시하여 각종 전례(典禮)·문예·천문·지리·변어(邊圉 : 대외관계) 및 역대 고전 등에 관한 것들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문헌
  • 관각문학 관각문(館閣文), 館閣文學
    관각문자는 보다는 문에 역점이 주어진 것이다. 관각에서 애용하는 문체를 특히 '관각체'라 부르기도 한다. 서거정(徐居正)은 일찍이 문장의 성격을 구별하여 대각(臺閣)의 문장, 선도(禪道)의 문장, 초야(草野)의 문장 등으로 구분한 바 있다. 이 가운데 '대각의 문장'은 곧 관료층의 문장을 말하는 것이므로 관각의...
    유형 :
    개념
    분야 :
    문학/한문학
  • 동문수 東文粹
    초기의 문장을 더 추가하여 1488년(성종 19)에 재편한 것이다. 김종직은 가학(家學)으로 소년시절부터 독실히 공부하여 약관에 벌써 문명(文名)을 떨쳤다. 와 문에 있어서는 당대의 독보적인 존재였다. 당시 서거정(徐으居正)이 비록 문형(文衡 ; 대제학)을 쥐고 있었지만 서거정이 가장 두려워하는 적수였다. 서거정...
    시대 :
    조선
    저작자 :
    김종직
    창작/발표시기 :
    조선 전기
    성격 :
    문집, 문선집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10권 3책, 10권 5책
    분야 :
    문학/한문학
    소장/전승 :
    국립중앙도서관, 규장각 도서
  • 성세창 번중(蕃仲), 成世昌
    재임 인사 행정이 불공정하였다는 이유로 서반(西班)으로 좌천되기도 하였다. 그 뒤 다시 동반(東班)으로 복직되어 사간원헌납 · 홍문관교리 · 사헌부집의 등 삼사(三司)의 요직을 거쳤고, 사간원사간으로서 천문이습관(天文肄習官)을 겸임하였다. 1518년에 조광조(趙光祖) 등이 현량과(賢良科)를 실시하려 하자...
    시대 :
    조선
    유형 :
    인물/전통 인물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어세겸 자익(子益), 魚世謙
    한다. 문무를 겸비하여 내외치(內外治)에 많은 업적이 있다. 특히 성종 말에는 권근(權近) · 윤회(尹淮) · 변계량(卞季良) · 최항(崔恒)의 뒤를 이어 문형(文衡: 대제학의 별칭)을 담당하였다. 1483년 서거정(徐居正) · 노사신(盧思愼)과 함께 『연주격(聯珠詩格)』과 『황산곡시집(黃山谷詩集)』을 한글로 번역...
    시대 :
    조선
    유형 :
    인물/전통 인물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소화귀감 小華龜鑑
    훈신(勳臣)·청백리(淸白吏)·묘정 배향(廟庭配享)·문형(文衡)·초선(抄選)·공신(功臣)의 명단이 붙어 있다. 초기의 기사는 의례와 외교에 관한 것이고, 후기...생육신전(生六臣傳)」, 임제(林悌)의 「원생몽유록(元生夢遊錄)」, 왕방연(王邦衍)의 한글 시조와 한역(漢譯詩)를 게재해 풍부한 자료집의 구실을 할 수...
    시대 :
    조선
    성격 :
    역사서
    유형 :
    문헌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하정집 荷亭集
    2에 348수, 권3에 소(疏) 25편, 계(啓) 3편, 주(奏)·장(狀)·별단(別單) 각 1편, 권4에 책문(冊文)·윤음(綸音)·상량문·제문·악장(樂章)·교서(敎書)·치제문(致祭文) 등의 응제문(應製文) 83편, 권5에 서(序) 10편, 기(記) 13편, 발(跋) 7편, 명(銘) 9편, 설(說) 3편, 서(書) 3편, 잡저 6편, 권6에 제문 17...
    시대 :
    근대
    저작자 :
    김영수(金永壽)
    창작/발표시기 :
    1916년
    성격 :
    시문집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8권 4책
    간행/발행 :
    김갑수, 홍순형
    분야 :
    종교·철학/유교
    소장/전승 :
    장서각 도서, 연세대학교 도서관, 중앙대학교 도서관
  • 궤도공(일반)
    운반한다. 레일을 운반·배열하고 상부에 침목설치 위치를 표시한다. 레일을 문형크레인을 사용하여 들어 올리고 침목을 운반하여 레일에 표시된 간격으로 배열...레일접촉면에 절연재를 삽입하여 견고히 체결한다. 콘크리트 타설 까지 변위 또는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궤광을 들어올리고 방진상자(Rubber Boot...
    교육수준 :
    9년 초과 ~ 12년 이하(고졸 정도)
    숙련기간 :
    2년 초과 ~ 4년 이하
    작업강도 :
    힘든 작업
    작업장소 :
    실외
    직무기능(자료) :
    수집
    직무기능(사람) :
    관련없음
    직무기능(사물) :
    정밀작업
    유사명칭 :
    선로원, 궤도원, 철도궤도공, 철도선로원, 철도선로설치원
    고용직업분류 :
    [7052]철로 설치·보수원
    표준직업분류 :
    [7842]철로 설치 및 보수원
    자격/면허 :
    철도토목기능사
    표준산업분류 :
    [F421]기반조성 및 시설물 축조관련 전문공사업
    조사연도 :
    2014년
    도서 한국직업사전 | 태그 직업
  • 정혜공주묘비 貞惠公主墓碑
    발굴에는 이미 대부분 떨어지고 흔적만 남아 있었다. 묘실 안에서는 묘비와 함께 높이 62㎝ 정도의 돌사자 2기, 옥구슬 등이 수습되었다. 묘비는 규형으로 높이 90㎝, 너비 49㎝, 두께 29㎝이며, 정면에는 비문이 음각되었고 둘레에는 덩굴무늬가, 윗부분에는 구름무늬가 새겨져 있다. 해서체(楷書體)로 새겨진 비문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발해
  • 건도크 graving dock, dry dock
    조선용의 시설. 해안을 파고 그 입구를 폐쇄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배수함으로써 선체 공사가 가능하게 된다. 입구의 폐쇄에는 톡상문선이 사용되고 폐쇄는 외부의 수압에 의해 밀폐된다. 대형선의 건조에는 건조용 도크(building dock)가 사용되고 대형 어셈블리 블록 반입을 위해 수백톤의 능력을 가진 문형...
    도서 기계공학대사전 | 태그 기계
  • 일어일문학 日語日文學
    따라 강좌를 마련하였다. 어학에서는 음운, 어휘, 문법, 방언, 계통, 어학사, 문형, 표현법 등이 다루어졌고, 특히 일본어 한자음에 대한 연구도 행해졌다. 문학...여섯 시대로 나누었고, 장르는 가사(歌詞), 모노가타리(物語)·수필·소설··극문학 등이 있다. 석사논문 제목에 나타난 초기의 연구 경향은 어학의...
    시대 :
    현대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문학/현대문학
  • 일본국유철도의 전동차 목록 国鉄の車両形式一覧
    2문형 전환식 크로스시트 채용 차량. 초대 마린 라이너용 전동차. 401계 전동차 - 근교형 전동차 확립. 교직류 겸용이며, 조반선 (50Hz) 구간 투입용. 403계 전동차 - 401계 출력 증강형. 413계 전동차 - 교직류 급행형 전동차 차체 개조형. 호쿠리쿠 본선용. 415계 전동차 - 403계와 423계를 통합한 50/60Hz 겸용 차량...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1 2 현재페이지3 4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