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루트비히 포이어바흐 Ludwig Andreas Feuerbach유물론을 받아들였다. 포이어바흐는 정치적 격동기인 1848~49년에 종교적 정통 교리를 공격했기 때문에 많은 혁명가들로부터 영웅 취급을 받았다. 특히 무신론의 색채가 짙은 저서 〈비판적으로 본 예수의 생애 Das Leben Jesu kritisch bearbeitet〉(1835~36)를 쓴 다비트 프리드리히 슈트라우스, 자신과 마찬가지로...
- 출생 :
- 1804. 7. 28, 바이에른 란트슈트
- 사망 :
- 1872. 9. 13, 독일 레헨베르크
- 국적 :
- 독일
-
-
-
-
알타이저 Thomas J(onathan) J(ackson) Altizer우리 존재 안에서 죽었다"고 주장했다. 그는 〈미르체아 엘리아데와 신의 변증법 Mircea Eliade and the Dialectic of the Sacred〉(1963)·〈그리스도교 무신론의 복음 The Gospel of Christian Atheism〉(1966)·〈급진신학과 신의 죽음 Radical Theology and the Death of God〉(윌리엄 해밀턴과 공저, 1966)·〈지옥...
- 출생 :
- 1927. 9. 28, 미국 매사추세츠 케임브리지
- 국적 :
- 미국
-
마우트너 Fritz Mauthner경험에 바탕을 둔 진리의 척도에 대한 가정을 세웠다. 언어적 분석을 적용한 대표작 〈철학사전 Wörterbuch der Philosophie〉(2권, 1910)과 〈서양의 무신론과 그 역사 Der Atheismus und seine Geschichte im Abendlande〉(4권, 1921~23)가 있다. 그의 회의론은 새로운 것은 아니었으나 언어를 통해 인식론에 접근한...
- 출생 :
- 1849. 11. 22, 보헤미아 호르지체
- 사망 :
- 1923. 6. 29, 독일 메르스부르크
- 국적 :
- 독일
-
-
종교학의 인류학적 연구관심을 수용하거나 자극했다(→ 종교인류학). 비록 많은 반론이 제기되고 있어 이미 파기되었다고 간주되지만 존 러벅(1834~1913)의 진화론적 종교관, 즉 무신론, 물신숭배, 자연숭배, 토테미즘, 샤머니즘, 신인동형동성설, 유일신론, 윤리적 유일신론 등 일련의 연속적 진화로 종교사를 서술한 것은 이러한 인류학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