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경주 구황동 금제여래입상 황복사 금제여래입상, 慶州九黃洞金製如來立像위해 세워졌으며, 706년에 다시 효소왕(孝昭王)과 신목태후(神睦太后)를 위해 사리함을 탑 속에 봉안할 때 6촌 크기의 전금미타상(全金彌陀像) 1구와 무구정광대다라니경(無垢淨光大陀羅尼經) 및 불사리(佛舍利) 4개를 넣었다고 한다. 그러나 실제로 발견된 불상은 명문에 적힌 것과 달리 입상과 좌상의 불상이다. 조각...
- 문화재 지정 :
- 국보(1962.12.20 지정)
-
경주 구황동 금제 여래 좌상 경주구황리금제여래좌상, 慶州 九黃洞 金製 如來 坐像국보, 1962년 지정)과 함께 발견되었다. 이 사리함의 뚜껑 안쪽에 새겨진 명문(銘文)에 의하면 통일신라시대 성덕왕 때인 706년에 이 사리함 속에 『무구정광대다라니경(無垢淨光大陀羅尼經)』 및 불사리(佛舍利) 4개와 함께 순금으로 된 아미타상을 넣었다고 하는데, 바로 이 불상이 아닌가 추측된다. 그러나 명문에는...
- 시대 :
- 고대/남북국/통일신라
- 유형 :
- 유물
- 분야 :
- 예술·체육/조각
-
경주 구황동 금제 여래 입상 황복사금제여래입상, 慶州 九黃洞 金製 如來 立像뚜껑 안쪽에 새겨져 있는 기명(記銘)에 의하면 탑은 692년(효소왕 1)에 세운 것이며, 그 뒤 706년 6치[寸] 크기의 전금미타상(全金彌陀像) 1구와 『무구정광대다라니경(無垢淨光大陀羅尼經)』 및 불사리 4과를 함께 넣었다고 하나, 실제로 발견된 유물은 좌상과 입상의 불상 2구였다. 그중 이 불입상은 광배와 대좌를...
- 시대 :
- 고대/남북국/통일신라
- 유형 :
- 유물
- 분야 :
- 예술·체육/조각
-
민애왕석탑사리합기 전 대구 동화사 비로암 삼층석탑 납석사리호기(傳大邱桐華寺毘盧庵三層石塔蠟..이는 『 법화경』 방편품의 내용에서 취한 것이다. 더욱 사리호는 3개의 작은 목탑과 함께 발견되었는데, 이것은 당시 유행하던 조탑공덕경인 『 무구정광대다라니경』에 근거하여 조성하였음을 알려준다. 이로서 이 석탑은 여러 경전의 뜻을 모아 조성한 것이 또 다른 특징이다. 그리고 이 일의 실무는 유나인 순범...
- 문화재 지정 :
- 보물 제741호
- 성격 :
- 금석문
- 유형 :
- 유물
- 크기 :
- 높이 8.3㎝, 몸통 지름 11.5㎝, 아가리 지름 8.0㎝, 밑지름 8.5㎝.
- 재질 :
- 납석(蠟石)
- 제작시기 :
- 863년 9월 10일
- 분야 :
- 역사/고대사
- 소장/전승 :
- 서울특별시 중구 필동로1길 30-0 (장충동2가, 동국대학교)동국대학교박물관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경주 나원사 慶州 羅原寺불렸으며, 창건주의 이름을 따라 대각암(大覺庵)이라 불리기도 했다고 한다. 1966년 ‘경주나원리오층석탑’의 해체 수리 과정에서 사리장엄구와 『무구정광대다라니경』 묵서경편(墨書經片)이 3층 옥개석 상단에서 발견되었는데, 이를 참고하면 탑의 조성 연대는 대략 7세기 말부터 8세기 정도로 추정된다. 국보인 이...
- 유형 :
- 유적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선방사탑지 禪房寺塔誌승려 임전(林典)과 도여(道如)가 대백사(大伯士)의 일을, 승려 지공(志空)이 유나를 맡았다. 의의와 평가 통일신라시대에는 조탑공덕경의 하나인 무구정광대다라니경에 의해 대부분의 탑이 조성되었다. 선방사의 탑 역시 마찬가지였을 것으로 여겨지나, 단정할 수 없다. 김시습의 『매월당집(梅月堂集)』에는 선방사에...
- 성격 :
- 금석문
- 유형 :
- 유물
- 크기 :
- 가로 9㎝, 세로 6㎝, 두께 5㎝
- 재질 :
- 납석
- 제작시기 :
- 879년
- 분야 :
- 역사/고대사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불국사 삼층석탑 사리장엄구 佛國寺 三層石塔 舍利莊嚴具어자문 기법으로 장식하였고 유리로 만든 사리병은 몸체가 둥글고 녹색을 띤다. 특징 금동 외함 안에는 사리기 외에도 한지에 목판으로 찍어낸 『무구정광대다라니경(無垢淨光大陀羅尼經)』이 들어 있었다. 지금까지 알려진 세계 최고(最古)의 목판 인쇄본으로, 중국 당나라 측천무후의 집권 시기에 만든 글자들이 발견...
- 시대 :
- 고대/남북국/통일신라
- 유형 :
- 유물
- 분야 :
- 예술·체육/공예
-
탑다라니 塔陀羅尼우리 나라에서도 7세기경에 이미 유행하였음을 알 수 있다. 불탑 속에 봉안되었던 가장 확실한 예는 역시 경주 불국사 석가탑에서 발견된 ≪무구정광대다라니경 無垢淨光大陀羅尼經≫이다. 이 경은 신라시대 건탑의 기본 소의경전(所依經典)으로 짐작되며, 특히 경문 내의 4종 다라니는 탑내 봉안 99기 소탑으로도 유명...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
각자장 刻字匠송대(宋代)에 이르러 매우 정밀하였다. 우리 나라에 전해지기는 신라시대일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그 이유는 751년(신라 경덕왕 10) 경에 간행된 ≪무구정광대다라니경 無垢淨光大陀羅尼經≫이 가장 오래된 목판본으로 오늘날까지 전해지고 있기 때문이다. 동양에서의 초기 인쇄각자(印刷刻字)는 불서(佛書)에서 비롯...
- 유형 :
- 개념
- 분야 :
- 언론·출판/출판
-
불교중앙박물관 佛敎中央博物館소장하고 있는 대표적인 유물로는 불국사 삼층석탑 사리장엄구(국보, 1967년 지정)가 있다. 이 사리장엄구 가운데는 세계 최고의 목판인쇄물인 무구정광대다라니경이 포함되어 있다. 그리고 남양주 수종사의 팔각오층석탑과 승탑의 해체 보수시에 발견된 불상들과 사리장엄구를 모아서 전시하고 있다. 또한 불상 안에...
- 시대 :
- 현대
- 유형 :
- 단체
- 분야 :
- 예술·체육/회화
-
한국고대사의연구 韓國古代史─硏究쇼소원(正倉院)에서 발견된 「신라민정문서(新羅民政文書)」를 검토한 논문, 신라 말기의 전란과 승군(僧軍)을 다룬 논문, 불국사 석가탑에서 나온 『무구정광대다라니경(無垢淨光大陀羅尼經)』을 다룬 논문, 동화사 금당암(金堂庵) 서탑의 사리장치를 다룬 논문, 강원도 양양 설산(雪山)에서 출토된 정원(貞元) 20년의...
- 시대 :
- 고대/초기국가
- 저작자 :
- 이홍직
- 창작/발표시기 :
- 1971년
- 성격 :
- 학술서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1책
- 간행/발행 :
- 신구문화사
- 분야 :
- 역사/고대사
-
서울 개운사 목조 아미타여래 좌상 복장 전적 서울 開運寺 木造 阿彌陀如來 坐像 腹藏 典籍전적유산이 다수 포함되어 있어 한국고대출판사를 새로 보완해 주는 자료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 또한 근래 중국 측에서는 세계최고의 목판인쇄물인 「무구정광대다라니경(無垢淨光大陀羅尼經)」을 한국에서 간행된 인쇄물로 인정하지 않고, 중국에서 간행된 것으로 간주하려는 ‘출판공정(出版工程)’을 정면으로 반박...
- 시대 :
- 고려
- 유형 :
- 문헌
- 분야 :
- 예술·체육/조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