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경북대학교 慶北大學校,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간호학교·사대 부속고등학교·부속중학교·부속국민학교를 설립하였으며, 이듬해 10월에 대학원을 설치하였다. 1952년 복현캠퍼스는 대구광역시 북구 산격동에, 동인캠퍼스는 대구광역시 중구 동인동에 위치하여 종합대학으로 발족하였다. 1962년에 교육대학을 병설하였다가 이듬해에 대구교육대학으로 분리되었으며...
- 시대 :
- 현대
- 위치 :
- 대구광역시 북구 대학로 80 , 대구광역시 북구 산격동 1370
- 설립 :
- 1946년 5월 28일
- 성격 :
- 대학교, 국립종합대학교
- 유형 :
- 단체
- 분야 :
- 교육/교육
-
군위 인각사 출토 공양구 일괄 軍威 麟角寺 出土 供養具 一括내용 인각사(麟角寺)는 『삼국유사』의 저자 일연이 주석했던 사찰로 잘 알려져 있다. 2008년 인각사 5차 발굴 당시 승탑지(僧塔址)로 추정되는 유구에서 금동병향로, 향합, 청동금고(金鼓), 정병 등의 금속공예품 11점과 중국산 청자 7점이 비교적 온전한 상태로 출토되었다. 금속공예품은 발견 당시 청동금고 안에...
- 시대 :
- 고대/남북국/통일신라 , 고려 전기
- 유형 :
- 작품/조각·공예
- 분야 :
- 예술·체육/공예
-
인각사 麟角寺석탑이 있고, 정조탑 앞에는 유형문화유산 인각사 석불 좌상이, 미륵당에는 문화유산 자료 미륵당 석불 좌상이 있으며 모두 2002년 지정되었다. 2023년에 극락전이 대구광역시 문화재(현, 문화유산) 자료로 지정된 바 있다. 절 앞 길가에는 만월당(滿月堂)과 청진당(淸眞堂)의 석종형 부도(石鐘形浮屠)가 있다. 참고문헌
- 시대 :
- 고대/삼국
- 유형 :
- 유적/건물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
경북대학교병원 慶北大學校病院,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Ho..연원 및 변천 경북대학교병원(慶北大學校病院)은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중구 동덕로 130에 위치한 병원이다. 대한제국 말기에 우리나라 근대의료와 시작을 같이하여 1907년 대구동인의원으로 개원하였으며, 국립대학병원설치법[법률 제4350호]에 의거하여 1993년 3월 25일 특수법인 경북대학교병원으로 변경되었다. 고등...
- 시대 :
- 현대
- 위치 :
- 대구광역시 중구 동덕로 130
- 설립 :
- 1907년
- 성격 :
- 병원, 대학병원
- 유형 :
- 단체
- 분야 :
- 과학/의약학
-
대구광역시청소년수련원지역사회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참여할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하고 민주시민으로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청소년들이 스스로 미래를 기획하는 자기 주도적 역량을 개발할 수 있도록 다양한 체험을 제공하고 있다. (출처 : 대구광역시 청소년수련원 홈페이지) 참고문헌 https://www.dgyouth.net/main/index.do
- 위치 :
- 대구광역시 달서구 앞산순환로 180
도서 대한민국 구석구석 -
대구교육대학교 大邱敎育大學校, Daegu National University..개요 대구광역시 남구 대명동에 있는 국립 교육대학. 1950년에 설립된 국립대구사범학교를 거쳐 1962년 3월에 2년제 경북대학교 병설교육대학으로 승격되었으며, 1963년 1월에 대구교육대학으로 개편되었다. 1982년 3월 4년제 교육대학으로 승격된 이후 1993년 3월에 교명을 지금의 대구교육대학교로 바꾸었다. 설립...
- 설립 :
- 1950년 3월
- 유형 :
- 국립 교육대학
- 소재지 :
- 대구광역시 남구 중앙대로 219
- 사이트 :
- http://www.dnue.ac.kr
-
팔공산 공산, 八公山에서 서남쪽으로 연결된 산이다. 최고봉인 비로봉을 중심으로 동봉(東峰)과 서봉(西峰)이 양 날개를 펴고 있는 모습으로 솟아 있다. 팔공산을 중심으로 대구광역시와 경상북도의 경계에 형성된 환상(環狀)의 산지는 이른바 팔공산맥이라고 하는데, 이것은 대구분지의 북부를 병풍처럼 가리고 있다. 산맥은 남동쪽의...
- 유형 :
- 지명
- 분야 :
- 지리/자연지리
-
-
동촌유원지 東村遊園地하였고, 1982년 9월 22일 유원지 세부시설결정, 1987년 12월 3일 유원지 변경결정에 이어, 1988년 8월 2일 유원지 변경결정을 하였다. 대구광역시는 동촌유원지를 비롯하여 대구 전체에 3차 계획을 세웠었다. 1차 5개년에(1982~1986년) 수목식재를 심고, 2차 5개년(1987~1991년)에 어린이 놀이터 · 수영장 · 잔디광장...
- 유형 :
- 지명
- 분야 :
- 지리/자연지리
-
홍천뢰 장군 추모비홍천뢰는 1564년(명종 19) 3월 23일 군위군 부계면 대율리 한밤마을에서 통정공 홍덕기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한밤마을에는 왜란 당시 의병활동을 한 홍천뢰를 추모하는 비석이 세워져 있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1592년 4월 13일 일본군 20만 명이 대거 조선에 침입하여 부산과 동래를 함락시키고 북상하기 시작...
- 소재지 :
- 경상북도 군위군 부계면 대율리 한밤마을(풀머리 성안 숲)
- 지역 :
- 군위
-
용연사 龍淵寺2014년 보물로 지정됐다. 복장 후령통을 비롯하여 조성발원문, 복장전적 등 조성 당시의 원형을 갖추고 있어 불교 조각사 연구에 귀중한 자료이다. 아미타불을 모신 극락전은 영조 4년(1728)에 다시 지은 건물로 이 극락전 앞에 있는 삼층석탑과 함께 1995년 대구광역시 문화재자료(현, 문화유산자료)로 지정됐다. 참고문헌
- 시대 :
- 고대/남북국
- 유형 :
- 유적/건물
- 분야 :
- 종교·철학/불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