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증일아함경, 말할 때와 침묵할 때를 아는 것에 대하여살아가는 사람은 ‘선(善)한 생각’을 가지고 있으며 항상 성취욕으로 가득 차있다. 또한 무엇이 옳고 그른가에 대해 확실한 자기의 주관을 가지고 있다. 달마어록은 ‘부처는 그저 사람들이 잠에서 깨어 자신의 본성을 바라보도록 도울 뿐이다. 그것은 구원의 문제가 아니다. 알든 모르든 그들은 이미 부처이다. 부처는...
-
『범어사 보리달마사행론』 梵魚寺 菩堤達摩四行論[개설] 『범어사 보리달마사행론(菩堤達摩四行論)』은 보리달마[?~528]가 도에 이르는 방법으로 제시한 이입사행론(理入四行論)을 설명한 책으로, 『능가경(楞伽經)』의 복잡한 여래장 사상을 생활 속의 강력한 실천 강령으로 요약 제시한 것이다. 이 이론은 혜능(慧能)[638~713] 이후 선불교에서 성불의 사상적 원천을...
- 분야 :
- 종교
- 지역 :
- 부산광역시 금정구
출처 한국 향토문화 전자대전 -
달마가 동쪽으로 간 까닭은? Why Has Bodhi-Dharma Left ..《달마가 동쪽으로 간 까닭은?》(達磨가 東쪽으로 간 까닭은?)은 1989년에 제작된 대한민국의 영화이다. 대구 효성여자대학교(현재의 대구가톨릭대학교) 교수로 재직 중이던 배용균이 감독을 맡았으며 배용균프로덕션이 제작했다. 기획 8년, 제작 4년이라는 기간이 소요되었으며 제작, 연출, 각본, 촬영, 미술, 편집...도서 위키백과
-
보성 대원사 극락전 관음보살・달마대사 벽화보성 대원사 극락전 관음보살・달마대사 벽화(寶城 大原寺 極樂殿 觀音菩薩・達摩大師 壁畵)는 대한민국 전라남도 보성군 문덕면 대원사 극락전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화이다. 2015년 3월 4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1861호로 지정되었다.문화재청고시제2015-23호, 《국가지정문화재(보물) 지정》, 문화재청장, 대한민국 관보...도서 위키백과
-
달마대사혈맥론 목판달마대사혈맥론 목판(達磨大師血脈論 木板)은 대한민국 충청남도 서산시, 개심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목판이다. 2016년 9월 1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1916호로 지정되었다.웹 인용깨진 링크 개심사에 소장된 ‘『달마대사혈맥론』 목판’은 모두 7매가 전한다. 한 면에 1장에서 3장까지 새긴 판도 있고, 더욱이 “팔(八...도서 위키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