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달마정(보증익기탕엑스정)
    신진대사기능을 회복시켜 정신적, 육체적 활력을 증강시키는 약|형태 회갈색의 타원형 정제 성분 Angelica Gigas Root 당귀 0.333g Astragalus Root 황기 0.443g Atractylodes Rhizome White 백출 0.443g Bupleurum Root 시호 0.222g Cimicifuga Rhizome 승마 0.11g Citrus Unshiu Peel 진피 0.222g Ginger 건강 0.057...
    식약처 분류 :
    기타의 자양강장변질제 (329)
    전문/일반 :
    일반 의약품
    제조/수입사 :
    동의제약
    제형 :
    정제
    단일/복합 :
    복합 성분
    투여 경로 :
    경구(내용고형)
    보관방법 :
    기밀용기, 실온보관(1-30℃)
    도서 의약품 사전 | 태그 의약품
  • 보리달마 달마, 菩提達磨
    중국 선종의 개조로 일컬어진다. 보리달마는 남인도 출신으로 520년 중국 광저우에 도착했다. 그해 10월에 선행으로 이름 높았던 양나라 무제와 만나, 단지 선한 행위를 쌓는 것만으로는 구원에 이를 수 없다고 설파해 황제를 당혹시켰다. 그뒤 보리달마는 뤄양의 사오린사[少林寺] 동굴에서 9년 동안 면벽 좌선을 했다...
    출생 :
    미상
    사망 :
    미상
    국적 :
    인도
  • 보리달마 보제달마, 菩提達磨
    달마는 6세기 초에 중국에 와서 선종 1조가 되었다. 그는 인도에서 바닷길로 광동성 광주(廣州)에 이르고, 남경(南京)에 가서 양(梁)의 무제(武帝)를 뵙고 문답한 후, 양자강을 건너 북위(北魏)의 숭산(崇山) 소림사(少林寺)에 가서 9년 동안 벽관(壁觀)했다고 한다. 이 벽관은 번뇌가 들어오지 못하도록 마음을 집중시...
    도서 불교의 모든 것 | 태그 불교
  • (동의어 달마)
    불교 삼보의 하나를 가리키는 부처님이 가르친 진리를 가리키는 불교용어.|내용 범어로는 다르마(dharma) · 달마(達摩) 또는 담마(曇摩)로 음역한다. 다르마란 인도말은 불교에서 처음 사용한 말이 아니라 일찍이 인도 고대의 문헌인 『베다(veda)』 이래 브라만교의 여러 문헌들 속에서 사용되어 온 말이다. 그것은 ...
    유형 :
    개념
    분야 :
    종교·철학/불교
  • 달마 Dharma (disambiguation), ダルマ
    달마 또는 다르마는 다음을 가리킨다. 다르마는 법을 가리키는 인도철학의 중요 개념이다. 다르마 (자이나교) 다르마 (불교) 달마는 인도의 승려이자 철학자이다. 보리달마의 준말이다. 중국 선종 1대 선사이다. 이후, 2대 혜가, 3대 승찬, 4대 도신, 5대 홍인, 6대 혜능으로 이어졌다.
    도서 위키백과
  • 달마세나 파티라자 Darmasena Pathiraja
    생애와 이력 달마세나 파티라자는 1943년 스리랑카 중부 산악지대 캔디(Kandy)에서 태어났다. 대학에서 신할라어 문학과 서양 고전을 전공하고, 비드야랑카라 대학교에서 강의했다. 학창시절부터 문학과 연극에 심취한 그는 극본을 쓰는 것으로 시작해 영화로 관심을 옮겨갔다. 이후 영화감독으로 활동하면서 호주...
    출생 :
    1943년, 스리랑카 캔디(Kandy)
    수상 :
    2000년 스리랑카영화제 공로상
    데뷔 :
    <머나먼 하늘>(One League Of Sky, 1974)
  • 달마치야 Dalmacija
    온화하며, 여름에는 건조하고 가을과 겨울에는 비가 많이 내리는데 눈은 거의 오지 않는다. 역사 이곳 주민으로 맨 처음 기록에 나타난 것은 일리리아인이다. 달마치야는 아마 일리리아인의 한 부족인 델마타족에서 그 이름을 따왔을 것이다. 델마타족은 BC 1000년경 발칸 반도의 북서부지방을 침략한 인도유럽어족이다...
    위치 :
    크로아티아 남서부, 아드리아 해 연안
    인구 :
    454,513명 (2016 추계)
    면적 :
    12,158㎢
    언어 :
    크로아티아어
    대륙 :
    유럽
    국가 :
    크로아티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유럽
  • 달마대사 그림은 왜 인기가 많았을까? 고사 인물도와 초상화 읽는 법
    유명한 삼장법사도 불법을 구하러 중국에서 인도로 간 분이다. 그런데 삼장법사보다 훨씬 앞서서 인도 불교를 전파하려고 중국에 온 스님 중에 달마대사라는 분이 있었다. 달마대사는 원래 인도 남부에 있던 팔라바라는 왕국의 왕자였는데 중국에 건너 와서 새로운 불교를 전파한 사람으로 유명하다. 새로운 불교란...
  • 사천 백천사 달마대사관심론 泗川 白泉寺 達磨大師觀心論
    저자 및 편자 저자는 기록되어 있지 않지만, 중국 선종(禪宗)의 개조(開祖)인 보리달마(菩提達磨, ?∼528?)가 설한 것으로 보고 있다. 다른 의견으로는 당(唐) 북종선(北宗禪)의 개조인 신수(神秀, ?∼706)의 찬으로도 보는 의견도 있다. 서지사항 장정은 인출 후 복장본(腹藏本)으로 납인된 것으로 보이는, 표지가 없는...
    시대 :
    조선 전기
    유형 :
    문헌/고서
    분야 :
    종교·철학/불교
  • 보리달마사행론 달마론(達摩論), 菩堤達摩四行論
    저자 및 편자 달마(達磨)의 여러 저술 중 유일한 친설로 연구되고 있는 「이입사행론(二入四行論)」은 극히 짧은 내용이지만, 달마 개인의 사상 및 그가 중국 선종(禪宗)의 초조(初祖)로서 자리 잡을 수 있었던 원인을 밝혀 주는 매우 중요한 저술이다. 바로 이러한 「이입사행론」을 근간으로 하여 『보리달마사행론(菩提...
    시대 :
    고려 후기
    유형 :
    문헌/고서
    분야 :
    종교·철학/불교
  • 바다를 걷는 달마 일반회화 속의 불화
    절로도해(折蘆渡海, 갈대를 꺾어 바다를 건너다) 머릿결이 생생한 달마(達磨)대사가 갈대 가지 위에 올라 바다를 건넌다. 굵직한 난엽선으로 뭉실하게 엮은 옷자락에 대사의 마음이 묵직하게 실렸지만 가볍게 바람에 쏠리는 아랫자락은 날렵한 기운이다. 꽃술이 달린 가느다란 갈대 두 가지로 대사를 실어 나르는데 전혀...
  • 청도 운문사 대웅보전 관음보살·달마대사 벽화 운문사 벽화, 淸道雲門寺大雄寶殿..
    개설 2014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흙벽에 채색. 세로 290㎝, 가로 524.5㎝. 운문사 구(舊) 대웅전 후불벽 뒷면에 관음보살과 달마대사를 그린 그림이 있다. 수려한 자연 경관을 배경으로 화면 좌측에는 백의관세음보살을, 우측에는 깊은 산속에서 면벽 수행하는 달마대사를 흙벽 위에 직접 그려 채색한 벽화 형식의 불화...
    시대 :
    조선후기
    문화재 지정 :
    보물 제1817호
    성격 :
    불화, 벽화
    유형 :
    유물
    재질 :
    흙벽에 채색
    제작시기 :
    17세기 말~18세기 초
    분야 :
    예술·체육/회화
    소장/전승 :
    경상북도 청도군 운문면 운문사길 264, 운문사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17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