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간도협약 간도에 관한 청일협약, 間島協約
    간도는 한국의 영토이므로 간도 거주 한국인은 청나라 정부에 납세의무가 없음을 천명하였다. 그러나 일본은 대륙침략의 발판을 얻기 위해 1909년 남만주철도 부설권과 무순(撫順) 탄광 개발권을 얻는 대신, 두만강을 국경으로 하고, 간도의 한민족은 청나라의 법률 관할 하에 두어 납세와 행정상의 처분도 청국인과...
    시대 :
    근대
    유형 :
    사건
    분야 :
    역사/근대사
  • 반제국주의, 반봉건주의 혁명 운동, 5·4운동
    를 제출했다. 그 내용은 독일이 가진 산둥성의 권익과 철도 부설권을 일본에게 승계하고, 동부 내몽골, 남만주 일대의 권익을 부여하며, 여순 대련 조차권과 남만주 철도의 권리 기한을 연장하는 것이다. 또한 중국 정부의 군사, 재정 기관에 일본인 고문을 초빙하고, 중국 치안을 공동으로 유지한다 등이었다. 이 조항...
    시대 :
    1919년
  • 만주국 滿洲國
    명에 달했으며, 1934년 9월에 제정이 수립되면서 연호를 강덕(康德)으로 고쳤다. 만주국의 실세는 관동군 사령관이었으며, 경제면에서도 일본의 남만주철도주식회사가 전 철도를 경영하고 닛산[日産] 콘체른이 진출해 개발사업을 독점하는 등 일본이 실세를 장악하고 있었다. 만주국은 1945년 8월 소련군의 참전으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창춘 長春, Ch'ang-ch'un
    도약의 시기가 시작되었다. 1894~95년 청일전쟁의 결과 창춘 이남의 철도구역은 일본의 지배하로 들어갔다. 1906년 이후로 이 마을은 일본이 지배하는 남만주철도 구간의 북쪽 한계선이 되었다. 이당시에 옛 중국인 도시 북쪽에 일본인 역전마을이 생기면서 점차 커졌다. 일본이 만주를 강점하고 있던 1931년, 일본 광동...
    위치 :
    중국 지린 성 남서부
    인구 :
    4,425,761명 (2020년 추계)
    면적 :
    20,565.0㎢
    언어 :
    중국어
    대륙 :
    아시아
    국가 :
    중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아시아
  • 일본의 참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산동성의 독일 권익을 일본이 승계할 뿐 아니라, 다시 산동성에서 새 철도의 부설권을 갖는다. 2. 여순 · 대련의 조차권, 남만주 철도의 권리 기한을 다시 99년간 연장하고 동부 내몽골, 남만주 일대의 권익을 갖는다. 3. 한양 · 대야(大冶) · 평향(萍鄕)의 철 · 석탄광의 독점권을 갖는다...
  • 헤이룽장성 흑룡강성, 헤이룽장
    도시이자 성도인 하얼빈[哈爾濱]은 둥베이 북부의 주요 수송·교통 중심지로, 러시아 연방의 철도망과 직접 연결되고 동해로도 곧장 통하는 철도가 지난다. 또한 남만주 철도를 통해 중국 및 북한의 철도망과 연결되며 태평양으로도 이어진다. 하얼빈의 중공업은 공업기계·공작기계·농기계 및 화학제품·비료·방직...
    인구 :
    38,312,224 (2010)
    면적 :
    454,800㎢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아시아
  • 푸순 撫順, Fushun
    첸진싸이[前進塞]에서 석탄을 캐기 시작한 1905년 푸순 부근에서도 거대한 규모의 역청탄광이 개발되어 근대적으로 발전하기 시작했다. 이 탄광은 1908년에 남만주철도회사로 넘어갔다. 1930년에는 이 탄광의 채탄량이 만주의 총석탄생산량의 75%에 이르렀다. 석탄 매장량은 어마어마하다. 고급탄은 코크스 제조에...
    위치 :
    중국 랴오닝성[遼寧省]
    인구 :
    1,285,000명 (2020년 추계)
    면적 :
    11,271㎢
    언어 :
    중국어
    대륙 :
    아시아
    국가 :
    중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아시아
  • 웅라선 雄羅線
    내용 길이 15.2㎞. 1932년 8월 남만주철도주식회사에 의해 철도부설 면허를 얻어 1936년 11월에 개통한 사설철도이다. 철도에 사용된 동력은 증기이다. 이 선에는 관곡역과 웅기역이 있다. 참고문헌
    시대 :
    근대
    성격 :
    철도
    유형 :
    지명
    면적 :
    길이 15.2㎞
    소재지 :
    함경북도 경흥군 웅기, 함경북도 나진시
    분야 :
    경제·산업/교통
  • 고토 신페이 오후로시키, 後藤新平
    현지에서 일본인들이 사회적 우위를 차지하도록 힘썼다. 이 공로로 귀족원 의원, 남작이 되었다. 러일전쟁 이후 일본의 대륙침략이 본격화되면서 남만주철도주식회사가 설립되자(1906), 타이완의 식민지 지배에서 보여준 수완이 인정되어 초대 총재로 임명되었다. 그후 척식국 부총재 등을 거치면서 대륙 식민지 경영에...
    출생 :
    1857. 7. 25, 일본 리쿠추 구니[陸中國] 무즈사와[睦澤]
    사망 :
    1929. 4. 13, 도쿄
    국적 :
    일본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정치가
  • 대한민국 철도청 900호대 증기 기관차 韓国鉄道901形蒸気機関車
    SY-11) 2-8-2 증기 기관차이다. 중국에서 SY 형식 증기기관차는 해방(解放)-6형(JF-6)형 증기 기관차의 근대화 개수를 위해 개발되었다. JF-6형은 원래 구 남만주철도의 여객 및 화물 양용기로 사용되던 미카6형 증기기관차를 답습한 모델로써, 이 미카6형은 일본의 만주 및 화북 점령기에 중국에 반입된 것이었다. JF...
    도서 위키백과
  • 수성 輸城
    잇고 경성과 경흥을 동서로 잇는 교통상의 요지였다. 러일전쟁 이후 일본인들에 의하여 청진항이 건설되면서 수성평야지역에 무산·종성을 잇는 철도가 부설되었다. 더욱이 남만주철도가 종성에 이어지면서 일본의 만주 경략을 위한 병참기지로서 수성평야 지역의 개발이 활발해졌다. 수성천 남쪽의 나남(羅南)에는 진해...
    시대 :
    조선
    성격 :
    역참
    유형 :
    지명
    소재지 :
    함경북도 청진시 수성동
    분야 :
    경제·산업/교통
  • 관동군 關東軍, かんとうぐん
    러일전쟁에서 승리한 일본은 러시아의 조차지(租借地)인 랴오둥 반도[遼東半島]를 인수하여 관동주(關東州)를 만들고 관동도독부를 두었다. 이때 관동주와 남만주철도의 경비를 위해 병력을 주둔시킨 것이 관동군의 시초이다. 이후 관동도독부가 폐지되고 그 밑에 있던 육군부가 독립하여 관동군사령부가 되었다. 관동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일본
이전페이지 없음 1 2 현재페이지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2건

남만주철도 마크
 특급 '아시아' 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