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구조주의 Post-structuralism, ポスト構造主義
    출처 필요 탈구조주의(post-structuralism) 혹은 포스트구조주의나 후기구조주의는 1960년대와 1970년대에 국제적 명성을 얻은 일련의 20세기 중반 프랑스, 대륙 철학자들과 비평 이론가들의 이질적인 작업을 나타내기 위하여 미국의 학자들에 의하여 고안된 명칭이다. 탈구조주의는 구체적 실재와도 추상적 관념과도...
    도서 위키백과
  • 구조주의 언어학 Structural linguistics, 構造主義言語学
    출처 필요 구조주의 언어학(構造主義 言語學, 언어는 하나의 체계로 존재하기 때문에 개별적인 문법요소보다는 요소 간의 관계를 통해 설명해야 한다. 예를 들어 한국어의 소리의 층위에서 'ㅂ'소리는 그것 혼자로는 어떤 가치도 없으며, 그것과 'ㅃ' 및 'ㅍ', 나아가 'ㄷ','ㄱ'과의 대립 관계에서 그 가치가 생긴다는...
    도서 위키백과
  • 전통문법 傳統文法
    Traditional grammar)이란 희랍문법과 라틴문법에 연원을 두고 발전한 문법으로, 흔히 소쉬르(F. de Saussure), 블룸필드(L. Bloomfield) 등에 의해 시작된 구조주의 기술문법 이전의 문법을 말한다. 전통문법은 각 언어의 규범 문법 기술에 치중하여 기초 개념의 정의가 명확하지 않고 체계적인 분석이 부족하다는 비판...
    시대 :
    현대
    유형 :
    개념
    분야 :
    언어/언어·문자
  • 분트 현대 심리학의 창시자
    철학의 옷을 입고 있었다면, 1879년을 기점으로 심리학이라는 새 옷을 입게 된 것이다. 많은 심리학 개론서에는 분트를 가리켜 심리학뿐만 아니라 구조주의(구조주의 vs. 기능주의 참조)의 창시자라고 기술하고 있다. 하지만 1960년대 이후 심리학사라는 독립된 영역의 발전과 함께 분트를 구조주의의 창시자로 보기는...
    출생 :
    1832년
    사망 :
    1920년
    직업 :
    심리학자
  • 입체주의 미술
    브라크(Braque, 1882~1963)와 피카소(Picasso, 1881~1973)가 중심인 입체주의 미술도 구조주의 비평가들이 주목하는 경향이다. 후기 구조주의 사상가에 속하는 바르트(Barthes, 1915~1980)는 피카소의 입체주의를 “구조주의적 활동”으로 규정한다. 특히 기호화된 요소의 관계와 상호 변화 가능성을 모색한 피카소의...
  • 영화학 映畵學
    않은 언어로 문법 대신에 철학을 가진 언어라고 주장하였다. 그리고 1965∼1970년에 고급 연구학교에서 영화기호학 연구와 국립 사화과학연구소의 영화의 구조주의적 분석이 시작되었다. 이 시기에 크리스티앙 메츠와 레이몽 벨루의 연구가 시작되었다. 영화학이 1960년대 중반에 미국 내에서 인문과학으로 자리를 잡기...
    시대 :
    현대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예술·체육/영화
  • 내러톨로지 narratology
    동서고금의 다양한 예술 텍스트에 담긴 이야기 구조의 '보편적 질서'를 규명하려는 학문이다. 영화의 내러티브 구조와 내러티브 분석은 영화에 관한 구조주의적 논의의 일부로서 이론적 탐색이 그 영역이 됐다. 민담에서의 행위와 내러티브 기능에 관한 블라디미르 프롭(Vladimir Propp)의 연구와 신화의 구조에 관한...
    도서 영화사전 | 태그 영화
  • 문학비평 文學批評, literary criticism
    언어 구조 연구에 기초해, 문학비평가들은 과연 '작가'가 자기 작품의 의미를 제공하는 출처로서 가장 중요한 존재인가에 대해 의문을 품기 시작했다(구조주의 비평, 해체). 롤랑 바르트와 자크 데리다를 비롯한 구조주의 및 후기 구조주의 비평가들은 작품의 의미란 작가보다는 언어 및 문화라는 구조에 의해 결정...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학
  • 구조언어학 構造言語學
    내용 구조언어학은 대체로 1930년을 전후하여 여러 학문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 일반적 구조관을 배경으로 싹트기 시작하였다. 언어학에서도 구조주의는, 여러 사실을 체계 내에 있어서의 그들의 상호 관계 혹은 기능에 의해서 고찰해야 한다는 인식을 싹트게 하였다. 20세기에 들어서면서 새로운 과학적 방법의 일반적...
    유형 :
    개념
    분야 :
    언어/언어·문자
  • 통사론 統辭論, syntax
    그 안에서 갖는 의미를 의미면에서 접근하여 밝히는 것이라고 정의할 수 있는데 통사론이 전체 문법체계에서 갖는 역할이나 그것을 대하는 태도는 전통문법·구조주의문법·변형생성문법에 따라 조금씩 다르다. 전통문법에서 통사론의 구별이 이루어진 것은 18세기에 이르러서이며 20세기 중반에 음운론·형태론·통사론...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학
  • 에이브럼 놈 촘스키 그림자를 뚫고 들어가야 한다
    그의 소개로 하버드 대학 특별연구원이 되면서 펜실베이니아에서 박사과정을 시작했다. 하지만 촘스키는 해리스의 이론에서 대부분의 언어학자가 추종하고 있던 구조주의의 돌파구를 발견, 이를 집중적으로 추구함으로써 학문적으로는 해리스와 결별한다. 1953년에는 아내 캐롤의 강력한 희망에 따라 결국 이스라엘로...
    출생 :
    1928년 12월 07일
  • 피터 지달 Peter Gidal
    제작부서(British Film Institute Production Board)에서 일했다. 지달은 실험영화 감독으로서의 활동과 영화 이론가로서의 활동을 병행하고 있다. 『구조주의 영화 선집』(Structural Film Anthology, 1976), 『앤디 워홀: 영화와 회화』(Andy Warhol: Films and Paintings, 1971/1991), 『유물론 영화』(Materialist...
    출생 :
    1946년, 스위스
    본명 :
    피터 지달 (Peter Gidal)
    데뷔 :
    <열쇠>(Key, 1968, 단편, 실험영화)
이전페이지 없음 1 2 현재페이지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4건

구조주의
구조주의(structuralism)
구조주의(structuralism)
구조주의와 문학비평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