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강동성전투 江東城戰鬪
    배경 및 발단 13세기 초 몽골의 흥기로 금(金)나라의 세력이 위축되자, 지금까지 금나라의 지배를 받아 온 거란(契丹族)은 각지에서 반란을 일으켰다. 1216년(고종 3) 그 세력 중의 하나인 대요수국(大遼收國)의 걸노(乞奴) · 금산(金山) · 금시(金始) 등은 몽골군과의 싸움에서 패하자, 새로운 생활 근거지를 찾기...
    시대 :
    고려 후기
    유형 :
    사건/전쟁
    분야 :
    역사/고려시대사
  • 대조영 발해의 시조
    고비 사막 남쪽에서 세력을 떨치고 동남으로 세력을 뻗치려 하던 투르크의 돌궐과 동쪽의 고구려 세력에 시달리며 시라무렌(Sira Muren) 유역을 방황하던 거란이 당의 지배를 받고 있었다. 당은 이들 이민족에 대하여 배타적인 통치방법을 써서 끊임없이 감시하고 억압했다. 당은 거란의 추장 이진충(李盡忠)에게...
    출생 :
    미상
    사망 :
    719(천통 21)
    국적 :
    한국, 발해
    종교 :
    불교
    본관 :
    협계(俠溪, 지금의 황해도 신계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한국인물 , , 한국사
  • 강동성전투 江東城戰鬪
    13세기초 몽골이 정복사업의 일환으로 금을 정벌하자 금의 지배를 받던 소수민족들이 이에 편승해서 대거 반란을 일으켰다. 당시 거란의 수장 야율유가도 그 가운데 하나인데, 금나라 북변의 천호로 있던 것을 기화로 1213년 부하 10여 만 명을 거느리고 반란을 일으켜서 먼저 몽골에 투항의 뜻을 보여 후원세력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고려 , 전쟁
  • 위구르의 기원과 사회발전
    빌려서 거란소자(契丹小字)를 만들기도 하였다. 1204년 몽골의 칭기즈칸이 내만(乃蛮)을 정복한 뒤, 원나라의 내만부 장인관(掌印官)인 회홀인 탑탑통아(塔塔统阿)는 회홀문 자모를 빌려서 몽골문을 창제하였다. 서천한 회홀인들은 주로 회홀문을 사용하였지만, 이 외에도 토카리문(吐火罗文), 우전문(于阗文), 돌궐문...
    분류 :
    돌궐어족 민족 > 위구르족
  • 몽고 몽골, 蒙古
    몽골의 고려 침입과 강화 몽골과 고려의 접촉은 몽골이 그 세력을 확장해 가던 과정에서 이루어졌다. 몽골이 여진, 즉 금나라를 공격하는 과정에서 옛 거란의 유민들이 독자적 세력을 형성하고자 하여 대요수국(大遼收國)을 건설하였으나 내분이 발생하여 일부 세력이 몽골에 투항하였다. 이에 몽골 측에 쫓긴 나머지...
    시대 :
    고려 후기
    유형 :
    지명/고지명
    분야 :
    역사/고려시대사
  • 돌궐 괵튀르크 카간국
    돌궐은 6~8세기경 몽골 고원과 알타이 산맥을 중심으로 유목생활을 하던 튀르크계 민족이다. 지배 씨족인 아사나씨(阿史那氏)는 처음에 알타이 산맥 서남쪽...했다. 그후 제3대 목간 카간(木杆可汗) 때 유연을 멸망시킨 뒤 거란을 정벌하고 키르기스를 장악한 다음 본거지를 북몽골의 우트켄 산으로 옮겼다. 한편...
  • 대조영 발해 건국
    대조영은 고구려가 망한 뒤 아버지인 걸걸중상과 함께 당나라 땅인 영주(지금의 중국 랴오닝성 차오양)로 끌려가 그곳에서 살았다. 695년 이진충이 이끄는 거란이 영주에서 반란을 일으키자 걸걸중상은 말갈인 걸사비우와 함께 들고 일어나 동쪽으로 탈출했다. 무측천은 거란의 반란을 진압한 뒤 거란 출신 장수...
    시대 :
    698년
    국가/대륙 :
    한국
  • 대진국 大眞國
    중심으로 반란을 일으켰다. 거란이 몽고군에 항복하고 함평(지금의 개원)을 본거지로 삼자, 금은 포선만노를 함평로선무사로 삼아 토벌하게 했다. 그러나 거란에게 패한 포선만노는 동경에서 정세를 관망하다가 반란을 일으켜 국호를 대진, 연호를 천태라 하고 스스로 천왕이라 하였다. 그러나 곧 요서지방 공격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케레이트 Keraites, ケレイト
    비정되고 있다. 그러나 바일 누르에 살고 있던 타타르의 수장 나우르 부이룩 칸(Nāūūr Būīrūq Khān)은 기회를 노려 마르쿠즈 부이룩 칸을 생포해 거란 군주에게 넘기는 데 성공했고, 마르쿠즈 부이룩 칸은 나무 당나귀에 못박혀 처형당했다. 마르쿠즈의 아내 쿠록타이 하리구치(쿠록타니 케렉친)는 복수를 위해...
    도서 위키백과
  • 5대 五代, Five Dynasties
    장종은 13년간 비교적 성공적으로 통치했으나, 부하 장군 석경당(石敬瑭 : 高祖)이 반기를 들면서 후당은 멸망했다. 고조는 내륙 아시아의 반유목민족인 거란의 도움을 받아 후당을 멸망시키고 후진을 세웠다. 고조의 아들이 946년에 거란에 대한 공납을 중지하려 하자 거란이 중국 북부를 거듭 침입하여 그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만주 滿洲, Manchuria
    사실상 만주 전역과 북한의 일부지역, 중국 북부 및 몽골 평원의 대부분을 지배했다. 11세기말 거란 제국의 군사력과 행정의 효율성은 눈에 띄게 약해져 거란이 아닌 피통치자들이 자주 반란을 일으켰다. 이런 반란자들 가운데 특히 주목할 만한 것은 퉁구스의 일파인 여진(女眞族)이었다. 이들은 요의 국경 너머...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아시아
  • 천문령전투 天門嶺戰鬪, Cheonmunryung Battle
    것이다. 성방 구성원의 대부분은 유목민이었는데, 당은 그들의 군사력을 이용하기 위해 원래의 부락조직을 그대로 유지시켰다. 696년 거란이 당에 대해 반란을 일으켰다. 거란의 반란군과 동조할 것을 우려한 당 조정은 영주 성방의 이민족 집단을 유주(幽州: 北京)로 이거시켰다. 하지만 대조영은 여기에 따르지...
    시대 :
    고대/남북국/발해
    발생 :
    697년 초중반
    성격 :
    전투
    유형 :
    사건
    종결 :
    697년 초중반
    분야 :
    역사/고대사
    관련 인물/단체 :
    대조영, 이해고
    관련 장소 :
    중국 길림성 합달령
이전페이지 없음 1 2 현재페이지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출처1건

멀티미디어7건

거란족의 변발 모습
장막을 치고 잔치를 벌이는 거란족의 모습
서기 700년 무렵, 거란족의 영토를 표기한 지도
매사냥에 나선 거란의 귀족을 묘사한 그림
1025년, 요나라의 위세가 최고에 달했을 때의 영토
요나라 태조 황제 야율아보기
중앙아시아에 들어선 서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