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징 금(金)냄질’, ‘닥팀질’, ‘제질’, ‘담금질’, ‘가질’과 같은 아홉 단계의 공정을 거친다. 징의 규격은 용도와 제작 환경에 따라 각기 다르다,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된 고려시대 청동징은 지름 50cm, 너비 8cm이고, 『우리악기 우리음악』 에 수록된 동해안 별신굿에 사용된 '굿징'은 지름 32cm, 너비 8cm이다. 용도에...
- 시대 :
- 고려
- 유형 :
- 물품
- 분야 :
- 예술·체육/국악
-
월인석보 권9,10문화재 정보 월인석보 권9, 10(月印釋譜 卷九, 十)은 서울특별시 용산구, 국립한글박물관에 있는, 세조 5년(1459)에 편찬한 불교대장경이다. 1983년 5월 7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745호로 지정되었다. 『월인석보』는『월인천강지곡』과『석보상절』을 합하여 세조 5년(1459)에 편찬한 불교대장경이다. 석보는 석가모니불...도서 위키백과
-
삼국지통속연의 三國志通俗演義, Romance of the Three Kingdoms세기 무렵으로 여겨진다. 이후 이 소설은 금속활자본과 목판본으로 간행되었고, 한글로도 번역되어 필사본·세책본·방각본·활판본 등 다양한 형태로 유통되어...고려대학교·연세대학교·서울대학교 도서관, 순천시립뿌리깊은나무박물관 등에 소장되어 있다. 각 이본은 『삼국지』 『삼국연의』 『삼국지전』 『삼국...
- 시대 :
- 조선후기
- 저작자 :
- 미상
- 성격 :
- 번역소설
- 유형 :
- 작품
- 권수/책수 :
- 17권17책, 39권 39책, 33권 33책, 20권 20책
- 분야 :
- 문학/고전산문
- 소장/전승 :
- 국립중앙도서관,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고려대학교·연세대학교·서울대학교 도서관, 순천시립뿌리깊은나무박물관 등
-
경서석의 삼경사서석의, 經書釋義한자와 한글을 혼용하여 해석한 것으로서 중세국어와 근대국어의 교체기의 모습을 잘 보여주는 자료이다. 즉, ㅿ이 여전히 남아 있으며(엇디 야, 아니 니), 의도형의 ‘―오·우―’가 비교적 규칙적으로 나타나고(이쇼매, 논디라, 호미라, 요미,호,作홀디니), 또 존칭의 호격이 보이며(엇뎨오 天하, 天하...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이황
- 창작/발표시기 :
- 1609년(광해군 1)
- 성격 :
- 주석서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8권 2책
- 간행/발행 :
- 금응훈
- 분야 :
- 언어/언어·문자
-
춘추열국지 春秋列國志전하며, 국립중앙도서관, 연세대학교, 영남대학교 중앙도서관, 일본 동양문고, 영국 대영박물관 등에 소장되어 있다. 내용 『춘추열국지』는 상(商)나라의 마지막 왕이던 주왕이 미녀 달기(妲己)에게 빠져 나라가 멸망에 이르는 과정, 이에 주(周)나라가 세워지고, 이후에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로 중국이 분열되는...
- 시대 :
- 조선
- 유형 :
- 작품
- 분야 :
- 문학/고전산문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원폭의 도시 나가사키 참관기가르치려고 국립 나가사키 원폭 사망자 추도 평화기념관'을 세웠다." 나가사키 자료관의 한글판 홍보책자에는 다음과 같은 건립 이유를 밝히고 있다. "1945년 8월 9일 오전 11시 2분. 나가사키시에 투하된 원자폭탄은 한순간에 도시를 폐허로 만들고 수많은 시민과 소중한 목숨을 앗아갔다. 다행히 목숨만은 건진 피폭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