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조어법 造語法내용 단어의 하위단위인 형태소(形態素)들이 결합하여 단어를 구성하는 방식이 곧 조어법(word―formation)이다. 조어법을 다루는 분야를 조어론이라 하는데 굴절론(屈折論)과 함께 형태론의 한 하위류를 이룬다. 형태론은 다시 통사론(統辭論)과 함께 문법론을 이루므로 조어론은 결국 문법론의 한 부류에 속한다...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언어/언어·문자
-
동음어 동음이의어, 同音語내용 동음어가 만들어지는 경위는 여러 가지가 있다. 첫째, 하나의 단어가 의미의 분화에 의해 일어나는 경우이다. 즉, 어떤 단어가 여러 개의 의미를 가지는 다의어가 되었다가 그들 의미 사이에 분화가 심해지면 그것들을 서로 별개의 단어로 인식하게 된다. ‘손님’은 ‘다른 곳에서 찾아온 사람’을 뜻하는 말...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언어/언어·문자
-
-
혼성 혼태(混態), 混成내용 혼태(混態)라고도 하며, 이러한 절차에 의하여 만들어진 단어를 혼성어(混成語, blend)라 한다. 방언에서 ‘찹다’라는 단어가 쓰이는데, 이는 ‘차다’와 ‘춥다’ 사이에서 이루어진 혼성어의 전형적인 예일 것이다. 혼성어는 언중(言衆)들이 일종의 실수에 의하여 만들어내는 수도 있고 제3의 단어가 필요하여...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언어/언어·문자
-
절충체계 절충식 체계, 折衝體系개설 단어를 구분하는 방식에는 조사와 어미를 모두 단어로 인정하는 분석 체계, 조사와 어미를 모두 단어로 인정하지 않는 종합 체계, 조사는 단어로 인정하지만 어미는 단어로 인정하지 않는 절충 체계가 있다. 이들 각각을 분석식 체계(분석적 체계), 종합식 체계(종합적 체계), 절충식 체계(절충적 체계)라고도 한다...
- 유형 :
- 개념
- 분야 :
- 언어/언어·문자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
띄어쓰기 spacing개설 글을 읽는 이로 하여금 문장의 의미를 쉽고 정확하게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해 단어와 단어 사이를 띄어 쓰는 것이다. 단어는 하나의 독립된 개념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단어를 한 덩어리로 표기하여야 독자가 그 개념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한글은 표의 문자인 한자(漢字)와 달리 표음 문자이기 때문에...
- 시대 :
- 현대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언어/언어·문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