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동의어 同義語
    2개 이상의 단어가 같은 의미를 지니되 그중 한 단어가 쓰일 수 있는 모든 문맥에 대치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동의어는 극히 적으므로 유의어는 있으나 완전한 동의어는 없다는 것이 일반적인 견해이다. 국어의 어휘에는 고유어·한자어·외래어의 3가지 계열이 있으므로 고유어 : 고유어, 고유어 : 한자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언어 일반
  • 어휘론 語彙論
    단어의 집합체를 어휘라 일컬음으로 결국 어휘론은 단어에 대해 집중적으로 연구하는 분야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어휘론의 연구영역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단어를 정의하는 일이 필요하다. 단어는 '단일한 의미를 가지는 음 결합체'라는 모호한 정의 외에도 잠재적 휴지, 비분리성, 음운론적 기준 등이 논의된 바...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언어 일반
  • 음운변화 音韻變化
    음운변동은 '→'로 표시한다. 음운변화는 변화하는 대상이 무엇인가에 따라 ① 음운체계가 변화하는 것, ② 음운의 배열방식이 변화하는 것, ③ 개별 단어의 음운이 변화하는 것 등 3가지로 나눌 수 있다. 음운체계나 음운의 배열방식이 바뀌면 개별 단어의 음운도 자연히 변화하게 되지만 3번째 유형은 앞의 2가지 변화...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언어 일반
  • 운소 韻素
    음절 위에 선을 그어 표기한다(말ː, 말). 음장을 운소로 생각하지 않고 모음을 단모음 음소와 장모음 음소로 구분하는 학자들도 있다. 현대국어에서는 단어의 첫머리에서만 장음과 단음이 구별되고 그밖에는 단음만 나타날 수 있다. 원래 장음인 '말ː'이 '참말'에서 단음이 되는 것도 그때문이다. 최근에는 장음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언어 일반
  • 히브리어 Hebrew language
    사용되었던 미슈나 히브리어는 일반 민중들 사이에서는 구어로 사용된 적이 없다. 셋째, 6~13세기의 중세 히브리어 시기로 이 시기에 히브리어는 많은 단어를 그리스어·스페인어·아랍어를 비롯한 여러 언어에서 따왔다. 넷째,현대 히브리어는 오늘날의 이스라엘 언어이다. 일반적으로 학자들은 히브리어의 가장 오래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언어 일반
  • 조어법 造語法
    내용 단어의 하위단위인 형태소(形態素)들이 결합하여 단어를 구성하는 방식이 곧 조어법(word―formation)이다. 조어법을 다루는 분야를 조어론이라 하는데 굴절론(屈折論)과 함께 형태론의 한 하위류를 이룬다. 형태론은 다시 통사론(統辭論)과 함께 문법론을 이루므로 조어론은 결국 문법론의 한 부류에 속한다...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언어/언어·문자
  • 동음어 동음이의어, 同音語
    내용 동음어가 만들어지는 경위는 여러 가지가 있다. 첫째, 하나의 단어가 의미의 분화에 의해 일어나는 경우이다. 즉, 어떤 단어가 여러 개의 의미를 가지는 다의어가 되었다가 그들 의미 사이에 분화가 심해지면 그것들을 서로 별개의 단어로 인식하게 된다. ‘손님’은 ‘다른 곳에서 찾아온 사람’을 뜻하는 말...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언어/언어·문자
  • 하와이어 배우기
    하와이는 미국의 50번째 주로 영어를 공용어로 사용하고 있지만 원주민들의 언어인 하와이어는 짧은 인사와 단어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간단한 인사말이나 단어들을 미리 배워 둔다면 하와이 문화를 이해하기 훨씬 수월하다. 알로하 ‘Aloha’ ‘안녕하세요’, ‘안녕히 가세요’의 인사말로 가장 널리 쓰이는 단어이다...
  • 혼성 혼태(混態), 混成
    내용 혼태(混態)라고도 하며, 이러한 절차에 의하여 만들어진 단어를 혼성어(混成語, blend)라 한다. 방언에서 ‘찹다’라는 단어가 쓰이는데, 이는 ‘차다’와 ‘춥다’ 사이에서 이루어진 혼성어의 전형적인 예일 것이다. 혼성어는 언중(言衆)들이 일종의 실수에 의하여 만들어내는 수도 있고 제3의 단어가 필요하여...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언어/언어·문자
  • 절충체계 절충식 체계, 折衝體系
    개설 단어를 구분하는 방식에는 조사와 어미를 모두 단어로 인정하는 분석 체계, 조사와 어미를 모두 단어로 인정하지 않는 종합 체계, 조사는 단어로 인정하지만 어미는 단어로 인정하지 않는 절충 체계가 있다. 이들 각각을 분석식 체계(분석적 체계), 종합식 체계(종합적 체계), 절충식 체계(절충적 체계)라고도 한다...
    유형 :
    개념
    분야 :
    언어/언어·문자
  • 말이 늦어요 육아 심리상담 : 아이의 발달
    입 주변 근육을 훈련을 하여 발음을 연습합니다. 9~10개월에는 가족의 이름과 ‘안 돼’의 의미를 압니다. 12개월에는 70개 단어를 이해하며, 6개 단어를 표현합니다. 12~18개월까지는 새로운 단어 습득이 천천히 진행됩니다. 그러다 아이가 50개의 단어를 말할 수 있게 되는 순간, “물 줘”와 같이 두 단어를 연결할...
  • 띄어쓰기 spacing
    개설 글을 읽는 이로 하여금 문장의 의미를 쉽고 정확하게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해 단어단어 사이를 띄어 쓰는 것이다. 단어는 하나의 독립된 개념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단어를 한 덩어리로 표기하여야 독자가 그 개념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한글은 표의 문자인 한자(漢字)와 달리 표음 문자이기 때문에...
    시대 :
    현대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언어/언어·문자

멀티미디어17건

단어(word)
단어연습장
단어잇기장
단어잇기장
단어카드
단어카드
핵심 단어 시각화
단어쓰기 연습장
한글단어공부장
단어낱말카드
단어낱말카드
들은 단어를 발음할 때와 읽은 단어를 발음할 때 신경처리 과정
아기가 좋아하는 단어를 이해하는지 관찰
각 단어에 따른 베트남인들의 우선 연상 국가
첫 행의 선형문자 B로 기록된 단어들
단어의 의미 즉, 개념들 간의 관계에 대한 표현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