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신민부 新民府
    군정파와 민정파의 2파가 있어서 서로 갈등이 심했다. 이들 2파는 1928년 12월과 1929년 3월에 각각 해체되었고, 그에 따라 신민부도 결국 해체되었다. 군정파는 1929년 7월에 조직된 한족총연합회의 기반이 되어 한국독립군·한국독립당으로 발전했고, 민정파는 국민부에 참여하여 조선혁명당·조선혁명군으로 발전했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일제강점기
  • 5·10선거 五十選擧
    3월 31일 안에 UN 감시하의 총선거가 결정되었다. 이 결정에 따라 UN 한국임시위원단이 구성되어 1948년 1월 12일부터 임무에 착수했으나, 1월 24일 소련 군정 UN 한국임시위원단의 북한지역 입경을 거부하여 북한에서의 총선거가 불가능하게 되었다. UN 소총회는 UN 한국임시위원단의 보고에 의해 2월 26일 활동이 가능...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한국사 , 현대 , 선거
  • 빌헬름 1세 빌헬름 프리드리히 루트비히 폰 프로이센, Wilhelm I
    단념한 뒤 1829년 이 재기발랄하고 온화한 성품의 공주와 결혼했음)의 영향으로 입헌제도에 대한 불신은 어느 정도 누그러졌다. 1849년 라인란트 주의 군정 장관으로 임명되어 베를린의 반동정책에 대한 반대 운동의 중심지인 코블렌츠에 관저를 마련했다. 그는 오토 폰 비스마르크의 사상을 "국민학생의 정치학"이라며...
    출생 :
    1797. 3. 22, 베를린
    사망 :
    1888. 3. 9, 베를린
    국적 :
    독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고려 6대 왕, 성종 치, 成宗
    중앙에 천거하도록 했다. 993년 12목에 물가조절 기능을 맡아볼 상평창을 설치했으며, 995년에 10도제를 실시했다. 그밖에 12목을 12절도사로 개편함으로써 군정적인 지방행정을 통하여 호족세력을 통제하는 중앙집권을 꾀하려고 했다. 새로운 정치이념인 유교를 강화하기 위해 숭유억불정책을 실시했다. 불교행사인...
    출생 :
    960(광종 11)
    사망 :
    997(성종 16)
    국적 :
    고려, 한국
    재위 :
    981년∼997년
    시호 :
    강위장헌광효헌명양정문의대왕(康威章憲廣孝獻明襄定文懿大王)
    능묘 :
    강릉(康陵)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한국인물 , , 한국사
  • 충청일보 忠靑日報
    5월 20일 '대통령'을 '견통령'으로 오식(誤植), 보도해 편집국 간부들이 구속되는 사건이 있었고, 같은 해 11월 28일 '한·일'을 '일·한'으로 잘못 표기해 군정법령 제88호에 의해 폐간되었다. 1954년 3월 1일 〈충북신보〉로 이름을 바꿔 속간했다가 1960년 8월 15일 〈충청일보〉로 제호를 바꾸었다. 1990년 6월 고속...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신문
  • 조선사회민주당 朝鮮社會民主黨
    만에 50만 명의 당원을 확보해 북한 제일의 정당이 되었다. 그러나 1945년 12월 모스크바 3상회의의 결정지지를 거부하고 반탁운동을 결의한 것을 계기로 소련군정에 의해 조만식이 연금되자, 민족진영 인사들이 대거 남한으로 월남했다. 이에 따라 최용건·김재민 등 좌익계 인사들이 당을 장악했고, 그뒤 북한에서의...
  • 노위치 Norwich
    곳이다. 이곳에는 또한 독립전쟁 위원회의 무대였던 레핑웰 여관이 있고 인디언 부족의 통치자들이 묻힌 모히간 족장 묘지도 있다. 미국 초기에 민정과 군정의 지도자들을 많이 배출한 헌팅턴가(家)의 집들이 보존되어 있다. 템스밸리주립공과대학(1963)과 모히간지역사회대학(1970)이 있다. 1784년에 시가 되었고...
    위치 :
    미국 코네티컷 주 중동부, 얜틱 강과 시터컷 강 합류지점
    인구 :
    37,826명 (2022년 추계)
    면적 :
    76.4㎢
    대륙 :
    북아메리카
    국가 :
    미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북아메리카
  • 김재규 金載圭
    1963년 제6사단장, 1966년 제6관구 사령관과 방첩대장, 1969년 육군보안사령관, 1971년 제3군단장 등을 거친 뒤 중장으로 예편하였다. 5·16군사정변 직후 군정하에서는 호남비료 사장을 역임하였다. 1973년 유신정우회 소속으로 제9대 국회의원이 되어 정치에 입문하였다. 1974부터 1976년까지 제13대 건설부 장관을...
    시대 :
    현대
    출생 :
    1926년 3월 6일
    사망 :
    1980년 5월 24일
    경력 :
    국회의원, 건설부장관, 중앙정보부장
    유형 :
    인물
    관련 사건 :
    10·26 박정희 대통령 시해사건
    직업 :
    군인, 정치인
    성별 :
    분야 :
    정치·법제/정치
    본관 :
    김녕
  • 청계산 주변 가볼만한 곳, 양재 시민의 숲 몸과 마음의 여유를 찾고 싶을 때 가는 곳
    김구 선생이 지휘하는 한인애국단에 가입하여 특공작전을 감행할 것을 자원하였다. 그러고는 마침내 결전의 날, 홍구공원에서 일본군 총사령관 시라카와 등 군정 수뇌부 7명에게 폭탄을 투척하여 일본의 전의를 상실케 하는 데 성공하였다. 윤의사는 현장에서 일본 헌병에게 체포되어 현지의 군법 재판에서 단심으로...
    요금 :
    무료
    휴관일 :
    매주 월요일
    가는 법 :
    지하철 신분당선 양재 시민의 숲(매헌)역 1번 또는 5번 출구에서 도보 5분(매헌기념관은 5번 출구와 더 가깝다)청계산에서 양재 시민의 숲으로 바로 가려면 굴다리에서 봤을 때 오른쪽 맞은편 정류장에서 4432번 버스를 탄 후 양재 꽃시장 앞에서 하차하면 된다.
    이용 시간 :
    오전 10시~오후 4시 30분(동절기)오전 10시~오후 5시 30분(하절기)
  • 여운홍 呂運弘
    해방직후에는 친형인 운형과 함께 조선건국준비위원회의 결성에 참여했다. 1946년 중도좌파노선을 표방하는 사회민주당을 창당해 당수가 되었으며, 그해 미군정당국에 의해 남조선과도입법위원에 선임되었다. 1950년 민의원에 당선해 자유당 선전부장을 지냈고, 1960년 참의원에 당선했으며, 1963년 공화당 고문에 취임...
    출생 :
    1891, 경기 양평
    사망 :
    1973
    국적 :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정치가
  • 특별시 特別市
    시에서 설치하는 구와는 구별된다. 1996년 현재 서울특별시에는 25개구가 있다. 조선시대부터 우리나라의 수도로 발달해온 서울은 8·15해방 후 1946년 군정법령(軍政法令)에 의해 경기도 관할하에서 정부 직할의 특별시가 되었고, 1949년 '지방자치법' 시행에 따라 서울특별시로 계승되었다. 1962년 '서울특별시 행정에...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행정
  • 이스라엘 군정청 Israeli Military Governorate
    정보 군정청은 1967년 6월 제3차 중동 전쟁 이후 서안 지구, 가자 지구, 시나이반도, 골란고원 서부의 민간인을 통제하기 위해 설립한 군사 통치 체계이다. 군정은 점령지에서의 군사 통치를 규정한 제4차 제네바 협약에 따라 이루어졌으나, 동예루살렘은 1967년부터 이미 실질적인 합병 절차에 들어가, 1980...
    도서 위키백과

관련항목

멀티미디어11건

미 군정 시대
개성 구군정 정측면
조선의용군 혁명군정학교
고려혁명군정의회 선포문(1921)
고려혁명군정의회 선포문(1921)
북로군정소 사관연성소 졸업식
광복 직후 조직된 군정경찰
고려혁명군정의회 선포문(1921. 9. 30)
김재원 선생과 아놀드 군정장관과 최순봉
고려혁명군정의회에서 발표한 선포문(1921.9.30.) 
서로군정서원에 관한 일본 측 보고(1922.3.18)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