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
-
-
렘브란트 판 레인, 돌아온 탕자 용서와 관용의 시간수 있도록 배치한 것이다. 누더기 옷과 다 해진 신발을 신고 늙은 아버지의 품에 안긴 아들의 얼굴을 정확히 볼 수는 없지만 뒷모습만으로도 그가 깊은 회한에 잠겼음을 감지할 수 있다. 특히 시커먼 발바닥을 드러낸 채 무릎을 꿇고 있는 아들의 모습은 오갈 데 없는 그의 처지를 압축적으로 보여준다. 그림 속 아버지...
- 크기 :
- 264.2x205.1cm
- 제작시기 :
- 1668~1669년
- 원제 :
- Terugkeer van de Verloren Zoon
- 작가 :
- 렘브란트 판 레인(Rembrandt Harmenszoon van Rijn) 네덜란드, 1606~1669년
- 소장/전승 :
- 상트페테르부르크 에르미타슈미술관
- 기법 :
- 유화, 캔버스에 유채
-
큰뒷부리도요 Limosa lapponica습성: 2~3마리의 작은 무리에서 200~300마리의 큰 무리를 이며, 흑꼬리도요나 그밖의 도요새 무리에 섞여 생활한다. 날을때는 횡렬로 날며, 하을에서 2~3회 선회한후 내려 앉는다. 번식지에서 6월에 4개의 알을 낳아 암수 함께 품는다. 참고 집필진 : 최성훈, 백인환, 유재평, 백운기 참고문헌 원병오. 1981. 한국동식물...
- 분류 :
- 척삭동물문(Chordata) > 조류강(Aves) > 도요목(Charadriiformes) > 도요과(Scolopacidae)
- 학명 :
- Limosa lapponica (Linnaeus, 1758)
- 국내분포 :
- 봄, 가을 우리나라 서해안, 남해안 갯벌, 강하구 등지에서 흔하게 관찰된다.
- 해외분포 :
- 유라시아대륙 북부, 알래스카서부에서 번식하고, 유럽, 아프리카, 중동, 남동아시아, 오스트레일리아에서 월동한다.
- 특징 :
- 통과철새
-
화양연화 옛 사랑의 추억은 아름다워라쉽게 그 같은 행위를 할 순 없는 일이다. 이 영화에서는 기존의 극적인 멜로와 달리 자신들의 감정을 최대한 절제하다 결국에는 사랑을 이루지 못한 채 회한과 추억으로만 남기고 마는 두 남녀의 사랑 이야기를 그리고 있다. 무엇보다도 크리스토퍼 도일의 카메라는 〈중경삼림(重慶森林)〉(1994년)처럼 현란하지 않은...
- 창작/발표시기 :
- 2000년
- 감독 :
- 왕자웨이(王家衛)
-
코체부 August (Friedrich Ferdinand) von Kotzebue수석 치안판사가 되었고 귀족의 칭호를 받았다. 이곳에서 가장 성공한 작품 가운데 〈아델하이트 폰 불핑겐 Adelheid von Wulfingen〉(1788)·〈인간 증오와 회한 Menschenhass und Reue〉(1789~90)·〈영국의 인도인들 Die Indianer in England〉(1790) 등을 썼다. 〈페루의 스페인인 Spanier in Peru〉(1796)은 영국의...
- 출생 :
- 1761. 5. 3, 작센 바이마르
- 사망 :
- 1819. 3. 23, 바덴 만하임
- 국적 :
- 독일
-
사람의 눈은 왜 두 개일까버렸고, 오디세우스와 일행은 무시무시한 외눈박이 거인 괴물들을 피해 무사히 탈출할 수 있었습니다. 나중에야 오디세우스의 정체를 알게 된 폴리페모스가 회한에 차서 이런 말을 하는데 이 이야기의 주제가 집약돼 있습니다. - 호메로스, 《오디세이아》 중에서 내가 오디세우스의 손에 눈이 멀 것이라더니 예언대로...
-
6개의 노래(들에서 노래한다) 펠릭스 멘델스존, 6 Lieder Op.41위에서 배를 타고 노니는 즐거움에 더욱 가깝다. 빠른 6/8박자가 이러한 즐거운 뱃놀이의 흥을 더욱 돋우어 준다. 이러한 뱃놀이의 중간에 괴테의 시는 잠시 회한에 빠진다. 이와 함께 멘델스존의 음악도 희희낙락한 분위기를 잠시 멈춘다. 하지만, 곧 음악은 다시 즐거운 놀이로 돌아오고 흥겨움 속에서 마무리하게...
- 시대 :
- 낭만
- 분류 :
- 낭만주의 음악 > 성악곡 > 합창곡
- 제작시기 :
- 1834~1838년
- 작곡가 :
- 펠릭스 멘델스존(Felix Mendelssohn Bartholdy, 1809~1847)
- 출판 :
- 1838년
- 가사 :
- 아우구스트 폰 플라텐(1곡), 하인리히 하이네(2~4곡), 루드비히 크리스토프 하인리히 흴티(5곡), 요한 볼프강 폰 괴테(6곡)
-
넋두리세습무)의 굿에서는 가족 중의 한 사람에게 내린다. 무당에게 넋이 내리는 경우, 무당은 죽은 사람의 옷을 걸치고 넋에 사로잡혀서 생전의 괴로움ㆍ슬픔ㆍ회한을 이야기한다. 이 과정에서 가족들을 부둥켜안고 울기도 하고 야단도 치는데, 어느 굿거리보다 애조를 띤다. 단골무당이 하는 굿에서는 가족의 한 사람에게 대...
- 성격 :
- 용어, 무속의례
- 유형 :
- 의식행사
- 분야 :
- 종교·철학/민간신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