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대전법 代田法상징적 선언에 불과하고, 15세기 이후에 실제로 대전법이나 구전법을 우리 농법에 적용한 흔적은 찾아볼 수 없다. 또, 15세기 중기만 하더라도 이어짓기인 1년...농사기술에 어두웠던 농민에게 얼마나 보급이 되었는지 의심스럽다. 화전(火田)도 대전의 일종으로 보는 견해도 있으나, 농지의 일부를 휴한시키는 대전...
- 유형 :
- 개념
- 분야 :
- 경제·산업/산업
-
경작유구 논밭유구, 耕作遺構나타난다. 화전 관련 기록으로는 신라 문무왕대의 화종역경(火種力耕), 소목전(燒木田) 등이 있다. 밭의 종류를 보면, 이랑 고랑이 열을 이루어 반복조성된 것이 청동기시대 이래로 가장 일반적이다. 둑이나 도랑으로 구획하기도 하고, 그렇게 하지 않기도 하는데, 둑으로 구획한 것 가운데에는 이랑폭이 매우 넓어...
- 시대 :
- 선사/청동기, 선사/철기, 고대/초기국가/삼한, 고대/삼국/고구려, 고대/삼국/백제, 고대/삼국/신라, 고대/삼국/가야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역사/선사문화
-
이전페이지 없음
1
현재페이지2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