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조선교육협회 조선교육회, 朝鮮敎育協會
    계획을 세웠다. 이어 3차에 걸쳐 총 1,250만원을 모금하기로 하고 7부 대학을 계획하였다. 9월 26일 회원 1,000여 명이 모여 조선교육회 창립총회를 열어 민립대학 설립을 재확인했는데, 이 운동에는 각계 각층, 심지어 친일 군수 · 도의원까지 참여하였다. 그러자 일제는 이것을 민족운동으로 파악하고 1923년 5...
    시대 :
    근대
    유형 :
    단체
    분야 :
    역사/근대사
  • 이승훈 승일, 李昇薰
    유학생회(29일) 등에서 강연했다. 민립대학설립운동에도 참여하여 1922년 11월 23일 발족한 민립대학기성준비회에서 중앙집행위원에 피선되었다. 일본의 공사립...낙이 있다”는 제목으로 “격렬한 설교”를 하여 400여 교인들에게 감명을 주었다. 1923년 4월 초에는 출범한 조선민립대학기성회 총회의 중앙부 집행위원...
    출생 :
    1864년 3월 25일, 평북 정주
    사망 :
    1930년 5월 9일
    관련 사건 :
    105인사건, 3 ・ 1운동
    본관 :
    여주(驪州)
    주요활동 :
    1907년 신민회 활동, 오산학교 설립, 1911년 105인 사건. 1919년 독립선언서 발표, 3 ・ 1운동 민족대표로 서명, 1922년 민립대학기성준비회 중앙집행위원 활동, 1927년 신간회 참여
    포상훈격 :
    1962년 건국훈장 대한민국장
    관련 인물/단체 :
    신민회
  • 민족대표 48인으로 3・1운동을 이끈 민족지도자, 김세환 金世煥
    정도로 진심으로 동포애 및 민족애를 과시하였다. 한편, 선생은 1920년대 초부터 추진되던 민립대학설립운동에서 수원지역을 대표하여 참여하였다. 이 운동은 일제의 지배에 맞서 민족의식과 독립정신을 심어주며 식민지교육정책에 대항하며 ‘한국인에 의한 한국인의 대학 설립’을 위해 추진되었다. 1922년 11...
    출생 :
    1889년 11월 18일, 경기 수원
    사망 :
    1945년 9월 26일
    포상훈격 :
    1963년 건국훈장 독립장
  • 이승훈 승일, 李昇薰
    생각하고 장래에 독립을 이루기 위해서는 교육과 산업을 통해 실력을 양성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1923년 이상재·유진태(兪鎭泰)와 함께 조선교육협회를 창립하고, 민립대학설립기성회 중앙상무위원으로 뽑혔으며, 물산장려운동에도 참여했다. 1924년 김성수(金性洙)·최린(崔麟) 등과 더불어 연정회(硏政會)의 조직에...
    출생 :
    1864(고종 1), 평북 정주
    사망 :
    1930
    국적 :
    한국
    자 :
    승훈(昇薰)
    호 :
    남강(南岡)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독립운동가
  • 한용운 정옥, 韓龍雲
    1931년 조선불교청년총동맹(朝鮮佛敎靑年總同盟)으로 개편되었는데, 그 비밀결사인 만당(卍黨)의 활동은 주목된다. 만당은 1930년 5월경 김법린(金法麟) ・ 최범술(崔凡述) 등 20여명의 청년 불교도들이 다솔사(多率寺)를 근거지로 결성한 비밀결사였다. 만당의 당수로 추대되어 이들의 활동을 지도하였으나, 겉으로는...
    출생 :
    1879년 8월 29일, 충남 홍성(洪城)
    사망 :
    1944년 6월 29일
    관련 사건 :
    3・1운동
    본관 :
    청주(淸州)
    주요활동 :
    1911년 이회광 일파의 친일매불 책동 격파, 임제종 종무원 관장으로 불교자주화운동 주도, 1913~1914년 조선불교유신론과 불교대전 간행, 1919년 3・1운동 민족대표, 1922~23년 민립대학기성회 중앙집행위원, 1923년 조선불교청년회 회장, 1927년 신간회 경성지회장, 1930년 만당 당수, 1931년 『불교』 속간, 이후 창씨개명과 조선인학병출정 반대운동
    포상훈격 :
    1962년 건국훈장 대한민국장
    관련 인물/단체 :
    불교종무원, 조선불교회, 중앙학림, 조선불교청년회, 민립대학기성회, 신간회, 만당
  • 일제강점기 日帝强占期
    쟁취하기 위하여서는 장기적으로 민족의 실력을 양성하여야 한다고 판단하고, 전국에서 민족교육의 열기가 고양되었으며, 1922년에는 조선민립대학기성회가 조직되어 민립대학설립운동이 전개되었다. 이에 놀란 일제는 할수없이 그 무마책과 회유책으로 1924년 경성제국대학설립하였다. 또한 경제적으로도 민족실업이...
    유형 :
    개념
    분야 :
    역사/근대사
  • 김성수 인촌(仁村), 金性洙
    그해 9월 동아일보가 주식회사로 전환되며 취체역으로 활동했다. 1922년 11월부터 동아일보를 통해 물산장려운동을 폈다. 1923년 3월 조선민립대학 설립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조선민립대학기성회 회금(會金)보관위원으로 위촉되었다. 1924년 4월 동아일보 취체역을 사직했다가, 그해 9월 고문으로 복귀해서 10...
    유형 :
    인물/근현대 인물
    분야 :
    정치·법제/정치
  • 조선기독교청년회전국연합회 YMCA전국연합회, 朝鮮基督敎靑年會全國聯合會
    한영서원(개성) 등 9개 학생기독교청년회(YMCA) 등을 모아 조선기독교청년회전국연합회(朝鮮基督敎靑年會全國聯合會)를 결성하였다. 이 연합회는 3년마다 정기...연맹에 가입하였다. 기능과 역할 연합회는 1921년 기관지 『청년(靑年)』을 창간했으며, 민립대학설립운동·물산장려운동 등에도 적극 참여했고, 1925...
    시대 :
    현대
    위치 :
    서울특별시 마포구 잔다리로 68
    설립 :
    1903년(황성기독교청년회), 1914년 4월(조선기독교청년회전국연합회), 1955년(대한기독청년회연맹)
    성격 :
    기독교청년 연합조직
    유형 :
    단체
    설립자 :
    이상재(李商在)
    분야 :
    종교·철학/개신교
  • 교육과정 敎育課程
    졌다. 하지만 이런 노력은 일제의 사립학교 설립요건 강화라는 방해로 인해 실패하는 경우가 많았다. 민립대학 설립운동도 일제의 관립대학인 경성제국대학 설립으로 인해 저지되었다. ② 학생 운동과 야학: 학생운동에서는 서구에서 성행한 마르크스주의 사조를 도입하여 이론적 · 과학적으로 체계화시켜 나갔다. 조선...
    유형 :
    개념
    분야 :
    교육
  • 김성수 인촌, 金性洙
    민족운동 김성수가 1922년 동아일보를 통해 전개한 '물산장려운동'과 1923년 '민립대학설립운동'(民立大學設立運動) 등은 민족의식을 고취시키는 데 큰 역할을...일보〉의 송진우·최원순(崔元淳), 천도교의 최린(崔麟)·이종린(李鍾麟), 〈조선일보〉의 신석우(申錫雨)·안재홍(安在鴻), 기독교의 이승훈(李昇薰), 대구...
    출생 :
    1891. 10. 11, 전북 고창
    사망 :
    1955. 2. 18, 서울
    국적 :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정치가
  • 과학 科學
    걸쳐 열악한 수준에 머물렀다. 1916년 경성공업전문학교가 세워지기 전까지 조선에는 공업전습소와 몇몇 간이(簡易)공업학교가 있을 뿐이었고, 교육내용도 초보...해결하려는 움직임을 보였다. 조선인들은 국채보상운동으로 모금된 자금을 합병 후 민립대학 설립기금으로 돌려쓰려 했다. 보성전문학교는 기금을 모아...
    유형 :
    개념
    분야 :
    과학/과학기술
  • 한용운 독립운동가이자 시인
    1919년 3·1운동 때 민족대표 33인의 한 사람으로 참여했으며, 일제에 체포되어 3년형을 받았다. 출옥 후인 1922~23년 민립대학 설립운동과 물산장려운동 등의 민족운동에 참여했다. 1924년 조선불교청년회 회장에 취임했고, 1927년 신간회 결성에 적극 참여해 중앙집행위원과 경성지회장에 피선되어 활동했으며, 1931년...
    출생 :
    1879. 8. 29, 충남 홍성
    사망 :
    1944. 6. 29, 서울
    국적 :
    한국
    본관 :
    청주(淸州)
    호 :
    만해(萬海)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작가
이전페이지 없음 1 현재페이지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1건

동아일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