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전사 全赦
    전대사(全大赦)의 옛말. ≪한불자전≫(韓佛字典)에 수록되어 오랫동안 사용해 온 용어 중의 하나이다. ⇒ 전대사|전대사(全大赦)의 옛말. ≪한불자전≫(韓佛字典)에 수록되어 오랫동안 사용해 온 용어 중의 하나이다. ⇒ 전대사
  • 한성 함락과 개로왕 전사 한반도 주도권이 백제에서 고구려로 넘어가다
    배경 427년 고구려가 국내성에서 평양으로 수도를 천도하다. 433년 백제와 신라가 나제 동맹을 맺다. 472년 백제 개로왕이 중국 북위에 군사 지원을 요청했지만 거부당하고, 이로 인해 고구려의 분노를 사다. 설명 건국 이래 줄곧 백제의 수도였던 한성이 475년에 고구려 장수왕의 침략으로 함락된다. 《삼국사기...
    시대 :
    475년
  • 마법소녀물의 혁명, 미소녀 전사 세일러문
    "미안해 솔직하지 못한 내가, 지금 이 순간이 꿈이라면..." 애니메이션은 때때로 시대를 불문하고 길이 남을 명곡들을 배출한다. 『미소녀 전사 세일러문』(이하 『세일러문』)의 TV애니메이션 시리즈 오프닝곡이었던 '문라이트 전설' 역시 그렇다. 『세일러문』은 1990년대 후반 국내에도 『달의 요정 세일러문』이란...
  • 국군의 전사
    국내전투 6·25전쟁 이전까지 북한은 소련의 원조로 급격히 군사력을 팽창시키고 있는 동안 국군이 미국으로부터 받은 군사원조는 1948년 9월 미군이 철수하면서 이양한 구식장비에 불과하였다. 당시 미국의 대한원조의 기본원칙은 공공질서의 유지에 필요한 정도의 군사장비만을 원조한다는 것이었기 때문에 한국군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국방
  • 조선전사 朝鮮全史
    내용 1979년 5월부터 1983년까지 총 33권이 완간되었으며, 별도로 2권의 연표가 있다. 북한 사회과학원 역사연구소가 주축이 되어 관련기관 학자들이 참여하여 집필하였으며, 한글전용으로 편찬되었다. 내용 구성은 기원전 10세기부터 1980년까지를 서술범위로 하여 전체 1만 4300쪽 가운데에서 약 67%에 해당하는...
    시대 :
    현대
    유형 :
    문헌
    분야 :
    역사/현대사
  • 권역별지역어조사및전사사업 圈域別地域語調査─傳寫事業
    개설 이 사업은 국내에서 사용되는 지역어 및 국외(중국과 독립국가연합)에서 사용되는 한국어를 조사하여 전사하고, 이를 오랜 기간 보존 및 활용할 수 있도록 각 방언의 음성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3,625개 항목의 『지역어 조사 질문지』를 바탕으로 총 71개 지역(국내 61지점...
    시대 :
    현대
    발생 :
    2004년
    성격 :
    방언 조사 및 조사 자료의 정리·보존 사업
    유형 :
    사건
    종결 :
    2013년
    분야 :
    언어/언어·문자
    관련 인물/단체 :
    국립국어원
  • 전사
    인문사회환경 ㆍ용도 구분 : 생산관리지역 ㆍ지목 : 임야 ㆍ지자체 개발 계획 : 없음 ㆍ시설물 · 이용 현황 : 시설물 없음 ㆍ영해기점 무인도서 : 영해기점 없음 ㆍ과거 주민 거주 여부 : 미거주 ㆍ향후 주민 거주 가능성 : 없음 ㆍ사람 거주시 거주 목적 : 미거주 ㆍ역사적 가치 : 없음 ㆍ주변 해역 이용 현황 : 매립...
    면적 :
    15,629m 2
    좌표 :
    34° 58′ 27.0″ N, 126° 10′ 29.1″ E
    해도번호 :
    343
    지번 :
    증도면 대초리 산27
    소유현황 :
    사유지
    육지와의 거리 :
    증도면사무소로부터 4.50km
    도서 무인도서 | 태그 전라남도
  • 전사적 자원관리 ERP, 全社的 資源管理
    기업의 효율적인 경영을 위해 기업의 모든 부분을 하나로 통합 관리하는 시스템, 혹은 경영기법. 전사적 자원관리 시스템은 1970년대 제조업체에서 재고를 줄일 목적으로 개발된 단순한 자재관리를 위한 시스템(Manufacturing Resource Planning)에서 출발했다. 1980년대 들어 자재뿐만 아니라 제조에 필요한 모든 자원...
  • 전사 均田使
    도에 파견되었다. 균전(均田)이란 이름이 붙게 된 것은 “전품의 공정한 사정에 따라 백성들의 부역을 균등히 하려 한다.”는 뜻을 나타내려는 데 있었다. 균전사라는 명칭은 임진왜란 뒤인 1612년(광해군 4)에 처음으로 보인다. 즉, 전란으로 황폐된 토지를 조사해 전세(田稅) 징수를 조정해야 한다는 우의정 이항복...
    시대 :
    조선
    유형 :
    제도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국문학전사 國文學全史
    개설 A5판. 580면. 1957년 신구문화사(新丘文化社)에서 간행하였다. 이병도(李丙燾)·이희승(李熙昇)과 지은이 이병기의 서문, 목차, 본문, 백철의 후기, 색인의 순서로 되어 있다. 내용 서문에서 한문학을 숭상하던 이제까지의 관습에서 벗어나 우리의 말과 글로 이루어진 문예작품을 중시하여 그 이본까지도 자료로...
    시대 :
    현대
    저작자 :
    이병기, 백철
    창작/발표시기 :
    1957년
    성격 :
    개론서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1권
    간행/발행 :
    신구문화사
    분야 :
    문학/현대문학
  • 최초의 지원병 전사
    기사 원문 지원병 최초의 꽃 옥천 출신 일등병 이인석 군 전사 조선인 지원병의 영예 제국 군인으로서 최고의 영예를 걸머지고 조선인 최초의 육군 지원병 충북 옥천군 서면 하동리 출생의 이인석(李仁錫) 일등병은 금춘 이래 총후 조선 열성의 환호에 응하면서 북지 OO전선에서 6월 하순 황군 용사의 일원으로서 전투에...
    간행/발행 :
    동아일보(1939년 07월 08일)
  • 천주교 가톨릭교, 天主敎
    개설 천주교(天主敎)는 1784년 조선에 전래된 직후 서학(西學) · 서교(西敎) · 천주학(天主學) · 천주교 등으로 불리다가, 근대사회에서는 ‘가톨릭’이라는 용어의 번역어인 공교(公敎), 또는 천주공교(天主公敎)라는 명칭으로도 사용되었다. 1965년 주교회의 산하에 가톨릭공용어심의위원회가 발족했고, 여기에서...
    시대 :
    조선
    유형 :
    개념
    분야 :
    종교·철학/천주교
이전페이지 없음 1 현재페이지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86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