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여성 女性남성의 자유나 높은 사회적 지위에 대한 강렬한 저항의식은 있으면서도 그것을 근대적인 남녀평등사상으로 발전시키지는 못하였는데, 이는 뿌리 깊은 남성의 가부장 권위에 도전하여 그 벽을 깰만한 논리적 근거나 방책이 없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한계는 사실상 새로운 사상 자체 내에 내포되어 있는 것이기도 하다. 즉...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사회/사회구조
-
-
로자 파크스 Rosa Parks흑인 전용칸으로 옮기기를 거부했다는 이유로 체포되었다. 흑인들은 버스 이용을 거부하며 항의했고, 침례교회 목사인 마틴 루터 킹의 주도로 조직적인 저항운동으로 발전했다. 버스 승차거부 운동은 381일 동안 계속됐다. 1996년 미국 정부로부터 자유훈장을 받았으며, 2005년 10월 24일 디트로이트 자택에서 숨졌다...
- 시대 :
- 20세기 중후반
- 출생 :
- 1913. 2. 4 미국 앨라배마 커스키기
- 사망 :
- 2005. 10. 24 미국 미시간 디트로이트
- 국적 :
- 미국
- 직업 :
- 민권운동가
- 업적 :
- 인종차별에 반대하는 조직적인 운동을 촉발시켰다.
- 대표작 :
- 〈로자 파크스 나의 이야기〉
- 수상 :
- 미국 자유훈장
- 성별 :
- 여
-
제국에 맞서 한국 독립을 지원한 일본인들, 가네코 후미코 ・ 후세 다쓰지 金子文子 ・ 布施辰治어려서부터 한학에 관심을 갖고 서당에 다녔는데, 제자백가 중에서도 전쟁에 반대하고 타인을 사랑한 겸애주의자인 묵자(墨子)를 존경했다고 한다. 자유민권운동 지지자였던 부친의 영향으로 기독교에 깊은 관심을 가졌는데, 인간의 평등성을 바탕으로 일찍이 차별과 억압에 눈 뜬 것으로 보인다. 그는 1899년 도쿄에...
- 출생 :
- 가네코 후미코 1903년, 일본후세 다쓰지 1879년, 일본
- 사망 :
- 가네코 후미코 1926년후세 다쓰지 1953년
- 포상훈격 :
- 가네코 후미코 2018년 건국훈장 애국장후세 다쓰지 2004년 건국훈장 애족장
-
-
-
민권과 인권에 대한 요구, 영국 의회의 여성 참정권 인정프랑스가 1944년, 이탈리아가 1945년에 여성의 참정권을 인정했다. 그러나 자유와 평등은 여전히 반쪽짜리에 불과했다. 피부색에 의한 차별이 남아 있었다. 링컨...금지되었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부터 흑인들의 평등한 권리를 되찾기 위한 민권 운동이 본격화되었다. 중대한 고비가 된 것은 ‘브라운 소송’이다...
- 시대 :
- 1928년
-
표현의 자유 민주주의를 유지하는 근본적인 도구표현의 자유와 그 한계에 대한 정확한 인식이 없을 경우 자칫하면 명예훼손이나 모욕의 문제가 생길 수도 있고 사생활 침해의 문제가 생길 수도 있습니다. 이처럼 헌법 문제는 늘 우리 일상 가까이에 있습니다. 소수자 집단의 목소리를 보호하기 다수결의 원리로 작동하는 민주주의에서 소수자 집단의 목소리를 굳이...
-
서재필 송재, 徐載弼독립관’을 만들고 사대주의의 상징인 영은문이 헐린 앞자리에 ‘독립문’을 세워 조선의 자주독립정신을 내외에 선양하였다. 그러나 자유로운민권신장을 위한 활동은 서재필 추방운동으로 이어졌다. 여론을 결집해 민감한 정치 현안까지 정부를 압박해 나가자 이권 확보에 혈안이 되어 있던 일본과 러시아 등 외세와...
- 출생 :
- 1864년 1월 7일, 전남 보성(寶城)
- 사망 :
- 1951년 1월 5일
- 관련 사건 :
- 갑신정변, 제1차 한인회의, 워싱턴회의
- 본관 :
- 대구(大邱)
- 주요활동 :
- 1884년 갑신정변 참여, 1896년 4월 『독립신문』 창간, 7월 독립협회 결성, 1919년 4월 필라델피아에서 ‘제1차 한인회의’ 개최, 한국통신부 설립, 5월 한국친우회 결성, 6월 『Korea Review(한국평론)』 발행, 1921년 5월 구미위원부 임시위원장, 9월 워싱턴회의 한국대표단 부단장
- 포상훈격 :
- 1977년 건국훈장 대한민국장
- 관련 인물/단체 :
- 독립협회, 한국통신부, 한국친우회, 구미위원부
-
안중근 항일 독립투사의 표상민권투쟁 사례를 통해 정부를 개혁하고 당당한 문명독립국을 이룩하여 민권의 자유를 얻으려는 개혁의지를 뚜렷이 형성시킬 수 있다.”(윤경로 《한국근대사의...이어 안중근은 을사조약이라는 나라의 비운을 겪게 된다. 이에 따라 그의 운동방향도 새로운 전환을 맞게 된다. 그는 국권회복운동을 구체화시켜 나간다. 그...
- 출생 :
- 1879년
- 사망 :
- 1910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