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원효불기 설화 元曉不羈 說話내용 신라 십성(十聖)의 한 사람인 원효가 도인으로서 도달한 모든 일에 매이지 않는 높은 경지에 관한 설화이다. 『삼국유사』는 「행장(行狀)」 · 「당승전(唐僧傳)」 · 「향전(鄕傳)」 등을 인용하여 원효의 설화 7편을 소개하고 있다. 내용은 다음과 같다. ① 원효의 어머니가 원효를 잉태하여 만삭이 되었을 때...
- 시대 :
- 고대/삼국
- 유형 :
- 작품
- 분야 :
- 문학/구비문학
-
-
Wonhyo 원효, 元暁Wonhyo (617–686 CE) was one of the leading thinkers, writers and commentators of the Korean Buddhist tradition. Essence-Function , a key concept in East Asian Buddhism and particularly Korean Buddhism, was refined in the syncretic philosophy and world view of Wonhyo.As one of the most eminent sc...출처 영어 위키백과
-
원효대교 元曉大橋이 방면의 기능을 담당하고 있는 서울교·한강대교·반포대교의 단측 7차선으로는 무리가 따르게 되고, 또한 앞으로 교통량의 급속적인 증가를 예상할 때 원효대교의 건설은 과중한 교통량을 흡수하고 분산처리해 주는 기능을 담당하도록 건설된 것이다. 처음에는 민간회사에서 건설하여 유료도로로 하였으나, 1984년에...
- 시대 :
- 현대
- 성격 :
- 다리
- 유형 :
- 지명
- 면적 :
- 길이 1,470m, 너비 20m
- 소재지 :
- 서울특별시 용산구 원효로,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 분야 :
- 경제·산업/교통
-
원효연 자순(子順), 元孝然개설 본관은 원주(原州). 자는 자순(子順). 아버지는 정언(正言) 원황(元晃)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432년(세종 14) 식년 문과에서 동진사(同進士)로 합격하였다. 1452년(단종 즉위년)에 장령(掌令)에 임명되고, 검상(檢詳)·사인(舍人) 등을 역임하였다. 1454년 첨지중추원사(僉知中樞院事)로서 대마주경차관(對馬州敬...
- 시대 :
- 조선
- 출생 :
- 1404년(태종 4)
- 사망 :
- 1466년(세조 12)
- 경력 :
- 동지중추원사(同知中樞院事), 평안도관찰사, 예조판서
- 유형 :
- 인물
- 직업 :
- 문신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본관 :
- 원주(原州)
-
법화경종요 법화종요(法花宗要), 法華經宗要개설 『법화경종요』는 분량은 얼마 되지 않으나 그 내용은 매우 짜임새 있게 간추려져 있으며 독창적인 해석이 많다. 원효의 86여부(『한국찬술문헌총록』) 저술 중 중요한 것의 하나로 꼽힌다. 원효는 『법화경』뿐만 아니라 다수의 경론에서 그 종지의 요긴한 뜻을 종요의 형식으로 정리하였다. 법화 관계 저술로는...
- 시대 :
- 고대
- 유형 :
- 문헌/고서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
-
금강삼매경론 金剛三昧經論상세하게 이 논을 저술한 연기가 소개되어 있다. 당시 국왕은 백고좌(百高座)를 설치하고 『인왕경(仁王經)』 대회를 열어 두루 석덕(碩德)을 찾았는데, 원효의 고향인 상주에서는 그를 추천하였으나 다른 승려들이 싫어하고 비방하므로 이에 참석할 수 없었다. 얼마 뒤 왕후가 종기를 앓는데 약효가 없었을 뿐 아니라...
- 시대 :
- 고대
- 유형 :
- 문헌/고서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
강종 대화(大華), 康宗최씨 무단정치로 실권이 없었다. 왕의 생일을 광천절(光天節)이라 정하고, 왕모 의정왕후 김씨(懿靖王后金氏)를 광정태후로 추존하였다. 또한, 원자 왕진(王瞋: 뒤의 高宗)을 태자에 책봉하고, 왕비 유씨를 연덕궁주(延德宮主)로 하였다. 시호는 원효(元孝)이며, 장지는 후릉(厚陵: 경기도 개풍군 현화리)이다. 참고문헌
- 시대 :
- 고려
- 유형 :
- 인물/전통 인물
- 분야 :
- 역사/고려시대사
-
고려 22대 왕, 강종 고려 제22대 왕, 康宗최충헌의 옹립으로, 폐위된 희종에 이어 왕이 되었다. 당시는 무인집권기로 최충헌이 권력을 장악하고 있었으므로, 실권이 없었을 뿐만 아니라 재위기간도 1년 9개월에 불과했다. 1213년(강종 2) 4월 부왕의 능에 다녀온 뒤 병을 얻어 자리에 누웠으며 나흘 뒤 세상을 떠났다. 능은 후릉(厚陵)이며, 시호는 원효(元孝...
- 출생 :
- 1152(의종 6)
- 사망 :
- 1213(강종 2)
- 국적 :
- 고려, 한국
- 종교 :
- 불교
- 재위 :
- 1211년∼1213년
- 시호 :
- 명헌원효대왕(明憲元孝大王)
- 능묘 :
- 후릉(厚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