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원효연

다른 표기 언어 元孝然
요약 테이블
출생 ?,
사망 1466(세조 12)
국적 조선, 한국

요약 조선 초기의 문신.

본관은 원주. 자는 자순. 아버지는 정언 황(晃)이다.

1432년(세종 14) 식년문과에 급제, 장령·검상·사인·좌사간 등을 역임했다. 1454년(단종 2) 판통례문사로 있을 때 그해에 약정된 50척의 배가 모두 왔는데도 다시 12척의 배를 이끌고 제포에 들어오자 쓰시마 도주[對馬島主]에게 통고하여 돌아가도록 했다. 이어 첨지중추원사로서 쓰시마 주 경차관으로 파견되어 쓰시마 도주에게 통교의 험증으로 발급되는 삼착도서의 특송인이나 조선 정부에서 호군직을 받은 자의 내선도 세종 때 정한 세견선 50척 이내에 포함시킬 것을 요구했다.

1455년 예조참의·경상도관찰사를 지내고, 세조가 즉위한 뒤 좌익공신 3등으로 성안군에 봉해졌다. 예조참판·대사헌을 거쳐 1457년(세조 3) 덕녕부윤으로 명(明)나라 영종의 등극을 축하하는 하등극사의 부사로 중국에 다녀왔다. 1458년 평안도관찰사를 거쳐 이듬해 형조참판이 되고, 1462년 원성군으로 개봉되었다. 이어 전라도관찰사·인순부윤·한성부윤 등을 지내고 1464년 예조판서가 되었다. 시호는 문정이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Daum백과] 원효연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