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성벽 城壁오장환(吳章煥)은 충북 회인(懷仁)에서 출생하여 회인공립보통학교, 안성공립보통학교, 휘문고보를 거쳐 일본 동경의 메이지대학(明治大學) 전문부를 다니다 중퇴하고 귀국하였다. 휘문고보재학 중 1933년 11월 《조선문학》지에 산문시 「목욕간」을 발표하면서 문단에 나왔다. 1936년 《시인부락》, 《낭만》 동인...
- 시대 :
- 근대
- 저작자 :
- 오장환(1918~미상)
- 크기 :
- 17×20(cm)
- 간행/발행 :
- 풍림사, 1937.
- 면수/쪽수 :
- 47면
-
헌사 獻詞오장환(吳章煥)은 충북 회인(懷仁)에서 출생하여 회인공립보통학교, 안성공립보통학교, 휘문고보를 거쳐 일본 동경의 메이지대학(明治大學) 전문부를 다니다 중퇴하고 귀국하였다. 휘문고보 재학 중 1933년 11월 《조선문학》지에 산문시 「목욕간」을 발표하면서 문단에 나왔다. 1936년 《시인부락》, 《낭만》 동인...
- 시대 :
- 근대
- 저작자 :
- 오장환(1918~미상)
- 크기 :
- 13.5×18(cm)
- 간행/발행 :
- 남만서방, 1939.
- 면수/쪽수 :
- 62면
-
성벽 城壁鄕愁)」, 「병실(病室)」, 「호수(湖水)」 등의 작품에서는 주인공의 무력감과 분노, 슬픔과 절망 등 식민지 청년의 비애가 표현되어 있다. 의의 및 평가 오장환은 1930년대에서 해방 전후까지 활발한 활동을 한 시인으로 『성벽(城壁)』(1937), 『헌사(獻詞)』(1939), 『병든 서울』(1946), 『나 사는 곳』(1947) 등의...
- 시대 :
- 근대
- 유형 :
- 문헌/도서
- 분야 :
- 문학/현대문학
-
시인부락 詩人部落개설 A5판, 30∼40면 정도. 1936년 11월 김달진(金達鎭)·김동리(金東里)·여상현(呂尙玄)·서정주(徐廷柱)·오장환(吳章煥)·함형수(咸亨洙) 등이 창간한 시가중심의 문예동인지로, 1936년 12월 제2호로 종간되었다. 내용 편집인 겸 발행인은 1호가 서정주, 2호는 오장환이 맡았고, 시인부락사에서 발행하였다. 동인지...
- 시대 :
- 근대
- 저작자 :
- 서정주, 오장환
- 창작/발표시기 :
- 1936년 11월(창간), 1936년 12월(종간)
- 성격 :
- 잡지, 문예잡지, 시동인지
- 유형 :
- 문헌
- 간행/발행 :
- 시인부락사
- 분야 :
- 문학/현대문학
-
헌사 獻詞분위기는 그대로 유지되고 있는 것이다. 생명파의 시인들이 이성으로는 억제할 수 없는 원초적 감정을 노래하는 것을 본질로 삼고 있듯이, 생명파의 일원인 오장환의 시세계도 미의식이나 세련된 기법보다는 투박한 육성의 울림 그 자체에 충실하려는 경향이 뚜렷이 드러난다. 시라고 하는 것을 어떤 미적 규범에 따라...
- 시대 :
- 근대
- 저작자 :
- 오장환(吳章煥)
- 창작/발표시기 :
- 1939년
- 성격 :
- 시집
- 유형 :
- 문헌
- 간행/발행 :
- 남만서방
- 분야 :
- 문학/현대문학
-
1940년대 한국문학사적 특징, 전위 시인들의 등장박산운의 합동 시집이다. 3 · 6판에 73쪽으로 되어 있는 『전위 시인집』에는 젊은 시인 다섯 명이 저마다 5편씩 선보인 총 25편의 시가 실려 있다. 김기림의 서문과 오장환의 발문이 붙은 이 시집이 나온 뒤 다섯 명은 ‘전위 시인(前衛詩人)’이라고 불리게 된다. 이윽고 ‘전위 시인’이라는 말은 그들뿐 아니라...
- 시기 :
- 1946년
-
-
1930년대의 한국문학사적 특징, 〈시인부락〉과 생명파서정주 스스로 발행인과 편집인을 겸한 국판 30여 쪽의 이 동인지에는 그와 마찬가지로 무명에 가깝던 김진수 · 김달진 · 김상원 · 이성범 · 여상현 · 오장환 · 정복규 · 함형수 등 신진 시인들이 모여든다. ‘시인 부락파’의 지표나 결성 취지는 너무 소박해, 개성과 참된 자유를 살릴 수 있는 시인들이 이...
- 시기 :
- 1936년
-
생명파 인생파, 生命派部落)』과 유치환(柳致環)이 주재한 시 동인지 『생리(生理)』(1937)에 나타난 생명의식에서 비롯되었다. 특히, 『시인부락』의 동인인 서정주(徐廷柱) · 오장환(吳章煥) · 김동리(金東里) · 유치환 등의 시로부터 발견되는 생명의식에서 강렬하고 독특한 생리적인 욕구, 도덕적 갈등, 시대의 인식 등이 함께 융합...
- 유형 :
- 개념
- 분야 :
- 문학/현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