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회갑상 回甲床옥춘당·팔보당·온당·원당 등, ⑤ 생실과 : 사과·배·귤·감 등, ⑥건과 : 대추·호두·은행·잣·곳감 등, ⑦ 정과 : 연근정과·생강정과·모과정과·동아정과·청매정과·맥문동정과·산사정과·밤초·대추초 등, ⑧ 편 : 백편·꿀편·싱검초편·화전·주악·단자 등, ⑨ 건어물 : 문어·어포·육포·전복 등, ⑩...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생활/식생활
-
-
수운잡방 需雲雜方김치, 즙저, 즙장만들기, 침동아구장법, 과저, 또 다른 과저, 수과저, 노과저, 치저, 납조저, 생가지 저장, 오이씨심기, 생각심기, 머위심기, 참외씨 심기, 연근심기, 어식해법, 배 저장, 무김치, 파김치, 동치미, 동아정과, 두부 만들기, 타락, 엿 만들기, 또 다른 즙저, 조장법, 또 다른 조장법, 또 다른 조장법, 청...
- 시대 :
- 조선 전기
- 유형 :
- 문헌
- 분야 :
- 생활/식생활
-
미음상 ─床, Miumsang구조 및 형태 미음과 함께 간을 맞출 수 있도록 소금, 간장, 꿀을 올리고 각색정과(모과·유자·생강·동아·연근·도라지·배·귤 등), 물김치류도 차려진다. 미음과 함께 원기를 보충하기 위해 쇠고기·닭·붕어 등을 천엽, 양(䑋)과 같이 푹 고은 고음(곰국)을 함께 차려내기도 한다. 사용 방법 및 특징 미음상은 병...
- 시대 :
- 조선
- 성격 :
- 상차림
- 유형 :
- 물품
- 재질 :
- 미음, 물김치, 마른찬, 소금, 간장
- 용도 :
- 환자식, 회복식, 이유식, 치료식
- 분야 :
- 생활/식생활
-
전라도의 음식 목록 List of Jeolla dishes수리취개떡(수리취떡) 송피떡 고치떡 삘기송편 호박고지차시루떡 감인절미 감단자 전주경단 해남경단 우찌지 차조기떡 섭전 산자(유과) 유과별법 고구마엿 동아정과 생강정과 연근정과 유자화채 곶감수정과 한국 요리 조선왕조 궁중음식 사찰음식 한국 요리 목록 웹아카이브 at the Korea Agro-Fisheries Trade Corporation도서 위키백과
-
율란 밤으로 만든 한과, 栗卵주한 카타르 대사 부인이 극찬한 전통과자 우리 전통음식에는 밤, 대추, 생강, 연근, 인삼 따위를 꿀이나 설탕물에 졸여 만든 음식인 정과(正果)가 있습니다. 만드는 방법과 재료에 따라 부르는 이름이 다릅니다. 대추, 밤을 원래의 모양대로 꿀에 조린 것은 대추초, 밤초라 하고 밤을 삶아 으깨어 꿀을 섞어 밤 모양...
-
나룻터숯불장어구이 1호점년 가게 인증을 받은 곳으로 장어를 숯불에 구울 때 강화도 선원사에서 가져온 연근 가루를 뿌려 장어 특유의 비린내를 없애고 소화를 돕게 한다. 덕분에 생강...수 있다고 한다. 마, 부추, 순무 김치, 전, 새우 숙회, 장어 뼈 튀김, 정과, 떡, 양갱까지 테이블에 빈틈이 없을 정도로 다양한 밑반찬이 제공되고 리필해서...
- 위치 :
- 경기도 김포시 김포대로3023번길 96
도서 대한민국 구석구석 -
다마리촌 (이바라키현 니하리군 2006년) Tamari, Ibaraki, 玉里村 (茨城県)일본 행정구역 정보 (폐지) 다마리촌은 이바라키현 니하리군에 설치되었던 촌이다. 연근 재배가 유명하다. 인접한 오가와 정, 미노사토 정과의 합병에 의해, 2006년 3월 27일에 오미타마 시가 되었다. 이로써 니하리군은 소멸되었다. 가스미가우라가 눈앞에 펼쳐져 있고, 쓰쿠바산도 보인다. 현재의 샤오미타마시 남부에...도서 위키백과
-
List of Jeolla dishes떡) Seopjeon (섭전) Desserts Sanja (산자, 유과) Yugwa byeolbeop (유과별법) Goguma yeot (고구마엿) Donga jeonggwa (동아정과) Saenggang jeonggwa (생강정과) Yeongeun jeonggwa (연근정과) Yuja hwachae (유자화채), hwachae (punch) made with yuzu, Korean pear, pomegranate Gotgam sujeonggwa (곶감수정과...출처 영어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1
현재페이지2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