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김해 가락국의 왕과 비가 잠들어 있는 이곳을 찾아서김해는 가야국의 역사가 담긴 유구한 전통이 깃든 도시다. 김해의 상징적인 문화 유적지를 따라 고이 잠들어 있는 우리의 문화 유산지를 찾아가 본다. 수로왕의 왕비인 허황옥 황후가 잠들어 있는 수로 왕비릉을 시작으로 김해의 대표 유적지라 할 수 있는 수로왕릉까지 답사하며 가야의 역사를 되짚어 볼 수 있다.도서 대한민국 구석구석
-
-
수로부인 헌화공원 (남화산 해맞이공원)초대형 수로부인 상은 높이 10.6m, 가로 15m, 세로 13m, 중량 500t에 달하며, 천연 돌로 만든 동양 최대의 조각상이다. 절세미인으로 알려진 수로부인은 신라 성덕왕 때 순정공의 부인이다. 남편이 강릉태수로 부임해 가던 중 수로부인이 사람이 닿을 수 없는 돌산 위에 핀 철쭉꽃을 갖고 싶어 하자 마침 소를 몰고 가던...
- 위치 :
-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 원덕읍 임원항구로 33-17
도서 대한민국 구석구석 -
김수로왕신화 金首露王神話내용 시조신화이며 건국신화로 『삼국유사』 권2 「가락국기」에 전하는데, 건국자인 수로왕의 탄생과 혼사, 그리고 즉위에서 죽음에 이르기까지의 내력을 줄거리로 삼고 있다. 이 점에서 「김수로왕신화」는 「단군신화」나 「혁거세신화」 혹은 「동명왕신화」와 그 맥락을 같이하고 있다. 건국시조신화로서 「김수로...
- 시대 :
- 고대/초기국가
- 성격 :
- 신화, 시조신화, 건국신화
- 유형 :
- 작품
- 분야 :
- 문학/구비문학
-
구형왕 구충왕, 仇衡王내용 시조인 수로왕의 9세손으로 성은 김씨이다. 겸지왕(鉗知王)의 아들로 521년에 즉위하여 532년 신라 법흥왕에 항복했다. ‘구충왕(仇衝王)’ 또는 ‘구해왕(仇亥王)’, ‘구차휴(仇次休)’라고도 표기되었다. 『삼국사기』 신라본기 법흥왕 19년(532)조에 “금관국의 임금 김구해(金仇亥)가 왕비 및 세 아들인 장남...
- 시대 :
- 고대/삼국/가야
- 유형 :
- 인물/전통 인물
- 분야 :
- 역사/고대사
-
-
신라 5대 왕, 파사이사금 신라 제5대 왕, 婆娑尼師今다음해에 가야를 치려 하다가 가야왕이 사신을 보내 사죄하여 중지했다. 102년에 음즙벌국과 실직곡국 사이에 경계다툼이 일어나 중재를 요청해오자, 가야 수로왕에게 자문을 구하여 문제의 땅을 음즙벌국에 귀속시켰다. 그러나 얼마 후 신라육부 내부의 알력에 개입한 음즙벌국을 쳐서 병합했다. 그러자 실직국·압독국...
- 출생 :
- 미상
- 사망 :
- 112(파사이사금 33)
- 국적 :
- 신라, 한국
- 재위 :
- 80년~112년
-
수로부인 水路夫人향가(鄕歌)인 <해가 海歌>와 <헌화가 獻花歌>의 주인공이다. 성덕왕 때 순정공이 강릉태수로 부임할 때 동행하다가 바닷가에서 점심을 먹었다. 그 곁에 바위...있는데, 높이가 천 길이나 되는 바위 위에 철쭉꽃이 활짝 피어 있었다. 수로부인이 그것을 보고 사람들에게 “누가 저 꽃을 꺾어다 주겠소?” 하고...
- 시대 :
- 고대/남북국/통일신라
- 유형 :
- 인물
- 직업 :
- 주인공
- 성별 :
- 여
- 분야 :
- 역사/고대사
-
질지왕 김질왕(金銍王), 銍知王7대 취희왕(吹希王)이며, 어머니는 진사(進思) 각간(角干)의 딸 인덕(仁德)이다. 왕비는 김상(金相) 사간(沙干)의 딸 방원(邦媛)이다. 즉위한 이듬해에 시조인 수로왕과 왕후 허황옥(許黃玉)의 명복을 빌기 위하여 그들이 처음 만난 자리에 왕후사(王后寺)라는 절을 짓고 전(田) 10결을 주어 비용으로 쓰게 하였다고...
- 시대 :
- 고대/삼국
- 출생 :
- 미상
- 사망 :
- 492년(질지왕 42)
- 유형 :
- 인물
- 관련 사건 :
- 왕후사(王后寺) 창건
- 직업 :
- 왕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고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