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윤보선 해위(海葦), 尹潽善대한적십자사 총재와 기독교 자선기관인상이군인신생회장, 1952년 한영(韓英)협회 회장 등을 맡았다. 윤보선은 한국전쟁 중인 1952년 5월 발생한 ‘부산정치파동’을 계기로 야당으로 돌아서며 이승만 대통령과 헤어졌다. 1954년 5월 실시된 제3대 민의원 선거에서 민주당 후보로 종로에 출마해 당선되었다. 같은 해 6월...
- 시대 :
- 현대
- 출생 :
- 1897년
- 사망 :
- 1990년
- 경력 :
- 미군정청농상국고문, 민중일보사장, 서울시장, 상공부장관, 한영협회회장, 대한적십자사총재, 국회의원, 대통령
- 유형 :
- 인물
- 관련 사건 :
- 부산정치파동, 5·16군사정변, 민청학련사건, 3·1민주구국선언사건, YWCA위장결혼사건
- 직업 :
- 정치인
- 대표작 :
- 구국의 가시밭길, 외로운 선택의 나날
- 성별 :
- 남
- 분야 :
- 정치·법제/정치
- 본관 :
- 해평(海平)
-
김병로 가인(街人), 金炳魯작업 등 야당활동을 전개하였다. 대법원장 재임 9년 3개월 동안 사법부 밖에서 오는 모든 압력과 간섭을 뿌리치고 사법권 독립의 기초를 다졌다. 1952년 부산정치파동 직후 대법관들에게 “폭군적인 집권자가 마치 정당한 법에 의거한 행동인 것처럼 형식을 취해 입법기관을 강요하거나 국민의 의사에 따르는 것처럼...
- 유형 :
- 인물/근현대 인물
- 분야 :
- 정치·법제/정치
-
임시 수도 부산, 그 시절로 들어가다. 臨時 首都 釜山, 그 時節로 들어가다부산을 만들었다. “국란의 현장에서 부산은 모든 역량과 모든 사람들을 품어내는 바다 역할을 했습니다.” 이현주 임시 수도 기념관 관장의 말이다. [부산 정치 파동, 이승만 독재의 길] ‘대한민국 임시 수도 기념 거리’라는 안내판이 보인다. 동아대학교 부민캠퍼스에서 임시 수도 기념관까지의 가로 500m. 기념...
- 분야 :
- 역사
- 지역 :
- 부산광역시
출처 한국 향토문화 전자대전 -
서범석 백봉(白峰), 徐範錫제4대, 1960년 제5대, 1963년 제6대, 1967년 제7대, 1971년 제8대 등 20여 년 동안 민주당, 민중당, 신민당 등 야당 소속의 국회의원으로 당선됐다. 1952년 부산정치파동 때는 국제공산당 혐의로 투옥됐다. 장면정권(張勉政權) 수립 뒤 국회내무위원장을 맡았고, 1964년 민중당(民衆黨) 원내총무로 활동했다. 1971...
- 시대 :
- 현대
- 출생 :
- 1902년 10월 19일
- 사망 :
- 1986년 4월 2일
- 유형 :
- 인물
- 관련 사건 :
- 조선일보 필화사건
- 직업 :
- 언론인, 정치인
- 성별 :
- 남
- 분야 :
- 정치·법제/정치
-
정치 政治천도했고 약 천일 간의 임시 수도 시대가 열렸다. 이 시기에 이승만 집권을 위한 발췌 개헌안을 통과시키려고 국회 의원들을 강제 연행하는 정치 파동[1952년 부산 정치 파동]이 벌어지기도 하였다. 이후 ‘사사오입(四死五入) 개헌’으로 장기 집권의 길을 닦은 이승만과 자유당은 경찰과 청년단을 동원한 관권 부정...
- 분야 :
- 정치·경제·사회
- 지역 :
- 부산광역시
출처 한국 향토문화 전자대전 -
-
정당 政黨항명파동)과 선거후유증에 관련된 당내 잡음 등으로 당 또는 당 주변 주도세력의 변화는 민주공화당이 원내정당으로 변하였다는 견해를 넘어서 행정부의 시녀로 전락하였다는 비판까지 받게 되었다. 이에 더하여 10월유신 이후에는 유정회(維政會)라는 친위집단까지 등장하여 그 기능이 더욱 위축되었으며, 나아가 10...
- 유형 :
- 개념
- 분야 :
- 정치·법제/정치
-
부산의 언론·출판 言論·出版10시간 30분 동안 방송을 하였다. 환도 후인 1953년에는 부산 역전 대화재로 부산방송국이 전소되어 상당 기간 미군 설비를 빌려 임시 방송을 하였다. 부산 정치 파동의 와중인 1952년 6월 12~14일에는 대통령 이승만이 ‘미국의 소리[VOA]’ 한국어 방송을 일시 중단시켜 버리는 해프닝이 벌이지기도 하였다. 환도 후인...
- 분야 :
- 문화·교육
- 지역 :
- 부산광역시
출처 한국 향토문화 전자대전 -
김영삼 의원 제명 파동 金泳三総裁議員職除名波動독재타도, 반정부시위가 시작됐다. 10월 16일과 10월 17일 부산에서는 김영삼에 대한 정치탄압 중단과 유신정권 타도 등을 외쳤고 10월 18일과 10월 19일에는...부마 민중 항쟁 김영삼 초산 테러 사건 김대중 납치 사건 김옥선 파동 장면 피격 사건 제4공화국 민주공화당 유신정우회 김대중 김옥선 장면 장준하 윤보선...도서 위키백과
-
대통령제 大統領制명목으로 계엄령을 선포하고, 이렇게 하여 형성된 공포분위기 속에서 50여 명의 국회의원을 국제공산당에 관련되었다는 혐의로 강제연행하는 등 소위 ‘부산정치파동’을 야기시켰다. 그 당시가 휴전 이전의 전시였다는 점을 감안하더라도 이것은 명백히 의회에 대한 행정부의 폭력이었으며, 대통령제의 기반이 되는...
- 시대 :
- 현대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정치·법제/정치
-
김영삼 대한민국 제14대 대통령, 金泳三불거지고 부산의 민심이 김영삼으로 집결하며 반전됐다. 12월 18일 대통령 선거에서 김영삼은 42%를 득표하여 김대중을 약 194만 표 차이로 누르고 대통령에 당선됐고, 이듬해 2월 25일 제14대 대통령에 취임했다. 대통령 재임 시기 김영삼은 자신의 정부를 '문민 정부'라고 명명하고, 취임한 당일 청와대 앞길과 인왕산...
- 출생 :
- 1929. 1.14, 경남 거제(호적상에는 1927. 12.20)
- 사망 :
- 2015. 11. 22, 서울
- 국적 :
- 한국
- 직업 :
- 정치인, 대한민국 제14대 대통령
- 호 :
- 거산(巨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