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화성 和成
    전승 과정 「화성」은 세종 때 「정대업」 · 「보태평」 · 「봉래의」(「여민락」 · 「치화평」 · 「취풍형」)와 같이 향악과 고취악을 참조하여 창제된 곡으로 「발상」 11곡 중 제11번째인 인출곡(引出曲)이다. 정확한 창제 시기는 불명확하며 대략 세종 29년(1447) 무렵으로 추정된다. 세조 6년(1463)에 「정대업...
    시대 :
    조선
    유형 :
    작품/전통음악
    분야 :
    예술·체육/국악
  • 진구호 進口號
    선구호라고도 한다. 봉래의 중 전인자 다음으로 관현악의 반주 없이 노래로만 연주되는데 봉래의의 마지막에서 연주되는 퇴구호와 대칭을 이룬다. 진구호는 4언절구의 8구로 된 한시를 노래한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한국음악
  • 순우 純佑
    전승 과정 「순우」는 세종 29년(1447년)에 『정대업(定大業)』 · 『보태평(保太平)』 · 『봉래의(鳳來儀)』(「여민락(與民樂)」 · 「치화평(致和平)」 · 「취풍형(醉豐亨)」)와 같이 공사(公私)의 연향(宴享)에 사용하기 위해 창제된 『발상』 11곡 중 두 번째 곡으로 등장한다. 2년 후인 세종 31년(1449년)에 종묘(宗廟...
    시대 :
    조선 전기
    유형 :
    작품/전통음악
    분야 :
    예술·체육/국악
  • 영경 靈慶
    전승 과정 「영경」은 세종 29년(1447년)에 정대업(定大業) · 보태평(保太平) · 봉래의(鳳來儀) (여민락(與民樂) · 치화평(致和平) · 취풍형(醉豐亨))와 같이 공사(公私)의 연향(宴享)에 사용하기 위해 창제된 「발상」 11곡 중 네 번째 곡으로 등장한다. 2년 후인 세종 31년(1449년)에 종묘(宗廟) · 조회(朝會...
    시대 :
    조선 전기
    유형 :
    작품/전통음악
    분야 :
    예술·체육/국악
  • 여민락 與民樂
    내용 조선시대 세종 때 창제된 <봉래의 鳳來儀>에 포함되었던 음악. <봉래의>라는 악무는 전인자(前引子)·여민락·치화평(致和平)·취풍형(醉豊亨)·후인자(後引子)로 이루어져 있는데, <여민락>은 그 두번째의 음악이었으며 한문으로 된 <용비어천가>의 일부를 노래로 부르기도 하던 곡이다. <치화평>이나...
    시대 :
    조선
    창작/발표시기 :
    조선 세종 연간
    성격 :
    기악합주곡
    유형 :
    작품
    분야 :
    예술·체육/국악
  • 종묘제례악 종묘악, 宗廟祭禮樂
    악기를 들여왔다. 조선 초기에는 여러 곡을 지었으나 조종의 공덕을 기리기에는 부족하다 하여 세종은 고취악과 향악에 바탕을 두어 정대업·보태평·발상·봉래의 등을 창제했다. 그중 정대업과 보태평은 회례악무로 창제된 것이고 종묘제례악에는 쓰이지 않았다. 이 곡들은 최초의 유량악보인 정간보와 율자보에 의해...
    문화재 지정 :
    1964.12.07
    소재지 :
    서울특별시
    문화재 :
    국가무형문화재 제1호
  • 김천흥 金千興
    춤 기본 등을 배웠다. 전공으로는 해금을, 부전공으로는 아쟁과 양금을 수업했다. 1923년 창덕궁 인정전에서 열린 순종황제 탄신 51주년 잔치에서 무동으로 봉래의·처용무·춘앵전 등 10여 종의 궁중춤에 출연하여 첫발을 내디뎠다. 1926년 이왕직아악부원양성소를 졸업한 후 여러 궁중행사의 악사로 활약했다. 1932년...
    출생 :
    1909. 2. 9, 서울
    사망 :
    2007. 8. 18, 서울
    국적 :
    한국
  • 향악 鄕樂
    조선 초기에 쓰인 향악은 고려의 향악이 그대로 전승되었다. 향악은 장악원의 우방에서 연주되었으며, 좌방의 아악과 상대되는 위치에 있었다. 세종 때에는 봉래의·정대업·보태평·용비어천가 등과 같은 향악곡들이 새로 만들어졌다. 한편 고려의 향악곡 가운데 남녀간의 사랑을 노래했다 하여 원래의 가사를 개작하여...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세종실록악보 世宗實錄樂譜
    覲天庭)·수명명(受明命)·향악(鄕樂) 등을 기초하여, 조종무공문덕(祖宗武功文德)을 송영(頌詠)한 무악(舞樂)인 정대업(定大業)·보태평과, 발상(發祥)·봉래의(鳳來儀)·여민락·치화평(致和平)·취풍형(醉豊亨) 등 새로운 악곡을 창작한 것이다. 그러나 이 곡들은 실제로 종묘제악에서 연주되지는 못했다. 악보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음악
  • 국연정재창사초록 國讌呈才唱詞抄錄
    개산(改刪:잘못된 것을 고침)하였으나 그 이루(俚陋)한 말을 다 개량하지 못하여 참탄(慚歎)하다.”고 하였다. 이 책에 수록된 정재는 다음과 같다. 「봉래의(鳳來儀)」·「몽금척(夢金尺)」·「경풍도(慶豐圖)」·「헌선도(獻仙桃)」·「헌천화(獻天花)」·「만수무(萬壽舞)」·「침향무(沈香舞)」·「제수창(帝壽昌...
    시대 :
    근대
    저작자 :
    윤용구
    창작/발표시기 :
    1894년 3월, 1901년 7월(발표)
    성격 :
    악서, 잡저
    유형 :
    문헌
    분야 :
    예술·체육/무용
  • 해동악부 海東樂府
    受寶錄)·근천정(勤天庭)·수명명(受明命)·하황은(荷皇恩)·하성명(賀聖明)·택성(澤聖)·육화대(六花隊)·곡파(曲破)·보태평(保太平)·정대업(定大業)·봉래의(鳳來儀)·아박(牙拍)·향발(響鈸)·무고(舞鼓)·학무(鶴舞)·교방가요(敎坊歌謠)·문덕곡(文德曲)·조정악(朝廷樂)·삼조(三調)·진작(眞勺) 등이다...
    시대 :
    조선
    저작자 :
    이유원
    창작/발표시기 :
    조선 후기
    성격 :
    악부시
    유형 :
    작품
    분야 :
    문학/한문학
  • 국조악장 國朝樂章
    을 차례로 모은 것이고, 「열조추상존호악장」은 1471년(성종 2)·1475년·1677년(숙종 3)에 지은 악장으로 구성되었다. 「진풍정악장」은 「용비어천가」와 「봉래의」에서 뽑은 16편으로 구성되었고, 「조회례연의통용악장」은 9장으로 이루어졌다. 친경의식에서 쓰인 「친경악장」, 벼베기 때 왕의 행차에서 쓰인...
    시대 :
    조선
    저작자 :
    홍계희(洪啓禧), 서명응(徐命膺), 김치양(金致讓)
    창작/발표시기 :
    1765년(영조 41)
    성격 :
    악서, 악장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1책 44장
    분야 :
    예술·체육/국악
    소장/전승 :
    규장각 도서
이전페이지 없음 1 현재페이지2 3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7건

봉래의
봉래의
봉래의
봉래의
봉래의
정재무도홀기 / 봉래의
세종실록 / 봉래의전인자 악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