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불국사 삼층석탑 사리장엄구 佛國寺三層石塔舍利莊嚴具은제2중사리합(외합 높이 11.5cm, 지름 6cm)·금동방형사리합(크기 6×3.3×5.5cm)·은제사리내합(높이 6.5cm, 지름 5cm)·향목제사리소병·은제소합·〈무구정광대다라니경 無坵淨光大陀羅尼經〉 등이 있었다. 이 가운데 두루마리로 된 다라니경(너비 8cm, 길이 600cm)은 종이의 질이나 글씨체 가운데 당의 측천무후자...
- 문화재 지정 :
- 국보(1967.09.16 지정)
-
합천 해인사 길상탑 陜川 海印寺 吉祥塔진성여왕 8년(895) 탑을 건립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탑지에 기록된 무구정소탑 99기와 77기의 봉납으로 미루어 통일신라시대 조탑경으로 유행했던 『무구정광대다라니경』에 따른 조탑이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내용 석탑은 우선 입지적인 면에서 사찰의 중심지가 아닌 입구에 일주문 밖 도로변에 위치해 있는 것이...
- 시대 :
- 고대/남북국/통일신라
- 유형 :
- 유적
- 분야 :
- 예술·체육/건축
-
-
두루마리 권축장(卷軸裝)경우가 많았던 것으로 보인다. 현재 전하는 가장 오래된 두루마리 형태의 문화유산으로 경주 불국사의 석가탑에서 발견된 751년(경덕왕 10)의 『무구정광대다라니경(無垢淨光大陀羅尼經)』이 있다. 또 754년에 제작된 신라의 백지묵사경(白紙墨寫經)인 『대방광불화엄경(大方廣佛華嚴經)』이 있다. 고려시대에는 1007년...
- 유형 :
- 개념
- 분야 :
- 언론·출판/출판
-
무괘본 무계본(無界本), 無罫本보물 『권문해(權文海) 초간일기(草澗日記)』 등의 일기류가 대표적인 무괘본이다. 또한 인쇄본 가운데 대표적인 무괘본으로는 국보 제126호 『무구정광대다라니경(無垢淨光大陀羅尼經)』, 『대방광불화엄경(大方廣佛華嚴經)』 진본(晋本) 등이 있는데, 여말선초 이전에 발간된 목판본 불서에서 무괘본이 주로 확인된다...
- 유형 :
- 개념
- 분야 :
- 언론·출판/출판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
통일 신라의 불교 문화 統一新羅-佛敎文化10년(751년)에 짓기 시작하여 혜공왕 10년(774년)에 완공되었는데, 경내에 국보 20호의 다보탑과 국보 21호의 삼층석탑이 있다. 불국사 삼층석탑에서 세계 최초의 목판 인쇄물인 무구정광대다라니경이 발견되었다. 일명 에밀레종이라고도 부르는 성덕대왕신종은 상원사 동종과 함께 대표적인 통일 신라 시대 범종이다...도서 다음백과
-
한지 韓紙610년(영양왕 32) 고구려의 승려 담징(曇徵)이 일본으로 종이 기술을 전수한 기록이 신빙성을 더해주고 있다. 또 경주 불국사 석가탑에서 발견된 무구정광대다라니경(704년 추정)과 755년(경덕왕 14)에 제작된 대방광불화엄경(大方廣佛華嚴經)은 모두 불교와 관련되어 나타난 한지자료이다. 특히, 대방광불화엄경 발문에...
- 유형 :
- 개념
- 분야 :
- 경제·산업/산업
-
남산 창림사 南山 昌林寺창림사지삼층석탑과 쌍두귀부(雙頭龜趺)·석등연대(石燈蓮臺) 등이 남아 있다. 이 중 삼층석탑은 남산일대에서는 가장 큰 것으로 1828년(순조 28)에 무구정광대다라니경(無垢淨光大陀羅尼經)의 머리 부분과 무구정탑원기(無垢淨塔願記)가 발견되었는데 현재는 일본인이 소장하고 있다고 한다. 폐탑으로 남아 있던 이 탑...
- 시대 :
- 고대/삼국
- 유형 :
- 유적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
과학시리즈(네번째묶음) 세계 최고의 목판본목판인쇄는 나무판에 글을 새겨서 책을 찍어내던 옛인쇄술로 경주의 불국사 석가탑에서 704-751년의 신라 왕조때 인쇄된 것으로 추정되는 '무구정광대다라니경'이 1966년에 발견되어 이것이 현재 세계에 남아 있는 가장 오래된 목판 인쇄본임이 밝혀짐으로써 우리나라의 목판 인쇄술이 금속활자 인쇄술과 더불어 세계...
- 발행일 :
- 1989.4.21
- 발행량 :
- 2000000
- 종수 :
- 2
- 액면가격 :
- 80원
- 디자인 :
- 세계 최고의 목판본
- 우표번호 :
- 1561
- 인면 :
- 22×50
- 천공 :
- 13
- 전지구성 :
- 4×5
- 용지 :
- 백색무투문지
- 인쇄 및 색수 :
- 그라비아 4도색
- 디자이너 :
- 김영기
- 인쇄처 :
- 한국조폐공사
-
과학시리즈(네번째묶음) 세계 최초의 금속활자목판인쇄는 나무판에 글을 새겨서 책을 찍어내던 옛인쇄술로 경주의 불국사 석가탑에서 704-751년의 신라 왕조때 인쇄된 것으로 추정되는 '무구정광대다라니경'이 1966년에 발견되어 이것이 현재 세계에 남아 있는 가장 오래된 목판 인쇄본임이 밝혀짐으로써 우리나라의 목판 인쇄술이 금속활자 인쇄술과 더불어 세계...
- 발행일 :
- 1989.4.21
- 발행량 :
- 2000000
- 종수 :
- 2
- 액면가격 :
- 80원
- 디자인 :
- 세계 최초의 금속활자
- 우표번호 :
- 1562
- 인면 :
- 22×50
- 천공 :
- 13
- 전지구성 :
- 4×5
- 용지 :
- 백색무투문지
- 인쇄 및 색수 :
- 그라비아 4도색
- 디자이너 :
- 김영기
- 인쇄처 :
- 한국조폐공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