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레오 3세 Saint Leo III
    로마의 혼란이 계속되자 800년 가을 '크게 흐트러진 교회 상태를 바로잡기 위해' 샤를마뉴가 로마에 왔다. 같은 해 12월 23일 레오는 샤를마뉴 앞에서 자신을 향한 비난에 대해 정식으로 결백을 증명했다. 이틀 뒤 샤를마뉴의 아들 경건왕 루이 1세의 서품식을 위해 성 베드로 대성전에 모인 많은 군중들 앞에서 레오는...
    출생 :
    ?, 로마
    사망 :
    816. 6. 12
    국적 :
    바티칸시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인
  • 19세기 건축, 레오 폰 클렌체 국제적 절충주의와 바이에른 신고전주의
    레오 폰 클렌체(Leo von Klenze, 1784~1864)는 바이에른을 대표하는 건축가였다. 프러시아, 이탈리아, 프랑스 등 여러 나라에서 유학하며 국제적 절충주의를 익힌 뒤 바이에른 궁정 건축가로 루트비히 1세를 건축주로 삼아 뮌헨을 유럽의 주요 수도와 대등한 수준으로 끌어올리는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처음에는 독일의...
  • 레오 9세 브루노 폰 에기스파임-다게스부르크, Saint Leo IX
    해서 로마와 콘스탄티노플은 갈라지게 되었다. 이 분열은 중간에 잠시 화해된 적도 몇 번 있으나 오늘날까지 계속되고 있다. 케룰라리우스 미카일 1세를 파문한 것이 레오가 죽은 지 3개월 후의 일이었기 때문에 유효한지의 여부는 기술적인 문제일 뿐이다. 로마 사절들은 교황의 사절들이었고 파문장은 교황의 통치방법...
    출생 :
    1002. 6. 21, 상로렌 알자스 에기스하임
    사망 :
    1054. 4. 19, 로마
    국적 :
    바티칸시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기독교 , 종교
  • 겐나디우스 1세 Saint Gennadius I of Constantinople
    학파와 시리아의 안티오크학파의 신학적 전통을 조화시키기 위한 것이었다. 콘스탄티노플의 수도원 원장이던 겐나디우스는 458년 대주교가 되고 교황 레오 1세(440~461)의 권유로 단성론파 고발하여 명목상 우두머리였던 알렉산드리아의 주교 티모테우스 아일루루스를 물러나게 했다. 에페소에서 네스토리우스 이단에...
    출생 :
    미상
    사망 :
    471, 콘스탄티노플
    국적 :
    비잔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인
  • 레온 5세 아르메니아인 레오, Leo V
    돌아섰다. 니케포루스 1세와 미카일 1세 밑에서 장군으로 일하면서 두각을 나타내 제국 아나톨리콘 지역의 스트라테고스가 되었다. 813년 전쟁에 참가해 불가르족과 싸웠으나 황제가 어리석게도 불가르족이 제안한 평화조약을 거절하자 레오는 아드리아노플 부근에서 벌어진 베르시니키아 전투 때 그가 지휘하던 아시아...
    출생 :
    ?, 아르메니아
    사망 :
    820. 12. 25, 콘스탄티노플
    국적 :
    비잔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라파엘로 산치오와 제자들, 〈레오 3세의 선서〉 외
    그림 오른쪽 레오 10세의 얼굴을 한 레오 3세가 황제에게 관을 수여하고 있다. 몇몇 학자들은 카롤루스 대제의 모습이 레오 10세 시절 프랑스의 왕 프랑수아 1세를 닮았다고 주장한다. 이는 레오 10세가 1515년 당시의 외교적 상황에 의해 볼로냐에서 맺은 프랑스와의 협정을 상기시킨다. 이는 프랑스 국내의 고위...
    저작자 :
    라파엘로 산치오(Raffaello Sanzio, 1483~1520)와 제자들
    제작시기 :
    〈레오 3세의 선서〉 1516~1517년 제작〈카롤루스의 대관식〉 1516~1517년 제작
  • 레오 13세 조아키노 빈첸초 라파엘레 루이지 페치, Leo XIII
    레오폴 1세는 곧 벨기에에서 소환할 것을 요구했다. 로마로 소환당한 그는 1846년초에 페루자 주교로 임명되었고, 1853년에는 추기경으로 임명받았는데도 이 작은 교구에서 32년이나 계속 머물렀다. 이 애매한 상태 때문에 많은 고통을 겪던 그는 로마의 호의를 얻고자 백방으로 노력했지만 모두 헛일이었다. 1848...
    출생 :
    1810. 3. 2, 교황령 카르피네토 로마노
    사망 :
    1903. 7. 20, 로마
    국적 :
    바티칸시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인
  • 교황 레오 3세 Pope Leo III, レオ3世 (ローマ教皇)
    개인 무덤에 안장되었으나, 몇 년이 지난 후에 그와 같은 이름을 가진 레오 1세, 레오 2세, 레오 4세 세 교황과 합장되었다. 하지만 18세기에 이르러 레오 1세의 유해가 단독으로 그의 이름을 딴 경당으로 이장되었다. 레오 3세는 1673년 교황 클레멘스 10세에 의하여 성인으로 시성되어, 《로마 순교록》에 이름이 등재...
    도서 위키백과
  • 교황 레오 4세 Pope Leo IV, レオ4世 (ローマ教皇)
    레오 4세의 유해는 그를 위해 마련된 독자적인 무덤에 안장되었지만, 몇년이 지나서 레오라는 이름을 가진 네 명의 다른 교황과 합장되었다. 18세기에 교황 레오 1세의 유해만 독립하여 그를 위해 마련된 경당에 이장되었다. 한편, 레오 4세가 옛 성 베드로 대성전(또는 콘스탄티노 대성전)ST PETER'S BASILICA.ORG...
    도서 위키백과
  • 오토 1세 오토 1세 데어 그로세, Otto I
    볼레슬라프 1세는 계속 버티다가 950년에 이르러서야 겨우 항복하고 조공을 바치게 되었다. 이렇게 해서 자신의 입지를 강화하고 난 뒤 오토는 프랑스의 로렌 영유권 주장을 물리치고 나아가서 프랑스 내분의 중재자 역할까지 할 수 있었다. 이와 비슷하게 그는 부르고뉴에까지 영향력을 확대했다. 게다가 홀로 된...
    출생 :
    912. 11. 23
    사망 :
    973. 5. 7, 튀링겐 멤레벤
    국적 :
    신성 로마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니콜라우스 1세 Nicolaus I
    자기가 추방되어 있는 동안에 후임 총대주교가 된 유티미우스에게 가혹한 보복을 한 까닭에 많은 성직자들 및 일반인들과 거리가 멀어졌다. 그들 가운데는 레오의 가문이 포함되어 있어, 양쪽의 지지자들 사이에 적대감이 형성되었다. 황제 로마누스 1세 레카페누스(920~944 재위)가 다스리는 동안 총대주교 유티미우스...
    출생 :
    852, 콘스탄티노플
    사망 :
    925. 5. 15(?)
    국적 :
    콘스탄티노플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인
  • 레오 4세 Saint Leo IV
    앞바다에서 침략해오는 사라센 함대를 무찔렀다. 사라센의 좋은 목표물이었던 이탈리아 치비타키아를 854년에 요새로 만들었는데, 그뒤로 이 도시는 레오를 기념하여 레오폴리라고 불렸다. 850년 4월 로마에서 열린 교회회의에서 프랑크 제국의 황제 로타르 1세의 아들 루이 2세를 공동황제로 즉위시켰다. 교회 문제...
    출생 :
    ?, 로마
    사망 :
    855. 7. 17, 로마
    국적 :
    바티칸시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인
이전페이지 없음 1 현재페이지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3건

아틸라와 레오 1세의 회담
아틸라와 레오 1세의 만남
교황 레오 1세와 아틸라의 만남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