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레오 3세

다른 표기 언어 Saint Leo III
요약 테이블
출생 ?, 로마
사망 816. 6. 12
국적 바티칸시티

요약 1673년 성인으로 시성되었으며 축일은 6월 12일. 로마의 교황(795~816 재위).

추기경이었던 795년 12월 26일 교황 하드리아노 1세의 후계자로 선출되어 이튿날 축성되었다. 하드리아노 1세가 비잔티움 황제와 샤를마뉴 사이의 세력균형을 이루어 독립된 교황자리를 지키려 했던 것과는 달리 레오는 교황이 된 뒤 얼마 지나지 않아서 샤를마뉴를 로마인의 아버지로 인정하여 최고의 권위를 내주었다.

799년 4월 로마 행진중 하드리아노 지지자들이 선동한 사람들로부터 피습을 당했다.

이 사람들은 레오가 그릇된 행위를 저질렀다고 비난하며 그의 눈과 혀를 잘라 더이상 교황직을 수행할 수 없게 하려고 했다. 그러자 레오는 알프스 산맥을 넘어 후원자 샤를마뉴가 있는 파데르보른으로 도주했다. 그곳에서 정확히 무엇을 협정했는지는 알려지지 않았지만, 11월에 한 위원단의 보호를 받으며 안전하게 로마로 돌아왔다. 이 위원단은 사람들이 레오에 대해 불평하지 못하도록 막았고 또 그를 규탄한 사람들을 체포해 국외로 추방했다.

그러나 로마의 혼란이 계속되자 800년 가을 '크게 흐트러진 교회 상태를 바로잡기 위해' 샤를마뉴가 로마에 왔다. 같은 해 12월 23일 레오는 샤를마뉴 앞에서 자신을 향한 비난에 대해 정식으로 결백을 증명했다. 이틀 뒤 샤를마뉴의 아들 경건왕 루이 1세의 서품식을 위해 성 베드로 대성전에 모인 많은 군중들 앞에서 레오는 갑자기 샤를마뉴에게 황제의 관을 씌웠다.

이 행동으로 이전에 겪었던 굴욕을 없애고, 교황만이 황제의 관을 수여할 수 있다는 법적 전례를 세웠다.

더욱 중요한 사실은 법적 절차 없이 혁명적으로 행해진 이 대관식으로 말미암아 자신의 지위를 확고하게 만들었다는 점이다. 동로마 제국과 나란히 서로마 제국을 건설하고자 한 레오의 의도는 비잔티움 국민들이 샤를마뉴를 왕위찬탈자로 여겼기 때문에 실패하고 말았다. 미리 준비된 듯한 레오의 이러한 행동은 다른 여러 의미를 함축하고 있는데 13세기까지 경쟁 관계를 지속하게 한 동·서 분열을 가져왔고, 교황과 서로마 지역을 동맹관계로 맺어 교황의 세계적 권위를 세우는 데 샤를마뉴와 그 후계자들이 이전보다 더욱 깊이 관여하게 했다.

교황과 황제의 사이는 비교적 좋은 편이었지만 샤를마뉴는 제국의 행정과 더불어 교회의 개혁에도 관여했다.

그러나 809년 샤를마뉴의 신학자들이 왔을 때 레오는 니케아 신경에 나타나 있는 필리오케(Filioque) 조항(성령은 성부와 성자로부터 유래한다는 교리)이 교리상 올바르다고 확증했다. 그러나 동방교회들은 이 조항을 항상 거부해왔었기 때문에 레오는 그리스인들과 평화를 유지하기 위해 공적인 예배에서는 이 신조를 노래하지 않도록 촉구했다.

814년 샤를마뉴가 죽자 레오에 대한 로마 귀족들의 증오가 다시 일어났다. 레오는 몇몇 음모자들을 사형시키고, 아버지 샤를마뉴를 계승한 루이에게 자신의 행위를 설명하는 글을 보낸 후 얼마 안 되어 죽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종교인

종교인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레오 3세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