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쓸쓸하고 찬란하神 - 도깨비 Guardian: The Lonely and G..텔레비전 방송 프로그램 정보《쓸쓸하고 찬란하神 - 도깨비》는 2016년 12월 2일부터 2017년 1월 21일까지 방영된 tvN 금토 드라마이다. 이 드라마는 도깨비 설화를 모티브로 김은숙 작가가 3년 전부터 기획하였고, 도깨비라는 현실에는 없는 캐릭터를 차용해 인간 신부가 필요한 도깨비, 그와 기묘한 동거를 시작한...도서 위키백과
-
도화녀비형랑설화하게 하여 귀교(鬼橋)도 하룻밤 사이에 놓게 하였으며, 길달(吉達)이라는 도깨비를 끌어 국정을 돕게도 하였다. 길달문까지 세우고 여우로 둔갑하여 달아난 길...써 붙여 잡귀를 물리치게 되었다. 장덕순(張德順)에 의하여 시도된 시애설화(屍愛說話)의 범주 중에서 두 번째가 이 도화녀비형랑설화류를 지칭하고 있다...
- 성격 :
- 설화
- 유형 :
- 작품
- 분야 :
- 문학/구비문학
-
오성과 한음설화 鰲城─漢陰說話당기는 도깨비를 만나 예언을 들었다고 하며 변소에 가서 앉아 있어 보라고 한 뒤 노끈으로 한음의 불알을 매어 당겼다. 한음이 아픔을 참고 견디자 정승까지 하겠다고 말한 뒤 한음에게 변소에서 일어난 일을 본 것같이 말하였다. 이에 한음은 비로소 오성에게 속은 줄 알았다는 것이다. ⑤ 오성과 대장장이 : 오성은...
- 저작자 :
- 미상
- 성격 :
- 설화
- 유형 :
- 작품
- 분야 :
- 문학/구비문학
-
주보설화 주보담, 呪寶說話따라서는 인물이 화수분에만 의지하고 일을 하지 않으면 한낱 돌멩이로 변하기도 하고, 형제간에 서로 차지하겠다고 다투면 그 기능이 소멸되기도 한다. 구전 설화에서의 화수분은 무한정 소금을 내는 '맷돌', 무엇이든 나오는 '도깨비 방망이', 매일 일정 양의 쌀이 나오는 '바위', 하루에 일정한 금액의 돈이 나오는...
- 유형 :
- 개념
- 분야 :
- 문학/구비문학
-
강감찬 설화 姜邯贊 說話구렁이, 도깨비, 독수리, 용 등을 퇴치하거나 칡뿌리를 제거하고 하늘에서 내리치는 벼락을 손으로 꺾었다는 이야기 등은 모두 그의 이인적인 면모를 부각시키고 있다. 이 중 호랑이 퇴치 이야기가 가장 빈번하게 전승된다. 강감찬이 한성판윤으로 부임했을 때, 남산(또는 삼각산)에 사는 수백 년 된 호랑이가 중으로...
- 유형 :
- 작품/문학
- 분야 :
- 문학/구비문학
-
울산광역시 울산, 蔚山廣域市기원한다. 설화 · 민요 이 고장에는 지명전설을 비롯해 유적유래전설이 많이 전승되는데, 대표적인 예로 「헐수정과 무거동(無去洞) 전설」 · 「처용암전설」 · 「기(旗) 따라온 병영성(兵營城) 전설」을 들 수 있다. 「헐수정과 무거동 전설」은 신라의 마지막 임금인 경순왕에 얽힌 이야기이다. 국운이 기울자...
- 유형 :
- 지명/행정지명ˑ마을
- 분야 :
- 지리/인문지리
-
화수분 설화 화수분 說話등의 주보가 등장한다. 다른 유형[異型]의 화수분은 애초에 특정 보물을 보유하여 대상에게 무한정 제공한다. 무한정 소금을 내는 ‘맷돌’, 무엇이든 나오는 ‘도깨비방망이’, 신부가 신랑을 잡아먹으려던 구렁이에게 받은 ‘보주(寶珠)’로 구렁이를 죽이고 신랑을 구한 설화에 등장하는 ‘구슬’, 매일 일정 양의 쌀...
- 유형 :
- 작품/문학
- 분야 :
- 문학/구비문학
-
방이 설화 방이 說話부끄러워 죽게 된다. 또한 방이의 보물 방망이는 그 자손들이 장난으로 똥을 구하다가 뇌성벽력이 쳐서 부셔졌다는 등의 변이(變異)가 일어나고 있다. 구전 설화에서는 가난한 형이 산에 나무하러 갔다가 도중에 주운 개암나무 열매를 깨물어 도깨비를 놀라게 하고는 방망이를 얻는다고 설정되어 있는 것이 보통이다...
- 시대 :
- 고대
- 유형 :
- 작품/문학
- 분야 :
- 문학/구비문학
-
우애설화 형제우애설화, 友愛說話이 설화는 다양한 형태로 전해지지만, 대표적인 것으로 다음과 같은 이야기를 들 수 있다. 건달인 동생이 어버이로부터 받은 유산을 모두 탕진하고, 형이 가진 재산마저 차지하기 위해 형을 죽일 계교를 꾸몄다. 그런 후 동생은 형에게 아버지 산소에 성묘하러 가자고 하였다. 형은 동생이 마음을 고쳐먹고 바른 사람이...
- 유형 :
- 개념
- 분야 :
- 문학/구비문학
-
호랑이 tiger이상의 설화에 나오는 호랑이상을 살펴보면, 우리 민족은 호랑이를 무섭고 두려운 맹수이지만 우리 생활에 밀접한 결코 미워할 수 없는 동물로서 여겨왔음을 알 수 있다. 비록, 어리석고 의뭉스러울지라도 결코 간교하지 않은, 오히려 우직함이 돋보이는 동물로 인식되고 있다고 하겠다. 민화 속의 호랑이 우리 민화에서...
- 분류 :
- 고양이과
- 성격 :
- 동물, 호랑이
- 유형 :
- 동식물
- 크기 :
- 몸길이 180㎝
- 학명 :
- Panthera tigris altaica(TEMMINCK)
- 분야 :
- 과학/동물
- 수명 :
- 15∼20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