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대구광역시의 인구와 도시
    인구 대구광역시의 인구변동은 행정구역의 변천, 8·15해방 및 6·25전쟁과 같은 사회적 변동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1930년 인구는 약 10만 1,000명이었으나, 1938년에 시역이 9.25㎢에서 115.64㎢로 확장되면서 약 17만 2,000명으로 55.17%나 증가했다. 1944년에는 20만 7,000명이 되었고 1946년에는 해방과 함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경상북도
  • 대구광역시의 자연환경
    낙동층·하산동층·진주층·칠곡층·신라역암층·함안층이 차례로 나타난다. 국지적으로 백악기에 형성된 불국사통의 화강암이 관입되어 있으며, 이 화강암이 접촉된 부분은 접촉변질경화대를 이루어 험준한 산지가 발달해 있다. 하안에는 충적층인 제4기층이 있다. 대구 도심은 침식분지인 대구분지에 발달해 있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경상북도
  • 대구광역시의 연혁
    폐합 때 시가지 부분인 대구면은 대구부가 설치되어 독립되고, 옛 대구부의 30개면이 12개면으로, 현풍군의 15개면이 4개면으로 통합되어 달성군이 되었다. 대구의 성장에 따라 1938년에 달성군의 수성면 일원과 성북면·달성면 일부가 대구부로 편입되었으며, 1949년에 대구시로 개칭되었다. 1958년에 달성군의 동촌...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경상북도
  • 군위군 軍威郡
    19'에 위치한다. 면적은 614.25㎢이고, 인구는 2만 4126명(2015년 현재)이다. 행정구역으로는 1개 읍, 7개 면, 180개 행정리(92개 법정리)가 있다. 군청은 대구광역시 군위군 군위읍 동부리에 있다. 2023년 7월 1일 대구광역시에 편입되었다. 자연환경 군의 최남단에 팔공산(八公山, 1,193m)이 우뚝 솟아 있어 대구...
    시대 :
    현대
    유형 :
    지명/행정지명ˑ마을
    분야 :
    지리/인문지리
  • 군위화본마을 시간 여행자의 천국
    벽화를 보며 삼국시대로 타임슬립 군위화본마을은 한 바퀴를 도는 데 20분이면 충분할 정도로 아담하다. 그러나 제대로 둘러보려면 제법 크게 느껴진다. 골목마다 무수한 역사 이야기를 품고 있기 때문이다. 벽화 거리는 화본역에서 나오자마자 좌우로 뻗어있다. 담벼락에는 일연스님과 『삼국유사』에 대한 그림이...
    위치 :
    대구광역시 군위군 산성면 화본2길 5-1
  • 대구예술발전소 역사를 감싸 안은 예술 놀이터
    아니라, 부모 역시 흥미를 가지고 함께 즐길 만하다. 게다가 무료로 개방한다. 키즈스페이스를 나와서는 예술정보실에 들리자. 타지에서 방문한 이들에게는 대구시 홍보전시실을 겸하는 곳이다. 작가와 호흡하고 직접 만지고 느끼는 예술발전소 4층과 5층은 입주 작가 '스튜디오'와 '게스트룸', '커뮤니티룸'이다. 휴일...
    위치 :
    대구시 중구 달성로 22길 31-12
  • 군위군 軍威郡
    속한다. 행정구역은 군위읍·소보면·효령면·부계면·우보면·의흥면·산성면·삼국유사면 등 1개읍 7개면 180개 행정리로 구성되어 있다. 군청소재지는 대구광역시 군위군 군위읍 군청로 200이다. 면적 614.21㎢, 인구 23,930(2024). 연혁 삼한시대 이전의 역사는 알려지지 않고 있으며, 삼한시대의 변진 24국 중...
    위치 :
    대구광역시 북부
    인구 :
    22,930 (2024)
    면적 :
    614.21㎢
    행정구역 :
    1개읍 7개면 180개리
    사이트 :
    http://www.gunwi.go.kr/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대구
  • 국립대구박물관 역사 속 패션 아이콘들을 만나자
    3만여 평의 대지에 세워진 국립대구박물관은 8만 6000여 점의 소장 유물을 통해 대구와 경상북도의 역사를 내밀히 드러내고 있다. 일제강점기 이후 섬유 산업의 중심지였던 대구 지역의 특성을 살린 '섬유복식실'에서는 우리 역사 속 패션 아이콘들을 만날 수 있다. 나라가 위기에 빠졌을 때마다 발 벗고 나선 대구...
    소재지 :
    대구광역시 수성구 청호로 321
  • 동화사 유가사(瑜伽寺), 桐華寺
    유산 3점이 보물로 지정되어 있다. 그 외 동국대학교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전(傳) 동화사 비로암 삼층석탑 납석사리호」가 보물로 지정되어 있다. 또한 대구광역시 유형 문화유산으로 불화 11점과 「동화사 부도군」이 있고, 국가 등록 문화유산으로 「동화사 괘불도」가 있다. 보물로 지정된 통일신라시대의 문화...
    시대 :
    고대/삼국
    유형 :
    유적/건물
    분야 :
    종교·철학/불교
  • 부인사 부인사(夫人寺), 符仁寺
    개설 대한불교조계종 제9교구 본사인 동화사(桐華寺)의 말사(末寺)이다. 부인사(符印寺) 또는 부인사(夫人寺)라고도 일컬어진다. 부인사지는 1988년 대구광역시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건립경위 및 역사적 변천 부인사는 개창 시기나 연혁은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부인사 연기 설화(緣起說話)에 의하면 여왕이 친히...
    시대 :
    고대/삼국
    유형 :
    유적/건물
    분야 :
    종교·철학/불교
  • 대구광역시의 식재
    것이 특징이다. ㆍ생산시기 : 2월~4월 복숭아 팔공산 주변에서 생산되는 복숭아는 과즙이 풍부하고 당도가 높다. ㆍ생산시기 : 6월~8월 블루베리 2010년 대구광역시친환경명품인증 농산물로 황인산화물질인 안토시아닌 색소가 풍부해 건강식재로 각광받고 있다. ㆍ생산시기 : 6월 사과 팔공산 자락에서 생산되는 대구...
  • 비슬산 포산(苞山), 琵瑟山
    #개설 명칭 유래 『신증동국여지승람』과 『달성군지』에는 비슬산을 일명 포산(苞山)이라 한다고 기록되어 있다. 포산은 수목에 덮여 있는 산이란 뜻이다. 『내고장 전통 가꾸기』(1981)에 보면 비슬산은 소슬산(所瑟山)이라고도 하는데 이것은 인도의 범어로 일컫는 말이며 중국어로는 포산(苞山)이란 뜻이라고 기록...
    시대 :
    고대/남북국
    유형 :
    지명/자연지명
    분야 :
    지리/자연지리
이전페이지 없음 1 현재페이지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61건

대구 광역시
대구광역시
대구광역시
대구광역시
대구광역시
2·28 학생 의거 기념탑. 1960년 2월 28일에 일어난 학생 의거를 기념하기 위해 명덕 로터리에 세웠다.
경상 북도 지방의 행정 · 교통 · 문화의 중심지인 대구 시가지
대동여지도 중 경상북도 대구, 청도 부분
달성 공원 안에 있는 최제우 동상
대구 시민의 휴식처인 달성 공원
금호강 기슭의 비산 염색 공단
중앙 공원 안에 있는 선화당
팔공산 남쪽에 있는 동화사
대구(영남지도)
항공사진 대구시 전경
대구광역시 달서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