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신안군의 산업과 교통
    33%이다(2006). 주요농산물은 쌀 외에 고구마·마늘·고추·참깨 등인데 영농기술이 뒤떨어져 증산에 어려움이 많다. 주변 간석지를 이용하여 굴·꼬막 등의 조개류와 김·미역 등의 바닷말을 양식하며 제염업도 이루어진다. 해역은 조경수역을 이루며, 오징어·멸치·도미·조기·갈치·고등어·홍어·새우 등의 어획...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전라남도
  • 현경면 玄慶面, Hyeongyeong-myeon
    연결되어 있다. 주요 농산물은 쌀·고구마·양파 등이며, 특히 무안밤고구마로 유명한 고구마가 군내에서 가장 많이 생산된다. 수산물로는 김·굴·꼬막 등의 해조류와 조개류가 산출된다. 용정리에는 오랜 세월동안 보존되어 온 곰솔(전라남도 기념물 제176호)이 있다. 망운면 무안국제공항에서 시작되는 무안광주...
    인구 :
    4,404 (2024)
    면적 :
    55.35㎢
    행정구역 :
    45개리 87개반
    소재지 :
    전라남도 무안군
    사이트 :
    http://www.muan.go.kr/www/aboutmuan/organization/hyeonggyeong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전라남도
  • 구평리유적 舊坪里遺蹟
    4개 층위로 나뉘는데 위로부터 1·2·3층에서 유물이 출토되었다. 출토유물은 대부분이 토기이며, 그밖에 숫돌·뼈낚시·뼈바늘·조가비팔찌 등이 나왔다. 조개 종류로는 소라와 굴이 가장 많고 우렁이·꼬막·골뱅이·고둥·백합 등 10여 종이 있다. 또한 멧돼지·사슴·고라니 등의 짐승뼈와 새뼈, 물고기뼈도 출토...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석기시대
  • 보성금평패총 寶城金坪貝塚
    흙구슬·돌칼·돌끌 등을 들 수 있다. 이 외에도 다양한 자연유물들이 출토되었다. 사슴·멧돼지·개 등의 포유류와 상어·복어·감성돔 등의 어류, 굴·꼬막·피조개·재첩·피뿔고둥·비단고둥 등의 조개껍질이 있다. 이와 같은 유물들은 해남 군곡리 패총에서 조사된 유물들과 상통하는 것들로서 1∼3세기대에 남해안...
    시대 :
    선사/철기
    건립시기 :
    청동기시대, 원삼국시대
    성격 :
    선사유적, 조개더미, 집터
    유형 :
    유적
    소재지 :
    전라남도 보성군 벌교읍 척령리 금평마을
    분야 :
    역사/선사문화
  • 김해농소리패총 농소리유적, 金海農所里貝塚
    조개껍질이 섞인 적색점토층순으로 되어 있었다. 셋째 지점은 경사가 심한 곳으로 표토는 무너지고 제Ⅱ층인 순패각층이 없이 바로 제Ⅲ층부터 시작되며, 이어서 제Ⅳ층으로 연결되는 퇴적상태와 층위를 보여주고 있다. 2) 유물 인공유물은 이들 각 지점의 제ⅢㆍⅣ층에서만 발견되었다. 양층 간의 유물은 층위에...
    시대 :
    선사/석기
    건립시기 :
    신석기시대(말기)
    성격 :
    조개더미
    유형 :
    유적
    면적 :
    약 3,300㎡(1,000평)
    소재지 :
    경상남도 김해시 주촌면 농소리
    분야 :
    역사/선사문화
  • 원주도
    지형이 구슬 같다는 뜻과 새우가 구슬을 건진다는 뜻으로 원주도라고 하였다. 섬에는 낮은 구릉의 기복이 있으나 경지가 비교적 넓어 농산물로 보리, 고구마, 콩 등을 생산하며, 수산업은 어류보다는 굴, 조개류 등의 양식이 활발하다. 이곳에서 생산되는 바지락과 꼬막은 검붉은 회색을 띠며 알이 여물고 맛이 담백하다...
    위치 :
    전라남도 고흥군 과역면 원당길 106
  • 이매패류 Bivalvia, 二枚貝
    가장자리에 있다. 다리는 도끼 모양을 하고 있어 물 밑바닥이나 땅 속을 파고 들어가기에 알맞으며 두 쌍의 넓은 아가미가 있다. 조개·굴·대합·홍합·꼬막·재첩·붉은맛·호두조개·가리비·말조개·긴네모돌조개·펄조개 등을 포함하여 약 30,000여 종이 있다. 다음은 Newell이 1969년 제시한 이매패강의 분류 체계...
    도서 위키백과
  • 상화도(고흥)
    하화도와 상화도 두 섬을 자유롭게 오갈 수 있는 갯벌이 생기는데 이곳에서 조개와 굴, 바지락을 채취하고 상화도 앞바다에서 민물고기인 송어의 해상가두리양식...해산물이 풍족한 섬으로 입소문을 타고 있다. 주 생산물은 김, 멸치, 꼬막, 돔, 바지락, 굴이다. 섬 한 바퀴를 돌면 화정면 일대 다도해 풍경이 병풍처럼...
    위치 :
    전라남도 고흥군 도양읍 상화도길 (도양읍)
  • 본토칼국수
    칼국수를 먹으려는 사람들로 북적이는 식당이다. 낙지와 가리비, 꽃게와 조개 등 해물탕과 다를 바 없는 해물칼국수가 이 집의 대표 메뉴이다. 서해안 갯벌에서 잡은 꼬막 비빔밥도 본토칼국수를 방문한 사람들이 반드시 먹어봐야 할 음식으로 손꼽힌다. TV 방송 프로그램에도 방영된 바 있어 영흥도를 관광하는 사람...
    위치 :
    인천광역시 옹진군 영흥면 영흥북로 23
  • 조개더미
    비교하여 어패류의 종류와 양은 물론 성격 면에서도 차이를 보이고 있다. 수가리 유적에서는 눈알고둥, 총알고둥, 피뿔고둥, 새꼬막, 꼬막재첩, 바지락, 백합, 물맛조개, 굴, 가오리, 농어, 감성돔, 졸복, 대구 등의 내만성 어패류가 출토되었다. 이 중에서 대구는 겨울철 리만 해류를 타고 연해주 연안에서 동해안을...
    분야 :
    역사
    지역 :
    부산광역시
  • 이름에 지소사가 붙은 생물
    대양조개 도요 - 좀도요 벌 - 좀벌 벌레문치 - 애기벌레문치 붉은쥐 - 애기붉은쥐 비단게 - 애기비단게 비단나방 - 애기비단나방 주머니쥐 - 애기주머니쥐 털다리게 - 애기털다리게 파리 - 좀파리 하마 - 난쟁이하마 - 애기하마 가래 - 애기가래 가지풀 - 좀가지풀 갈매나무 - 졸갈매나무 갈참나무 - 졸갈참 감둥사초...
    도서 위키백과
  • 비빔밥 Bibimbap, ビビンバ
    등장하거나, 잊혀져가는 지방의 비빔밥을 재해석해 현대화하기도 한다. 꼬막비빔밥: 전라남도 순천, 벌교의 비빔밥으로 벌교 꼬막과 무순 등을 넣고 비벼 만든다...비빔밥: 경상남도 마산의 비빔밥으로 마산의 특산물인 장에 미더덕과 조개의 육즙으로 무친 나물을 넣고 만든다.출처 멍게젓비빔밥: 멍게젓을 이용한...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1 현재페이지2 다음페이지 없음

관련항목

멀티미디어1건

꼬막조개류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