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혼성 오비탈 hybrid orbital
    들뜬 상태에서도 이때 2s와 2p에 있는 전자 4개가 항상 독립적으로 각각 화학 결합에 참여하는 것이 아니다. 다음과 같이 2s와 2p오비탈의 궤도 함수가 섞여 새로운 궤도 함수가 된 후 결합에 참여한다. 이와 같이 오비탈이 섞여 새로 형성된 오비탈을 혼성 오비탈(hybrid orbital)이라고 하는 것이고, 1개의 2s오비탈과...
  • 원자 궤도 Atomic orbital, 原子軌道
    여기서의 파동함수 ψ를 궤도함수(오비탈)이라고 부른다. 파동함수(오비탈)에도 보어의 원자모형에서와 같이 궤도함수가 존재한다. 그러나 파동함수궤도함수는 보어의 궤도와는 전혀 다르다. 파동함수는 전자의 위치, 운동 등의 상세한 경로를 알려주지 않는다. 따라서 궤도함수에 있는 전자의 운동은 예측이 불가능...
    도서 위키백과
  • 전이원소 轉移元素, transition element
    살펴봄으로써 이해할 수 있다. 먼저 원자궤도함수는 원자핵과 관련된 전자들이 원자궤도함수라고 하는 특수한 공간에 편재되어 있으며, 부피, 모양, 다른 궤도함수에 대한 상대적인 배향 등에 따라 일련의 기호로 표시된다. 원자궤도함수는 주양자수에 의해 결정되는데 그 값이 증가할수록 에너지도 증가한다. 주양자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화학
  • 바탕 함수 집합 Basis set (chemistry), 基底関数系 (化学)
    그 이유는 계산화학에서 원자 궤도 함수 선형 결합을 사용하기 때문이다. 원자 궤도 선형 결합은 슈뢰딩거 방정식을 풀기 위해 사용되는 계산이다. 원자 궤도 함수 선형 결합의 이론에 의하면 모든 파동함수는 정해진 함수의 선형 결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 초기에는 원자들의 파동함수함수 선형 결합으로 표현했고...
    도서 위키백과
  • 분자 궤도 Molecular orbital, 分子軌道
    분자 궤도함수(molecular orbital; MO)는 분자 내에서 전자의 거동을 기술하는 수학적 함수이다. 이 함수는 특정 위치에서의 전자 발견 확률과 같은 화학적, 물리적 특성을 계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원소 수준에서 파동함수가 최대 진폭을 갖는 영역을 기술하기 위해서 쓰이기도 한다. 분자 궤도함수는 분자 내...
    도서 위키백과
  • 연속함수 連續函數, continuous function
    흐름에 따라 연속적으로 변화한다. 지구 주변을 돌고 있는 인공위성의 운동 궤도나 지각 변동의 상태는 우리 눈으로 직접 볼 수는 없지만 시간의 흐름에 따른...나타내면 그래프가 끊어지지 않고 연결된 곡선이 됨을 알 수 있다. 이렇게 연속함수는 자연현상이나 실생활의 여러 문제를 이해하는 데 아주 중요한 개념이...
  • 케플러의 법칙 Kepler's laws
    만유인력은 최소가 되며 공전 속도가 느리다. 조화의 법칙(케플러 제3법칙) : 행성이 태양을 한 바퀴 도는 데 걸리는 시간의 제곱은 행성궤도 반경의 세제곱에 비례한다. 1차 함수로 행성들의 기울기()가 일정하며 T2 ∝ R3(T는 주기, R은 장반경)에 비례한다. 만유인력 법칙을 이용하여 케플러 제3법칙을 유도해보자...
  • 배위자장 이론 리간드장 이론, 配位子場理論
    내부전자껍질에 있는 5개의 d 궤도함수에 미치는 효과를 고려한다. d 궤도함수는 공간상에서 어떤 특정한 방향을 갖는 전자껍질 내의 영역이다. 전이금속에서 전자는 이들 궤도함수에 단지 부분적으로만 차 있다. 고립된 금속원자에서 d 궤도함수들은 같은 에너지 상태에 있으며 전자를 차지할 확률은 같다. 리간드장...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물리
  • 전자배열 電子配列, electronic configuration
    수 있는 O전자껍질에는 4개의 전자가 부분적으로 채워져 있다. 개선된 양자역학적 모형이 제안되어 이전의 전자껍질 개념이 1쌍의 전자만을 채울 수 있는 궤도함수의 집합으로 세분되었다. 전자껍질모형의 K전자껍질을 채우는 전자 2개는 1s로 표시된 궤도함수에 채워진다. L전자껍질은 4개의 궤도함수, 즉 1개의 2s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화학
  • 궤도겹침행렬 Orbital overlap, 重なり積分
    궤도겹침행렬(Orbital overlap matrix, 오버랩 행렬 또는 중첩 메트릭스) 은 분자 전자 구조 계산에 사용되는 원자 궤도 바탕 함수 집합과 같은 양자 시스템의 기저 벡터 집합의 상호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양자 화학에서 사용되는 정사각 행렬이다. 특히, 벡터가 서로 직교 하면, 중첩 매트릭스는 대각선이 될 것이다...
    도서 위키백과
  • 상태궤도 state trajectory
    자동제어 용어. 상태의 시간으로에 의존과 초기 상태를 표시한 벡터 함수. 주 : Ф를 상대궤도로 하면 Ф(t0, x0) = x0, Ф(t2, x0) = Ф[t2, Ф(t1, x0)]
  • 가리움 효과 ─效果, screening effect
    원자의 전자배열은 증성원리(增成原理)에 따라 낮은 에너지를 갖는 궤도함수에서부터 전자를 채워나가면서 이루어진다. s궤도함수에는 2개, p궤도함수에는 6개, d궤도함수에는 10개의 전자가 최대로 채워질 수 있다. 1개의 전자를 갖는 수소원자의 에너지는 주양자수에 의해 결정되지만 다전자 원소는 전자가 채워짐에...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물리
이전페이지 없음 1 현재페이지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2건

분자궤도함수
s 오비탈의 궤도 함수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