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궤도함수 軌道函數, orbital
    원자핵(原子核)이나 분자내의 핵 주위에 있는 2개의 전자를 수리적으로 표현하는 파동함수.|궤도함수는 전자가 핵 주위에 있을 확률이 95%인 3차원 공간으로 나타낼 수 있다. 원자궤도함수는 일반적으로 1s·2p·3d·4f 등과 같이 숫자와 문자를 써서 각각의 궤도함수에 있는 전자의 독특한 성질을 나타낸다. 여기서 ...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물리
  • 오비탈 궤도함수, orbital
    원자핵이나 분자내의 핵 주위에 있는 2개의 전자를 수리적으로 표현하는 파동함수.|원자핵 주위에 전자가 존재하는 확률을 나타낸 것이다. 오비탈 즉 궤도함수는 전자가 핵 주위에 있을 확률이 95%인 3차원 공간으로 나타낼 수 있다. 이때 일반적으로 1s, 2p, 3d, 4f 등과 같이 숫자와 문자를 써서 각각의 궤도함수에 ...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물리 , 화학 , 전기/전자
  • 오비탈 orbital
    궤도와 같은"이라는 뜻을 가진다. 실제 궤도(orbit)는 아니지만 그와 매우 비슷한 형태와 특징을 나타낸다는 것이다. 우리말로는 전자구름, 원자 궤도함수, 원자 파동함수 등으로 풀이된다. 원자 모형 중 보어 모형(궤도 모형)을 기반으로 발전시킨 것으로 현대적 모형을 설명할 때 전자가 존재할 위치를 확률적 분포로...
  • 화학결합 化學結合, chemical bonding
    양자역학적 방정식은 복잡하기 때문에 정확히 풀 수 없다. 따라서 2가지 근사적 방법이 사용되는데, 이들은 원자가결합법(valence bond method)과 분자궤도함수법(molecular orbital method)이다. 원자가결합법은 분자 내의 구성 원자를 강조하는데, 위에서 언급한 화학결합의 전자쌍 이론에 대한 양자역학적 형태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화학
  • 배위수 配位數, coordination number
    등의 배위자를 가지는 금속 이온이 이루는 많은 착물에서는 이들 원자나 원자단과 중심원자 사이의 결합이 주로 공유결합이며 배위수는 중심 원자의 결합 궤도함수의 성질에 의해 결정된다. Zn2+와 Cu+에서는 5개의 3d 궤도 함수가 완전히 채워져 있기 때문에(각 궤도함수에는 2개의 전자가 채워짐) 1개의 4s궤도함수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물리
  • d 오비탈 d orbital
    등의 껍질로 표시되며, 각 껍질들은 s, p, d, f, g 등의 부껍질로 구성되어 있다. s 오비탈은 1개, p 오비탈은 3개, d 오비탈은 5개의 궤도함수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각각의 궤도함수에는 2개의 전자만이 채워진다. 원자의 전자배열은 낮은 에너지를 갖는 오비탈에서부터 전자를 채워나가면서 이루어진다. s궤도함수...
    도서 다음백과
  • 혼성 궤도 Orbital hybridisation, 混成軌道
    것도 혼성 궤도의 전자 촉진의 예시 중의 하나라고 볼 수 있을 수도 있습니다. 편재 전자 모형을 수정한 것으로서, 원자들이 분자를 형성할 때 특별한 원자 궤도함수를 사용한다는 관찰 결과를 설명해준다. 즉, “한 원자 내에서 서로 다른 에너지 준위를 가진 두 개 이상의 오비탈이 보강 간섭, 상쇄 간섭을 하면서...
    도서 위키백과
  • 원자 궤도 함수 선형 결합 Linear combination o..
    양자화학에서 원자 궤도 함수 선형 결합(原子軌道函數線型結合, 약자 LCAO)은 분자 궤도를 원자 궤도 함수의 선형결합으로 나타내는 방법이다. 양자역학에서 원자의 전자배치는 파동함수로 표현된다. 수학적으로 생각해볼 때, 이 파동함수들은 주어진 원자의 전자를 묘사하는 기저함수이다. 원자의 오비탈은 수학적으로...
    도서 위키백과
  • 분자궤도함수 이론 Molecular orbital theory,..
    분자 궤도 함수란 분자 오비탈로서, VSEPR이론을 보완할 수 있는 수단이다. 분자 사이의 결합을 시그마 결합이나 파이 결합으로 나타낸다. 시그마 결합은 S오비탈과 S오비탈, 또는 S오비탈과 P오비탈, P오비탈과 P오비탈 사이에서 생기는 결합이다. 파이 결합은 평행된 P오비탈 사이에서 생기는 약한 결합이다. 결합의...
    도서 위키백과
  • Molecular orbital theory 분자궤도함수 이론, 分子軌道法
    In chemistry, molecular orbital (MO) theory is a method for determining molecular structure in which electrons are not assigned to individual bonds between atoms, but are treated as moving under the influence of the nuclei in the whole molecule. The spatial and energetic properties of electrons...
  • 군의 작용 Group action, 群作用
    따라 서로 변환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모노이드 작용에 대하여 성립하지 않는다.) 안정자군 G_x는 G의 부분군이므로 그 왼쪽 잉여류를 생각할 수 있다. 궤도-안정자군 정리(軌道-安定子群定理, 다음 두 명제가 성립한다. G\cdot x의 원소 g\cdot x를 왼쪽 잉여류 gG_x로 보내는 함수는 잘 정의된다. 즉, 임의의 g,h...
    도서 위키백과
  • Linear combination of atomic orbitals 원자 궤도 함수 선형..
    A linear combination of atomic orbitals or LCAO is a quantum superposition of atomic orbitals and a technique for calculating molecular orbitals in quantum chemistry. In quantum mechanics, electron configurations of atoms are described as wavefunctions. In mathematical sense, these wave functions...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2건

분자궤도함수
s 오비탈의 궤도 함수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