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철도 철길, 鐵道
    간, 서울∼인천 간의 군사철도 부설을 주장하기에 이르렀다. 일본은 그 해 8월 20일 이른바 한일잠정합동조관(韓日暫定合同條款)을 강요할 때 “경부선 · 경인선 간의 철도 수축 공사는 한국 정부가 재정이 아직 충분하지 못함을 고려하여 일본 정부 또는 일본의 한 회사와 체결하고, 시기를 보아서 이를 기공시킴을...
    시대 :
    근대/개항기
    유형 :
    개념
    분야 :
    경제·산업/교통
  • 경원선 京元線
    거쳐 원산시에 이르나 지금은 국토의 분단으로 서울 용산역에서 경기도 철원군 철원읍에 있는 백마고지역까지의 94.4㎞만 운행하고 있다. 형성 및 변천 경인선과 함께 국토를 가로질러 수도 서울과 동·서해를 잇는 간선 철도로, 함경선과 이어져 두만강 연안에 이르고, 국경을 지나면 대륙 철도에 접속되어 산업·군사...
    시대 :
    근대
    성격 :
    철도
    유형 :
    지명
    면적 :
    길이 94.4㎞
    분야 :
    경제·산업/교통
  • 경부선 京釜線, Gyeongbu Line
    거리를 획기적으로 단축시켰다. 서울특별시, 세종특별자치시, 대전광역시, 대구광역시, 부산광역시 등 전국 주요 도시를 비롯하여, 수도권 전철을 비롯한 경인선·경원선·용산선·안산선·장항선·충북선·호남선 등 전국 철도 노선들과도 연결된다. 2004년 고속열차를 운행하는 경부고속선이 개통되어 별도로 여객...
    설립 :
    1905년 개통
    유형 :
    철도
    국가 :
    대한민국
    지역 :
    서울특별시, 경기도, 충청북도, 충청남도, 경상북도, 경상남도, 부산광역시
    길이 :
    441.7㎞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교통
  • 한강철교 漢江鐵橋
    폐지시켰다. 이 공사는 국내 최초의 근대식 토목공사로 노동력을 용산 일대에 집중시킴으로써 부근의 도시화에 일익을 담당했다. 한강철교 제1교의 준공으로 경인선이 개통된 이후 운행밀도의 심화와 1905년 경부선철도의 부설로 수송량이 증대되어 기존교량의 개축(改築)과 함께 교량의 복선화가 요구되었다. 이에 따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서울 , 교통
  • 서울특별시의 교통
    개요 대한민국의 교통체계는 사통팔달로 뻗은 국도는 물론, 경부선·경인선·경의선·경춘선·경원선·중앙선 등 철도 노선과 경부·경인·영동·중부 고속도로 모두 서울을 기점으로 펼쳐져 있다. 뿐만 아니라 김포공항은 국내 항공 교통망의 중심공항으로서 제주·부산·대구·광주·목포·여수·진주·울산·포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서울 , 교통
  • 전기철도 전철, 電氣鐵道
    ㎞, 영동선(철암∼북평) 85.5㎞를 비롯하여 고한선(고한∼황지) 15.0㎞ 등 모두 363.6㎞에 전철화 공사를 시작하였고, 이후 경원선(서울∼성북) 13.5㎞, 경인선(서울∼인천) 38.9㎞, 경부선(서울∼수원) 41.5㎞ 등 93.9㎞에 대하여 계속 공사가 진행되었다. 1973년 6월 20일에 가장 먼저 중앙선 청량리∼제천 간의 구간...
    시대 :
    현대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경제·산업/교통
  • 영등포역 永登浦驛, Yeongdeungpo station
    변천 한국철도 개통해인 1899년도 9월 18일 경인선 보통역으로 영업을 개시하였으며, 1936년 4월 1일 경인선에서 경부선으로 편입되었다. 그 후 1938년 4월 1일 남경성역으로 개칭되었다가 1943년 4월 1일 영등포역으로 환원하였다. 1971년 9월 15일 특급열차가 처음으로 정차하였고, 1974년 8월 15일 전철역 영업을...
    시대 :
    현대
    성격 :
    철도역
    유형 :
    지명
    면적 :
    57,850.0㎡
    소재지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경인로 846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영등포동 618-496
    분야 :
    경제·산업/교통
  • 철도박물관 鐵道博物館, Railroad Museum
    마패, 실물가마, 김기수(金綺秀)의 『일동기유(日東記游)』 및 친필, 고종의 철도원총재와 철도국장의 임명장 원본(1903∼1905), 경인선·경부선·경의선·호남선의 설계도면, 경인선부설 특허조약문, 최초의 레일, 대한제국시대 관보, 독립신문(1899년 9월 19일자), 경인철도회사 광고문, 최남선(崔南善)의 「경부철도...
    시대 :
    현대
    위치 :
    경기도 의왕시 월암동
    설립 :
    1988년 1월
    성격 :
    박물관
    유형 :
    단체
    분야 :
    경제·산업/산업
  • 오류고가차도
    오류고가차도는 구로구 궁동 213번지~오류동 123번지 경인로와 경인선 철도 상에 설치된 도로시설물로서 1997년 2월 14일 준공되었다. 폭 18.7m이며, 연장은 교량 330 m와 옹벽 90m를 합해 420m이다. 공사비는 125억원이 투입되었다. 오류고가차도의 건설로 경인로와 경인선 철도와의 교차지점에서 신호대기가 불필요해...
    유형 :
    시설명
  • 한국의 철도
    1899년 서울-의주 간 철도부설 허가를 받기도 했으나, 국내 자금 부족과 일본의 방해 등으로 실현을 보지 못했다. 결국 1899년 일본이 한국 최초의 철도인 경인선의 제물포-노량진(지금의 영등포) 간 33.2km 구간을 개통했으며, 1900년에 한강철교를 준공하자 지금의 서울역까지 연장했다. 이를 계기로 한국의 철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교통
  • 경부선 京釜線
    1일을 기하여 전선(全線)의 영업이 개시되었다. 그 해 5월 25일에 서울 남대문 정거장(지금의 서울역) 광장에서 개통식이 거행되었다. 이는 우리나라에서 경인선(1899년 9월 18일 개통)에 이은 두 번째의 철도 개통이었다. 서구 열강의 식민지 체제 구축이 철도 부설 및 채광권 획득에서 비롯되었던 많은 사례에서 보는...
    성격 :
    철도, 교통시설
    유형 :
    지명
    면적 :
    길이 441.7㎞
    분야 :
    경제·산업/교통
  • 부평구 富平區
    지나는 갈산동·청천동 일대는 공업단지로서 한국수출산업단지 제4단지가 입지해 있다. 주요업종은 기계·전기·전자·화학 등이다. 경인고속도로·경인선·경인국도가 동·서로 통과하고, 서울의 통근권으로서 일찍부터 인구와 상업 및 서비스 기능의 밀집지역으로도 성장했다. 인구는 부평1·4동(3만 6,231명)에 많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인천
이전페이지 없음 1 현재페이지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6건

경인선 개통식
경인철도 초창기의 열차
철도
경인선 복선 기공식
경인선 개통 당시의 귀빈열차
경인선 개통 당시의 영등포역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