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감리서 監理署일반적으로는 감리라 불렸다. 1876년(고종 13) 강화도조약 이후 부산·원산·인천의 세 항구가 차례로 개항된 이래 주요 항구와 요지가 개방되었다. 그래서 개항장에 거주하는 외국인이 증가하고 무역량이 늘어남에 따라 거류지 관계 사무와 통상 사무 등을 전담, 처리할 기관이 필요에 의해 설치되었다. 내용 및 변천...
- 시대 :
- 근대
- 성격 :
- 관청
- 유형 :
- 제도
- 시행일 :
- 조선 말기(개항기)
- 폐지일 :
- 1906년 10월
- 분야 :
- 역사/근대사
-
감리 監理것이다. 종류로는 삼림(森林)·광무(鑛務)·매광(煤鑛)·지계(地契)·양무(量務)·광(鑛)·봉조(捧租)·양전(量田) 등의 감리가 있다. 대표적 존재는 주로 개항장·개시장(開市場)의 감리로, 개항장과 개시장의 사무, 특히 통상사무를 감독, 관리하였다. 1883년(고종 20)부산·인천·원산 3개소의 개항장에 감리서가...
- 시대 :
- 근대
- 성격 :
- 관직
- 유형 :
- 제도
- 시행일 :
- 1883년
- 폐지일 :
- 1906년
- 분야 :
- 역사/근대사
-
지사서 知事署내용 1876년(고종 13) 이후 각 개항장에 감리서(監理署)를 설치하여 대외국인관계 및 통상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게 하였다. 1895년 윤5월 1일자로 지방제도 개혁의 일환으로서 각 개항장의 감리서를 폐지하고, 그 권한과 기능을 각 개항장 소재지의 부관찰사(府觀察使)에게, 개항장 소재지에 부청(府廳)이 설치되지 않은...
- 시대 :
- 근대/개항기
- 성격 :
- 관청
- 유형 :
- 제도
- 시행일 :
- 1896년 1월 18일
- 폐지일 :
- 1896년 8월 7일
- 분야 :
- 역사/근대사
-
재판소구성법 裁判所構成法뒤 1909년 10월 28일 법률 제28호로 폐지되었다. 내용 1895년 제정된 법은 전문 61개조로 구성되었으며, 골자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재판소는 지방재판소·개항장재판소·순회재판소·고등재판소·특별법원 등 5종을 두도록 했고, 지방재판소에는 사정에 따라 지청을 둘 수 있게 하였다. 둘째, 각 재판소의 설치 위치와...
- 시대 :
- 근대
- 성격 :
- 법제, 법률
- 유형 :
- 제도
- 시행일 :
- 1895년 3월 25일
- 폐지일 :
- 1909년 10월 28일
- 분야 :
- 역사/근대사
-
상회소 商會所내용 개항장에 설치된 상회(商會)·상법회사(商法會社)·상법회소(商法會所)·상의소(商議所)·회사 등은 모두 같은 뜻이지만 달리 불리우는 것들로 상업회의소의 기능을 지녔다. 정부가 각 개항장에 집중되어 있는 객주로부터 영업세를 징수하고 외국 상인의 침탈로부터 그들을 보호하기 위해 설립하였다. 각 개항장의...
- 시대 :
- 근대
- 설립 :
- 조선 말기
- 성격 :
- 협동조합
- 유형 :
- 단체
- 분야 :
- 역사/근대사
-
삼항구관초 三港口關草내용 2책. 필사본. 1876년 강화도조약 체결 이후 일본측의 요구에 따라 부산·인천·원산 등 세 항구를 개항하고, 1883년 세 개항장에 감리서가 설치되었다. 의정부 외부아문에 소속된 감리서는 개항장과 개시장(開市場)의 사무를 관리하기 위한 기관이었다. 이 책은 외부아문에서 세 개항장 감리서에 보낸 관문(關文)과...
- 시대 :
- 근대
- 저작자 :
- 의정부외부아문
- 창작/발표시기 :
- 1886년 ∼ 1887년
- 성격 :
- 관찬서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2책
- 분야 :
- 역사/근대사
- 소장/전승 :
- 규장각 도서
-
인천객주상회 인항상법회사(仁港商法會社), 仁川客主商會또는 인항상법회소(仁港商法會所)라고도 불렸다. 1893년에 설립되었다는 설도 있으나 1885년경에 설립된 게 확실한 듯하다. 설립목적 1876년 개항 이후 개항장을 중심으로 한 외국 상인의 상권 침투가 나날이 심해져 국내 상인들의 조직적·집단적인 대응이 필요하였다. 특히 인천은 수도 서울의 입구로, 개항하자마자...
- 시대 :
- 근대
- 설립 :
- 1885년(고종 22)
- 성격 :
- 경제단체, 상회(商會)
- 유형 :
- 단체
- 해체 :
- 1897년
- 분야 :
- 역사/근대사
-
조일조계조약 朝日租界條約설정될 때마다 생겨난 조약을 총칭하는 역사 용어이다. 따라서, 정식으로는 ‘조·일 간 조계에 관한 제조약’이라고 부르는 것이 타당하다. 내용 조계란 개항장에서 일정한 구역을 정해 조차통상구역(租借通商區域)으로 지정한 장소를 뜻한다. 동양에서 조계가 가장 먼저 생긴 국가는 청나라이다. 청나라에 생긴 영국...
- 시대 :
- 근대
- 성격 :
- 조약, 회담, 외교
- 유형 :
- 제도
- 시행일 :
- 1877년 1월 30일
- 시행처 :
- 부산, 원산, 인천, 목포, 진남포, 군산, 마산, 청진 등의 개항장
- 분야 :
- 역사/근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