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감리서

다른 표기 언어 監理署

요약 1876년 개항 이후 개항장·개시장에 설치되어 대외통상관계의 업무를 처리하던 기관.

1883년 9월에 부산·원산·인천 세 곳에 처음 설치되었다. 1889년에는 청나라 및 러시아와의 육로통상사무를 처리하기 위하여 경흥·회령·의주에도 설치하였다. 1895년 지방제도의 개편으로 폐지되었다가 1896년 8월 다시 설치되었다. 초기에는 해당지역의 부사가 감리를 겸임하고 기존의 행정체계 안에서 업무를 처리하였으나 개항장의 사무가 증가하면서 1892년 직원을 따로 파견하여, 독립된 관서로서 기능하게 되었다.

소관업무는 대체로 외국영사와의 교섭, 조계 안의 일체 사무, 개항장에서의 상품수출입과 세액을 결정하고 거두어서 탁지부와 외부에 보고하는 관세업무, 거류지 내의 외국인과 왕래하는 조선상인의 보호, 개항장의 상업·치안질서 유지 등 개항장 내 모든 사무를 전담하여 처리하였다.

1905년 을사조약으로 외교권을 일제에 박탈당하면서 폐지되고, 그 업무는 해당지역의 부윤이나 관찰사에게 이관되었다. 그러나 통감부의 이사청이 각 지역에 개설되면서 이사관이 그 업무를 대행하여 일제의 필요에 따라 외교와 통상관계의 행정을 마음대로 처리하게 되었다.→ 개항장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조선

조선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다른 백과사전


[Daum백과] 감리서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