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토 한을 물려주고 물러났으나, 미토에서 계속 영향력을 행사했고 1848년 다시 한의 정치에 참여할 수 있게 되었다. 5년 뒤인 1853년 미해군의 페리 제독이 군함을 이끌고 내항하여 2세기에 걸친 쇄국정책을 종식시키고 문호를 개방할 것을 강요했다. 국내 여론을 모으기 위해 바쿠후가 나리아키에게 자문을 구했을 때...
만은 해면동물과 참치잡이로 중요하며, 대표적 항구로는 수르트가 손꼽힌다. 수르트는 사하라 대상로의 출발점이기도 하다. 해안을 따라 염전이 흩어져 있는 시드라 만은 제2차 세계대전중 1942년 3월 '시르테 전투'가 벌어졌던 곳이다. 이 전투에서 영국 해군호송선이 이탈리아 군함과 독일군 폭격기의 공격을 물리쳤다...
본래는 완전한 장비를 갖춘 군함에 대한 바람의 영향을 근거로 하여 고안되었으며, 1838년에는 의무적으로 영국 해군의 모든 배의 항해일지에 기록하게 되었다. 그후 일부를 변경하여 육지의 현상과 바다의 상태를 관측한 것을 분류의 기준으로 정한 뒤 1874년 국제기상위원회에 의해 채택되었고, 국제기상전문(國際氣象...
광제호(廣濟號)는 대한제국의 두 번째의 군함이다. 이 군함이 건조된 것은 1904년(광무 8년) 11월이고, 무선전신시설이 장치된 것은 1910년 9월이다. 원래 근대식 군함 도입 추진은 1881년(고종 18) 군비강화책의 일환으로 공채를 모집하면서부터였다. 광제호는 새로운 군함 발주 계획에 기초하여 일본에서 1904...
기지로서 이 항만이 갖는 전략적 가치가 입증되면서부터였다. 1908년 해군기지가 세워졌고, 1919년에 건선거가 완공되었다. 1941년 진주만 공격시 미국 군함 애리조나호가 침몰되어 1,102명의 선원이 목숨을 잃었다. 이때 가라앉은 배의 선체에 지금은 흰색의 콘크리트-강철 구조물이 걸쳐져 있는데, 이것은 1962년 5월...
화산추로서 통가에서 가장 높은 봉우리이다. 노무카는 하파이 군도 안에 있는 작은 섬군의 중심부이다. 주요섬의 남서쪽에 있는 훙가통가(높이 150m)·홍가하파이(높이 120m) 화산섬에는 적당한 항구가 없어서 처리할 수 없는 구아노 더미가 있다. 영국 군함 '바운티호'의 폭동사건이 1789년 토푸아 남쪽에서 발생했다...
빙엄은행의 공동 경영자가 되었다. 큰 성공을 거두었으나 은행경영을 그만두고 산도밍고에서 로샹보의 지휘를 받으며 영국과 싸웠다. 몰생니콜라 방어전에서 눈부신 전과를 올리고 수비대와 함께 쿠바로 탈출했다. 그러나 아바나로 가던 중 영국군함의 공격을 받아 긴 교전 끝에 중상을 입고 죽었다(→ 요크타운 포위전...
성과 1453년 메흐메드 2세가 해협을 직접 가로질러 건설한 루멜리히사리 성이 있다. 19세기 들어 유럽 열강의 영향력이 커지면서 이 해협을 통과하는 상선과 군함의 운항을 통제하는 규정이 성문화되었다(1841, 1871년의 조약). 제1차 세계대전에서 오스만 제국이 패한 후 국제위원회가 이 해협에 대한 통제권을...
대형 항공기에는 휘틀의 선구적인 노력으로 가스 터빈 제트 기관으로 대체되었다. 예비 발전(發電), 석유 및 가스 배관망의 펌프와 압축기 그리고 군함을 추진하는 데도 가스 터빈이 사용되었다. 내연기관의 또다른 형태인 디젤 기관은 버스와 트럭의 기관, 배의 추진, 예비발전에 폭넓게 사용되었고, 높은 열효율 때문...
개발에 열중했다. 1977년 실전 배치된 하푼과 앞서, 프랑스의 엑조세 미사일도 1975년 실전 배치되었다. 처음에 공대함 미사일로 개발된 하푼의 개량형은 군함과 잠수함에도 장착될 수 있다. 잠수함에서는 하푼이 들어 있는 캡슐을 수중에서 발사하고, 수면 위로 올라와 하푼 본체가 캡슐 속에서 튀어나간다. 공대함...
보냈다. 증기선이 바다를 항해한 것은 이것이 최초였다. 1811년 그는 필라델피아에서 세계 최초로 증기연락선 업무를 시작했다. 1812년 스티븐스가 기갑군함에 대한 계획서를 의회에 제출했지만 반려되었다. 같은 해 〈운하 항해에 있어서 철도와 증기차의 월등한 장점을 증명하는 기록 Documents Tending to Prove the...
공통의 항목·번호의 기준표를 발행했다. 국제운하는 공해(公海)와 공해를 연결하는 운하로 수에즈 운하, 파나마 운하, 킬 운하 등이 있다. 조약에 의해 군함을 포함한 모든 나라의 공(公)·사(私) 선박의 자유 항해가 인정되고 있다. 운하는 평상시와 전시(戰時)를 가리지 않고 자유로운 통항이 인정되며, 어떤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