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석노교 석노교곡파(惜奴嬌曲破), 惜奴嬌
    시대에 성행하였던 사악(詞樂)의 하나로서 악조(樂調)는 쌍조(雙調), 형식은 전단(前段) 9구(句) 5측운(仄韻), 후단(後段) 10구 6측운으로 구성되었다. 『고려사』악지(樂志)에 곡명과 사(詞)가 전하는데, 조선시대 이후로 전승되지 않아 음악적 특징은 알 수 없으나, 사의 내용으로 보아 연회에서 연행된 음악이라고...
    시대 :
    고려
    성격 :
    당악(唐樂)
    유형 :
    작품
    분야 :
    예술·체육/국악
  • 소사 小祀
    고려사〉 예지 길례조에 의하면 고려시대의 소사는 풍사(風師)·우사·뇌신(雷神)·영성(靈星)·영제(禜祭)·마조·선목(先牧)·마사·마보(馬步)·사한(司寒)·제주현문선왕묘(諸州縣文宣王廟)·대부사서인제례(大夫士庶人祭禮) 등이 있고, 조선시대 〈국조오례의〉에 의하면 영성·노인성(老人星)·마조·명산대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고려
  • 대도리경 大道李卿
    강토에서 요나라의 통치를 받고 살던 발해의 지배층 후손으로서, 1030년(현종 21) 고려로 투화하였다. 아마 발해의 왕족 후손일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고려사』에는 ‘거란 수군지휘사 호기위 대도리경(契丹水軍指麾使虎騎尉大道李卿)’으로 마치 그의 조상이 거란 사람인 것으로 적혀 있다. 그러나 1029년 요나라...
    시대 :
    고대/남북국/발해
    출생 :
    미상
    사망 :
    미상
    유형 :
    인물
    직업 :
    유민
    분야 :
    역사/고대사
  • 고려식목형지안 高麗式目形止案
    식목형지안에서 구주·영주·맹주·인주 등 4성(城)의 군액을 예로 들고 서북계 41성의 군액 총수를 뽑아 그것을 고려 전성기의 것이라고 했다. 이 기록은 〈고려사〉 병지 주현군조의 내용과 다른 점이 있어서, 고려시대 양계 주진군의 군사조직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되고 있다. 예를 들면 맹주의 경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고려
  • 편년통록 編年通錄
    14세기말 이후에 없어져 현존하지 않으며, 단지 〈고려사〉의 맨 앞 고려왕조세계에 인용되었던 고려 왕실의 기원에 관한 글 2,000여 자만이 전한다. 글의 뒤에는 고려말의 학자인 이제현(李齊賢)의 논평이 있다. 고려왕조를 신비화하고 역대 임금의 통치를 미화·찬양하기 위해 〈편년통재 編年通載〉를 고쳐 편찬한 것...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고려
  • 고려 4대 왕, 광종 홍도선열평세숙헌의효강혜대성대왕, 光宗
    이들이 소유하고 있던 노비를 안검(按檢)하여 양민으로 만들어 그들의 세력기반에 큰 타격을 주어 당시 호족·공신 세력들의 커다란 불만을 불러일으켰다. 〈고려사절요〉에는 "광종이 노비를 안검하여 그 시비를 가릴 것을 명하니 노예로서 그 주인을 배반하는 자를 이루 다 기록할 수 없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시행...
    출생 :
    925(태조 8)
    사망 :
    975(광종 26)
    국적 :
    고려, 한국
    종교 :
    불교
    재위 :
    949년∼975년
    시호 :
    홍도선열평세숙헌의효강혜대성대왕(弘道宣烈平世肅憲懿孝康惠大成大王)
    능묘 :
    헌릉(憲陵)
  • 장생포 長生浦
    구성 및 형식 가사는 전하지 않으며, 창작경위와 작자에 대한 언급만이 『고려사』 권71 악지 속악조와 『증보문헌비고』 권106 악고(樂考) 17에 전하는데, 두 기록은 큰 차이를 보인다. 내용 및 평가 『고려사』에 의하면, 유탁(柳濯)이 전라도에 나가 진을 지킬 때에 위엄과 베풂을 겸비하여 군사들이 그를 좋아하며...
    시대 :
    고려
    저작자 :
    미상
    창작/발표시기 :
    고려시대
    성격 :
    가요
    유형 :
    작품
    분야 :
    문학/고전시가
  • 삼대령 三臺令
    내용 『고려사』악지(樂志)에 의하면 고려시대에 들어온 당악정재 「연화대(蓮花臺)」의 반주음악으로 쓰였고 「오운개서조인자(五雲開瑞朝引子)」·「백학자(白鶴子)」·「헌천수령만(獻天壽令慢)」·「최자령(嗺子令)」에 이어 연주된다. 「삼대(三臺)」는 본래 대곡(大曲)의 하나로 중국 당나라 때부터 교방(敎坊...
    시대 :
    고려
    성격 :
    당악정재(唐樂呈才) 반주음악
    유형 :
    작품
    분야 :
    예술·체육/국악
  • 정읍사 井邑詞
    유일하게 현재까지 전해오고 있는 백제의 노래로서 고려와 조선시대까지 속악(俗樂)의 가사로 불려졌다. 〈고려사〉 악지(樂志) 속악조(俗樂條)와 〈동국여지승람〉 권34 정읍현고약조(井邑縣古躍條)에 노래의 제작경위가 기록되어 있고, 〈악학궤범〉 권5 시용향악정재도의조(時用鄕樂呈才圖儀條)에 가사와 연행절차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백제
  • 칠대실록 칠대사적기(七代事蹟記), 七代實錄
    완성 시기는 수찬관인 황주량이 정당문학(政堂文學)으로 재임했던 1034년 정월부터 같은 해 정종 즉위 11월 사이에 해당된다. 한편, 이 실록의 명칭에 대해『고려사』에는『칠대사적기(七代事蹟記)』라 전하고 있다. 따라서 일본학자들은 이를 군신(君臣)의 행적을 기록한 책이라 하여 실록으로 인정하지 않고 있다...
    시대 :
    고려
    저작자 :
    황주량(黃周亮), 최충(崔冲), 윤징고(尹徵古), 주저(周佇)
    창작/발표시기 :
    1034년 9월
    성격 :
    실록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36권
    분야 :
    역사/고려시대사
  • 계백료서 誡百寮書
    고려사〉와 〈고려사절요〉에 의하면 8편으로 이루어졌다고 하나 현재 전하지 않아 그 내용은 알 수가 없다. 그러나 그당시 같이 만들어진 〈정계 政誡〉 등 주변기록으로 보아 신하로서 지킬 예의·대의명분·상경하순의 도리를 가르친 것으로 보인다. 고려가 후삼국을 통일하고 중앙집권적인 국가체제를 갖추는 과정...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고려
  • 빈례 賓禮
    경우와 외국군장래조처럼 중국 황제와 주변국 사신이 만나는 경우가 합쳐져서 정비되었다. 고려의 빈례는 당제의 영향을 받아 외교관계가 주가 되는데, 〈고려사〉 예지의 빈례조는 북조와 대명을 구분하여 명나라 이전의 송·금·요·원 등의 국가는 북조로 묶어 이들 사신을 영접하는 의례를 수록했다. 그러나 이는...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

출처1건

멀티미디어100건

고려사
고려사
고려사
고려사
고려사
고려사
고려사
고려사
고려사 목판
고려사 목판
일본 고려사적 전경
《고려사》
고려사 / 경배악
취봉래만 / 고려사
행향자만 / 고려사
고려사 / 자하동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