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희당집 喜堂集은거 생활에 비유하여 읊은 것이 많다. 망국의 한을 표출한 우국충정이 담긴 작품도 상당수에 달한다. 특히, 연작시(連作詩)와 연구(聯句)의 장편시가 많다. 한유(韓愈)의 「남산시(南山詩)」를 차운한 것은 100여 자의 운과 1,000여 자 중에 거듭된 글자가 하나도 없어 주흥사(周興嗣)의 『천자문』에 필적할 만하다...
- 시대 :
- 현대
- 저작자 :
- 안재직
- 창작/발표시기 :
- 1984년
- 성격 :
- 시문집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5권 4책
- 간행/발행 :
- 안필섭, 홍진표, 엄명섭, 안홍선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소장/전승 :
- 장서각 도서, 성균관대학교 도서관
-
농암잡지 農岩雜識역대 각 문학가들에 대한 비평은 고문파(古文派) 문장가로서, 탁월한 시문비평가로서의 그의 안목을 후세 사람들로 하여금 재인식하게 하는 좋은 자료이다. 한유(韓愈)·유종원(柳宗元)·구양수(歐陽脩)·소식(蘇軾)·황정견(黃庭堅)·왕세정(王世貞)·모곤(茅坤)·전겸익(錢謙益) 등 중국의 당·송·명·청나라의 시문...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김창협
- 창작/발표시기 :
- 1710년(숙종 36)
- 성격 :
- 평론서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4권
- 간행/발행 :
- 김창흡
- 분야 :
- 문학/한문학
- 소장/전승 :
- 봉정사
-
송창집 松滄集江神)에 대한 제문인 「제영산강신문(祭榮山江神文)」은 1786년 저자가 청암찰방(靑巖察訪)에 제수되어 임지로 가던 중 영산강에서 왕으로부터 받은 인신(印信)을 물에 빠뜨리고 찾지 못하자 강신에게 돌려줄 것을 호소한 내용이다. 사람들은 이 제문을 당나라의 한유(韓愈)가 쓴 「악어문(鰐魚文)」과 같다고 칭찬...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정전
- 창작/발표시기 :
- 1926년
- 성격 :
- 시문집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8권 4책
- 간행/발행 :
- 정효필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소장/전승 :
- 국립중앙도서관
-
기헌집 畸軒集설과 또한 신주를 매안했다가 난이 평정된 뒤에 새로 조주(造主)하는 것이 옳다는 양설이 있자 후설을 지지, 권도를 용납한 것이다. 「책문(策問)」은 한유(韓愈)의 문장과 도학에 대한 물음에 답한 것으로, 도학이 끊어진 지 천년 뒤에 비록 미흡한 점은 있으나 학문과 도학을 새로 진흥시킨 공을 높이 평가하면서...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박용상
- 창작/발표시기 :
- 1876년
- 성격 :
- 시문집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6권 3책
- 간행/발행 :
- 박사주, 박우영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소장/전승 :
- 규장각 도서
-
몽사자연지 夢謝自然志자기 방에 찾아온다. 선랑이 당대(唐代) 인물들의 현우(賢愚)에 대하여 작자의 의견을 묻는다. 작자는 선랑에게 환심을 사기 위하여 이하(李賀)를 기리고 한유(韓愈)를 비난한다. 선랑은 작자의 의견을 기뻐하며, 작자를 칭찬하고 상으로 술을 내린다. 작자는 선랑을 연모한 나머지 손발이 떨려서 술잔을 받다가 그만...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심의
- 창작/발표시기 :
- 조선 중기
- 성격 :
- 한문소설
- 유형 :
- 작품
- 분야 :
- 문학/한문학
-
미산유고 味山遺稿記) 각 1편, 설(說) 4편, 지발(識跋)·상량문(上樑文) 각 2편, 제문(祭文) 22편, 행기 1편 등이다. 만록의 「속리유산록(俗離遊山錄)」은 장문의 기행문이다. 한유(韓愈)와 소식(蘇軾)·소철(蘇轍)의 영향을 받아 문체가 호방·기묘하면서도 순연(純然)하다. 권3은 부록으로 만사 40편, 행기 등이 수록되어 있다. 의의와...
- 시대 :
- 조선
- 유형 :
- 문헌/고서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서 序贈詩)는 하지 않고 증언(贈言)만으로 짓는 경우도 있었다. 그러므로 오로지 남에게 주기 위해 지은 글을 증서라 하였다. 이 송서와 증서는 당나라의 문장가 한유(韓愈)의 글 중에 좋은 것이 많다. 「송정상서서(送鄭尙書序)」 · 「증최복주서(贈崔復州序)」 등이 특히 유명하다. 수서는 남의 수명을 축복하는 글이다...
- 유형 :
- 개념
- 분야 :
- 문학/한문학
-
현산문집 玄山文集고문관(古文觀)을 잘 보여준다. 그리고 전주(傳注)에 전념하느라 경술문(經術文)을 모르는 시속을 비판하고 맹자(孟子)와 ‘진언무거(陳言務去)’를 주창한 한유(韓愈)의 글을 모범으로 삼아야 함을 주장하고 있다. 서와 기 그리고 권6에 실려 있는 비(碑)·묘갈·묘표는 간결하고 함축성 있는 고문의 본령에 다가서...
- 시대 :
- 근대
- 저작자 :
- 이현규(李玄圭)
- 창작/발표시기 :
- 1968년
- 성격 :
- 시문집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7권 3책
- 간행/발행 :
- 이성도
- 분야 :
- 문학/한문학
- 소장/전승 :
- 규장각 도서, 국립중앙도서관
-
석정집 石亭集방망계문(方望溪文)」·「구양육일문(歐陽六一文)」·「소동파문(蘇東坡文)」·「한창려문(韓昌黎文)」 등 방도(方苞)·구양수(歐陽修)·소식(蘇軾)·한유(韓愈)의 글을 읽고 그 문장의 수(首)·미(尾)·체간(體幹)·근골(筋骨)·정신(精神)·기력(氣力)·혈맥(血脈) 등을 평론한 글들과 그밖에 「고문해(古文解...
- 시대 :
- 근대
- 저작자 :
- 이정직
- 창작/발표시기 :
- 1926년
- 성격 :
- 시문집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7권 3책
- 간행/발행 :
- 이유면(편집), 송기면(간행)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소장/전승 :
- 국립중앙도서관
-
일산집 一山集자신의 소신을 밝힌 것이다. 「논선장(論選將)」에서는 국가의 국방을 담당하는 장군을 뽑는 데는 사람을 알아보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말하고, 사람을 알아보는 방법으로 여덟 가지 특징을 열거하였다. 「독창려문(讀昌黎文)」에서는 한유(韓愈)의 문장을 극구 찬양하여 자신의 식견의 고매함을 나타내고 있다. 참고문헌
- 시대 :
- 근대
- 저작자 :
- 조병규
- 창작/발표시기 :
- 1933년
- 성격 :
- 시문집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16권 9책
- 간행/발행 :
- 조열제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소장/전승 :
- 국립중앙도서관
-
송 頌출발한 것이므로 운문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보편적이다. 정체는 통편이 4언체이고, 격구압운이라는 형식을 취한다. 그러나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다. 당나라 한유의 <백이송 伯夷頌>은 완전히 산문체로 되어 있다. 송은 전아하고 장중한 문체이다. 그리고 전개방식은 부와 비슷하다. 그러나 화려하지 않다. 송은 공경...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문학/한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