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인천사정 仁川事情일본인 2,700여 명에 관한 다양한 분야에서의 활동 상황이 구체적으로 드러나고 있다. 다만, 저자는 전체 목차를 설정하고 있지 않으며 서술방법도 장(章)과 절(節)을 구분하고 있지 않고 자신이 평소 기록하고 정리해둔 것을 나열식으로 전개하고 있어서 전체적인 맥락을 파악하기가 쉽지 않다. 그러나 세밀하게 내용을...
- 시대 :
- 근대
- 성격 :
- 지방지
- 유형 :
- 문헌
- 분야 :
- 역사/근대사
-
보문 補文관계관형절(關係冠形節)을 가진 것, 보문을 가진 것 등 세 가지로 나누어질 수 있다. 문장의 접속이라는 것은 두 개 이상의 문장이 접속어미에 의해서 이어져 더...수식절을 관계관형절이라고 한다. 보문이란 이 두 가지 이외에 어떤 문장이 다른 문장 안에 내포된 것을 모두 이른다. 이에는 전통문법에서 체언절...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언어/언어·문자
-
국민조선역사 國民朝鮮歷史국제관계, 경제·사회·문화에 의한 장명(章名)을 설정하여 총 128장으로 구성하였다. 민족항일기에 발간된 저자의 한국사 개설서와는 달리, 항목이나 절(節)이 따로 설정되지 않았다. 서술에 있어서는 정치·경제·문화의 면을 조화시켜 역사를 객관적으로 파악하고 있다. 저자의 앞의 두 책이 형식과 내용이 서로 비슷...
- 시대 :
- 근대
- 저작자 :
- 최남선
- 창작/발표시기 :
- 1947년 1월
- 성격 :
- 학술서
- 유형 :
- 문헌
- 간행/발행 :
-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육당전집편찬위원회(편찬), 현암사(발행)
- 분야 :
- 역사/근대사
- 소장/전승 :
- 장서각 도서
-
뱀 snake없는 대신 특이한 적응형태로 두골의 전악골(前顎骨)·상악골(上顎骨)·하악골(下顎骨)·비골(鼻骨)·구개골(口蓋骨)은 모두 가동적(可動的)으로 상관절(相關節)이 되고 있다. 또한 하악과 두골 사이에는 큰 방골(方骨)이 있어 이것에 의하여 하악이 두골에 매달려 있다. 뱀의 이는 바늘과 같이 뾰족한데 악골뿐만...
- 분류 :
- 뱀목
- 성격 :
- 동물, 파충류
- 유형 :
- 동식물
- 분야 :
- 과학/동물
-
효경 孝經광요도장(廣要道章), 전 3장은 금문의 삼재장(三才章) 제7, 전 4장은 금문의 효치장(孝治章) 제8로 만들었다. 전 5장은 금문의 성치장(聖治章) 제9, 상일절(上一節) 전 6장은 성치장(聖治章) 하일절(下一節), 전 7장은 금문의 기효행장(紀孝行章) 제10, 전 8장은 금문의 오형장(五刑章) 제11, 전 9장은 금문의 사군장...
- 저작자 :
- 주희(교정), 동정(주석)
- 문화재 지정 :
- 인천광역시 시도유형문화재 제64호
- 성격 :
- 유교경전
- 유형 :
- 문헌
- 분야 :
- 교육/교육
- 소장/전승 :
- 국립중앙도서관, 규장각 도서, 성암고서박물관
-
조선문법연구 朝鮮文法硏究형용사, 부사, 감탄사를, 품사론(하)에서는 후치사(後置詞), 접속사, 종결사를 다루고 있다. 6집은 ‘문장론’이라는 제목 하에 문장과 구조, 어(語)와 절(節)의 배치, 어와 절의 변화, 문장의 양식, 문장의 조응(照應) 등을 다루었다. 이 책에서 제시한 문법체계는 저자가 『조선문전요령』에서 제시한 문법체계를 수정...
- 시대 :
- 현대
- 유형 :
- 문헌
- 분야 :
- 언어/언어·문자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국어의미론 國語意味論방법이 많이 적용되었는데, 이러한 연구의 초기 이론인 만큼 생소하고 현재 쓰임과는 많이 다른 개념어들이 등장한다. 예를 들어 관형절(冠形節)을 부체절(副體節)이라 하고 현재 ‘문장(sentence)’의 의미로는 ‘문’이라 하고 ‘문장’이라는 용어로는 현재의 ‘텍스트’를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전제(前提)’에...
- 시대 :
- 현대
- 유형 :
- 문헌
- 분야 :
- 언어/언어·문자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백화도량발원문약해 백화도량문약해, 白花道場發願文略解후기 승려 체원(體元)이 의상(義湘)이 지은 것으로 전해지는 『백화도량발원문(白花道場發願文)』에 대해서 1328년(충숙왕 15) 10월에 해인사에서 원문의 절(節)을 세분하여 주석한 불교서이다. 이것을 각화사(覺華寺)의 성지(性之)가 교감하여 1334년에 계림부에서 1권 1책으로 개판‧간행하였다. 현존하는 모든 목판본...
- 시대 :
- 고려
- 유형 :
- 문헌/고서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
-
지장 교각(喬覺), 地藏그는 가시덤불을 헤치고 절벽을 오른 후 자그마한 석굴(지금의 동암동)에 거처를 정하고 그날부터 불경을 읽기 시작하였다. 757년 구화산 기슭에 사는 제갈절(諸葛節)이란 사람이 구화산에 올라갔다가 석굴 속에서 도를 닦는 것을 보고 감탄한 나머지 그를 도와주었다. 그 때부터 김교각은 자주 산 밑에 내려와 마을...
- 시대 :
- 고대/남북국
- 출생 :
- 695년(효소왕 4)
- 사망 :
- 794년(원성왕 10)
- 유형 :
- 인물
- 직업 :
- 승려
- 성별 :
- 남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
연행기 燕行紀내용 4권 2책. 필사본. 1780년 청나라 건륭(乾隆)의 만수절(萬壽節) 진하부사(進賀副使)로서 연행한 저자가 5월 27일 경성(京城)을 출발해서 7월 15일과 25일에 각각 열하와 북경 도착, 10월 22일 귀환할 때까지의 중요한 사건·대담·견문들을 수록하였다. 저자는 1776(정조 즉위년)에도 연행한 바 있어서 대단히 정밀...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서호수(徐浩修)
- 창작/발표시기 :
- 1780년(정조 4)
- 성격 :
- 견문록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4권 2책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소장/전승 :
- 규장각 도서, 중경문고(中京文庫), 미국의 캘리포니아대학
-
강종 대화(大華), 康宗公)에 책봉되었다. 같은 해 12월 최충헌에게 옹립되어 폐위된 희종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올랐다. 그러나 최씨 무단정치로 실권이 없었다. 왕의 생일을 광천절(光天節)이라 정하고, 왕모 의정왕후 김씨(懿靖王后金氏)를 광정태후로 추존하였다. 또한, 원자 왕진(王瞋: 뒤의 高宗)을 태자에 책봉하고, 왕비 유씨를 연덕궁주...
- 시대 :
- 고려
- 유형 :
- 인물/전통 인물
- 분야 :
- 역사/고려시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