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단오 수릿날, 端午
    1년 중에서 양기가 가장 왕성한 날이라 하여 음력 5월 5일에 지내는 우리나라의 명절. 수릿날·천중절.|내용 일명 수릿날[戌衣日·水瀨日]·중오절(重午節)·천중절(天中節)·단양(端陽)이라고도 한다. 단오의 ‘단(端)’자는 처음 곧 첫 번째를 뜻하고, ‘오(午)’자는 오(五), 곧 다섯의 뜻으로 통하므로 단오는 ‘...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생활/민속·인류
  • 아름다운 명절, 단오 중오절
    단오(端午)는 설날, 한식, 한가위와 함께 우리 겨레의 4대 명절입니다. 단오의 '단(端)' 자는 첫 번째를 뜻하고, '오(午)' 자는 다섯이란 뜻과 통하므로 오월 초닷새를 뜻합니다. 단옷날을 또 수릿날이라고도 하는데 수리란 '신(神)'이라는 뜻과 '높다'는 뜻으로 이것을 합치면 '높은 신이 오시는 날'이란 뜻이 됩니다. ...
  • 단오 수릿날
    수릿날·천중절·중오절·단양 등으로 불리는 한국의 명절 중 하나. 매년 음력 5월 5일이다. 옛날에는 약초를 캐고 창포를 문에 꽂아두는 등의 행동으로 재액을 예방하기 위한 날이었다. 한반도 남쪽에서는 추석을 매우 중요한 명절로 여겼는데, 북쪽에서는 예로부터 단오를 추수에 버금가는 명절로 생각했다. 중국을 비...
    분류 :
    명절, 비공휴일
    날짜 :
    음력 5월 5일
  • 밀지를 받들고 의진을 일으켜 충효를 실천한 산남 의병장, 정용기 관여, 鄭鏞基
    충절의 가문에서 태어나다 정용기 선생은 영일정씨((迎日鄭氏)이다. 시조는 고려 예종 때 항공문과에 급제하였으며, 인종 때 예부시랑과 추밀원주지사를 지낸 형양(滎陽) 정습명(鄭襲明)이다. 고려의 신하로서 조선의 신하되기를 끝내 거부하다 목숨을 잃은 문충공(文忠公) 포은(圃隱) 정몽주(鄭夢周, 1337~1392)는 시조...
    출생 :
    1862년 12월 13일, 경상북도 영천
    사망 :
    1907년 9월 2일
    포상훈격 :
    1962년 건국훈장 독립장
  • 단오 술의 날, 端午
    단오는 음력 5월 5일이며 모내기를 끝내고 풍년을 기원하는 기풍제(祈豊祭)다. 단오는 설날, 한식, 추석과 함께 한국의 4대 명절 중 하나로 꼽힌다. 수리떡을 해먹거나 그네뛰기, 씨름을 하는 풍습이 있다. 조상의 묘에 성묘를 가고 창포 삶은 물에 머리를 감으며 화채를 만들어 먹고 장명루(長命縷)를 만들기도 했다. ...
  • 한식 설, 단오, 한가위와 더불어 4대 명절의 하나, 한 해 농사가 시작되는 절기, 寒食
    그들의 소원대로 이달 9일에는 진법연습을 하지 말고 제사를 지낼 수 있게 하는 것이 어떻겠습니까?"라는 상소에 임금이 이를 수락했다는 기록이 보입니다. 설, 단오, 한가위와 더불어 4대 명절의 하나인 한식은 계절적으로는 한 해 농사가 시작되는 철이기도 하며, 겨우내 무너져 내린 무덤을 보수하는 때이기도 합니다...
  • 단오 (한국) Dano (festival), 韓国の端午
    명절 정보 수릿날 또는 단오(端午)는 한국 명절의 하나로, 음력 5월 5일이다. 무더운 한여름을 맞기 전 초하(初夏)의 절기이며, 모내기를 끝내고 풍년을 기원하는 기풍제를 지내는 때이기도 하다. 한국에서는 음력 5월 5일 단오와 관련된 전통적인 행사가 각 지방에서 열린다. 대한민국의 중요무형문화재 제13호로 지정...
    도서 위키백과
  • 단오 Dragon Boat Festival, 端午
    명절 정보 단오(端午)는 1년 중에서 양기(陽氣)가 가장 왕성한 날이라 하여 중국, 한국, 일본에서 음력 5월 5일에 지내는 명절이다. 한국에서는 3대 명절중 하나로 분류하기도 하며 다른 말로 '술의 날' 또는 순우리말로 '수릿날' 이라고도 한다. 시기적으로 더운 여름을 맞기 전의 초하(初夏)의 계절이며, 모내기를 끝...
    도서 위키백과
  • 단오 (일본) Tango no sekku, 端午 (日本)
    일본의 단오에는 남자의 건강한 성장을 기원하는 다양한 행사가 열린다. 그것을 단고노셋쿠라고도 한다. 현재는 그레고리력(새력) 5월 5일에 행해지며, 국민의 휴일인 '어린이날'로 지정되어 있다. 일부 지역에서는 여전히 음력이나 늦은 6월 5일에 단오를 기념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일본 외의 나라들에서는 현재도...
    도서 위키백과
  • 단오풍습
    그네 뛰고 씨름하는 단오는 설날, 한식, 한가위와 더불어 4대 명절 음력 5월 5일인 단오는 우리 겨레 4대 명절 가운데 하나입니다. 단오는 단오절, 단옷날, 천중절(天中節), 포절(蒲節), 단양(端陽), 중오절(重午節, 重五節)이라고 불리기도 하며, 우리말로는 수릿날이지요. 단오의 단(端)은 첫째를 뜻하고, 오(午)는...
  • 단오
    인문사회환경 ㆍ용도 구분 : 자연환경보전지역 ㆍ지목 : 임야 ㆍ지자체 개발 계획 : 없음 ㆍ시설물 · 이용 현황 : 없음 ㆍ영해기점 무인도서 : 없음 ㆍ과거 주민 거주 여부 : 없음 ㆍ향후 주민 거주 가능성 : 없음 ㆍ사람 거주시 거주 목적 : 없음 ㆍ역사적 가치 : 없음 ㆍ주변 해역 이용 현황 : 마을 2111(해조류...
    면적 :
    65,547m 2
    좌표 :
    34° 41′ 12.90″ N, 125° 10′ 45.14″ E
    해도번호 :
    346
    지번 :
    신안군 흑산면 홍도리 산30
    소유현황 :
    공유지
    육지와의 거리 :
    전남 진도군 지산면 가학리에서 약 89.1km
    도서 무인도서 | 태그 전라남도 ,
  • 세시풍속 세시(歲時), 歲時風俗
    존재했다. 『고려사』에는 고려 9대 속절(俗節, 명절)로 원단(元旦, 정월 초하루) · 상원(上元, 정월 대보름) · 상사(上巳, 후에 삼짇날이 됨) · 한식 · 단오 · 추석 · 팔관 · 동지 · 중구를 소개하고 있는데, 그렇다고 이때에만 세시풍속이 행해진 것은 아니다. 이는 대표적으로 꼽히는 명절이며 그밖에도...
    유형 :
    개념
    분야 :
    생활/민속·인류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32건

그네 / 단오
단오풍정
단오에는 그네가 최고
신윤복필 풍속도 화첩/단오풍정
경산 자인 단오제 / 여원무
기산풍속도첩/씨름하기
강릉 단오절의 관노탈놀이
천중부적
차륜병
단오풍정
단오섬
단오섬 남쪽
단오섬 해도
단오섬 북쪽
단오섬 해도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