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창주문집 滄洲文集성여신(成汝信)을 비롯해 이흘(李屹)·박민(朴敏) 등 16인과 창수한 것으로, 산수의 경치를 읊은 서정시다. 논의 「참동계론(參同稧論)」은 주희(朱熹)와 정구(鄭逑)의 말을 인용, 유(儒)·불(佛)·선(仙)의 도(道)가 동일하다는 내용인 위백양(魏伯陽)의 이론을 비판한 글이다. 잡저의 「신안어록(新安語錄)」은 1617년...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하증
- 창작/발표시기 :
- 1897년
- 성격 :
- 시문집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5권 2책
- 간행/발행 :
- 하종식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소장/전승 :
- 규장각 도서, 국립중앙도서관
-
정온 휘원(輝遠), 鄭蘊않아 인조반정 후 정인홍의 처벌을 반대하였다. 그러나 이후 격화된 당쟁 속에서 그와 그의 후손들은 남인으로 처신했고, 정인홍이 역적으로 심하게 몰리면서 정구(鄭逑)를 사사한 것으로 인식되었다. 그의 현실대응 자세는 조식(曺植)에서 정인홍으로 이어지는 강개한 기질을 이어받아 매사에 과격한 자세를 견지하였다...
- 시대 :
- 조선
- 유형 :
- 인물/전통 인물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모계문집 茅谿文集차지하고 있음이 특색이다. 시 가운데 「원석우음(元夕偶吟)」은 객지에서 새해를 맞이하는 쓸쓸한 감정을 잘 표현한 작품이다. 「만정한강(挽鄭寒岡)」은 정구(鄭逑)의 죽음을 애도해 지은 것이다. 부 가운데 「사자언지부(四子言志賦)」는 네 사람이 모여서 각기 자기 뜻을 밝힌 것을 기록한 것이다. 세 사람은 나라를...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문위(文緯)
- 창작/발표시기 :
- 1829년
- 성격 :
- 시문집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4권 2책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소장/전승 :
- 규장각 도서
-
역양문집 嶧陽文集소 2편은 모두 기축옥사 때 억울한 죽음을 당한 최영경(崔永慶)을 신원하기 위한 상소문으로, 당시의 전말을 소상하게 진술하였다. 서(書)에는 스승인 정구에게 보낸 서찰 2편과 조목(趙穆)·이안눌·정인홍(鄭仁弘) 등에게 보낸 서찰이 있다. 발에는 1609년(광해군 1)에 쓴 「남명선생문집지(南溟先生文集識)」가 있어...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문경호(文景虎)
- 창작/발표시기 :
- 1803년
- 성격 :
- 시문집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6권 3책
- 간행/발행 :
- 정종로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소장/전승 :
- 성암고서박물관
-
허목 조선 후기의 문신아버지는 현감 교(喬)이며, 어머니는 임제의 딸이다. 1615년(광해군 7) 정언옹(鄭彦)글을 배우고, 1617년 현감으로 부임하는 아버지를 따라 거창으로 가서 정구(鄭逑)의 문인이 되었다. 1624년(인조 2) 경기도 광주의 우천(牛川)에 살면서 자봉산(紫峯山)에 들어가 학문에 전념했다. 1636년 병자호란으로 피난하여, 이후...
- 출생 :
- 1595(선조 28)
- 사망 :
- 1682(숙종 8)
- 국적 :
- 조선, 한국
- 본관 :
- 양천(陽川, 지금의 서울 강서구와 양천구)
- 자 :
- 문보(文甫), 화보(和甫)
- 호 :
- 미수(眉叟)
-
유가야산록 遊伽倻山錄개설 「유가야산록」은 정구의 문집인 『한강문집(寒岡文集)』 권9에 수록되어 있다. 1579년(선조 12) 9월 10일부터 24일까지 약 15일간에 걸쳐 이루어진 가야산 등반노정을 기록한 일기체 기행문으로, 가야산을 유람하고 지은 역대 글 가운데 백미로 꼽힌다.. 내용 정구는 한 차례 가야산을 유람한 경험이 있었다...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정구
- 창작/발표시기 :
- 조선 중기
- 성격 :
- 기행문
- 유형 :
- 작품
- 분야 :
- 문학/한문학
-
심경표제 心經標題저자 불명, 전하지 않음)를 저본으로 하고, 『주자전서(朱子全書)』, 『퇴계집(退溪集)』, 『율곡집(栗谷集)』, 『월천집(月川集)』, 『한강집(寒岡集)』, 정구의 『심경발휘(心經發揮)』, 조호익의 『심경질의고오(心經質疑考誤)』 등을 참고로 하여 정확한 주석본을 편찬하기 위하여 『심경표제』를 저술하였다...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박세채
- 창작/발표시기 :
- 1680년 경 저술 시작
- 성격 :
- 주석서, 유학서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총 136쪽
- 간행/발행 :
- 미간행본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함주지 咸州誌내용 1책. 필사본. 군수 정구의 주관으로 군인(郡人) 이여선(李汝宣)·박제인(朴齊仁)·이정(李瀞)·오운(吳澐) 등이 편찬하였다. 현존하는 읍지 중에서 가장 오래된 것이며, 뒤에 다른 읍지 편찬에 모범이 되었다. 함안읍지는 이 읍지가 편찬된 이후 한말까지 누차 속찬되어 각지에 이본(異本)인 인본(印本)과 사본...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정구(鄭逑)
- 창작/발표시기 :
- 1587년
- 성격 :
- 지방지, 읍지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1책
- 분야 :
- 지리/인문지리
- 소장/전승 :
- 규장각 도서, 장서각 도서
-
『봉산욕행록』 蓬山浴行錄[개설] 『봉산욕행록(蓬山浴行錄)』은 정구[1543~1620]가 신병 치료를 위해 제자들과 함께 동래 온천욕을 다녀오는 과정을 기록한 것이다. 봉산욕행은 1617년 7월 20부터부터 동년 9월 4일까지 45일간 이루어졌다. 당시 정구의 나이는 75세로 세상을 떠나기 3년 전이었다. [편찬/간행 경위] 『봉산욕행록』은 정구의...
- 분야 :
- 역사
- 지역 :
- 부산광역시
출처 한국 향토문화 전자대전 -
대한체육회 창립 100주년개최하였고, 이듬해 제1회 전조선축구대회와 전조선정구대회 등을 개최하며 조금씩 정착해 갔습니다. 1925년에 접어들면서 조선체육회는 야구, 축구, 정구, 육상 등 다양한 종목의 대회를 운영하며 완전히 틀을 갖췄고 조선 체육인들의 구심체 역할을 하게 되었습니다. 1938년 7월에 조선체육협회로 합병되면서 조선...
- 발행일 :
- 2020. 6. 30.
- 발행량 :
- 총 672,000장
- 종수 :
- 1
- 액면가격 :
- 380
- 디자인 :
- 승리를 위해 열정적으로 경기에 임하는 선수들의 모습
- 우표번호 :
- 3449
- 인면 :
- 38.5×28.5
- 천공 :
- 14 x 14
- 전지구성 :
- 4 × 4
- 용지 :
- 평판 원지
- 인쇄 및 색수 :
- 평판 / 4도 / UV
- 우표크기 :
- 40mm×30mm
- 디자이너 :
- 정은영
- 인쇄처 :
- POSA(SCP社)